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KHOA NGÔN NGỮ VÀ VĂN HÓA HÀN QUỐC ------ KHÓA LUẬN TỐT NGHIỆP BƯỚC ĐẦU NGHIÊN CỨU LỖI SAI PHỔ BIẾN TRONG BẢN DỊCH HÀN - VIỆT CỦA SINH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994 년부터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이하 하노이국립외대)에서 한-베 통번역 전공 과정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하노이국립외대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 학생들이 3 학년부터 전공 교육을 받고 통번역 능력을 키우고 통번역 아르바이트를 통한 경력을 축적하기를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32명의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베 번역 또는 베-한 번역 중에 어느 것이 보다 어려운지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 한-배 번역이 보다 쉽다는 학생은 90.65%를 차지한다 하지만 그렇게 대답한4학년 학생들이 실제로 한-베 번역 과제를 할 때 적지 않은 오류를 범하였다 어렵지 않다고 생각하는 번역으로 비롯된 오류는 지적되지 않고 수정되지 않는다면 앞으로 졸업 후에 실제 번역 업무에 임할 때 번역문에 오역이 그대로 반영되어 번역 품질에 영향을 끼칠 확률이 높을 것이다 더구나 졸업반인 4 학년 학생에게는 취직 준비를 위해 최대한 빨리 자신의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고 자신의 부족함을 채우는 것이 급한 과제이다 따라서 학생이 자주 범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그 오류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으로 베트남에서 한-베와 베-한 번역을 위주로 하는 연구 활동은 활발하지만 한-베 번역만을 집중적으로 알아보는 선행 연구는 많지 않아서 필자가 4 학년 학생을 위한 한-베 번역상 오류에 대한 연구가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특히 통번역 목적 한국어교육에 대하여 연구하려는 사람들과 한-베 통번역 학생들에게 보탬이 되는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러한 이류로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문에서의 대표적인 오역 양상 및 극복 방안 연구’ 라는 주제를 선택해서 연구하기로 결정했다
2 본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 목적을 중심으로 연구를 한다 첫째, 선행 연구에서 추출한 번역과 오역에 대한 기초 지식을 토대로 역자들의 번역문을 분석하고 번역문에서 나오는 오역 양상을 찾아내고 정리한다 한편으로 이러한 이론들을 한국어 교사와 전공학생을 위한 참조 자료로 만들고 싶기도 한다 둘째, 학생들의 오역 양상 현황과 가장 많이 범하는 오역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오역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학생의 번역 과제를 분석하여 발견된 오역을 비율로 수량화하고 통계를 낸다 그리고 이 상황은 4 학년 학생의 TOPIK 1 등급과의 연관성이 있는지 없는지도 검토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학생이 번역하다 자주 일으키는 오역은 무엇인지를 인지하도록 오역 양상별 특징을 제시하고 다양한 형태를 분석하며 대안을 마련한다 셋째, 학생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자기 번역 능력을 제고할 수 있게 각 오역에 해당하는 극복 방안과 능력 향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필자는 실제 상황 분석을 바탕으로 각종 방안을 마련해 내고자 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
베트남인의 한-베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베 통번역에 관한 연구가 점차 늘어가고 있지만 연구사는 길지 않다 번역 연구에 있어 한-베 오역 양상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번역 연구만큼 많지 않다 특히 한-베 통번역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번역서에서 나오는 오역 집중 연구는 더욱 드물다 주된 연구 성향은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오역 문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한-베 번역문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논문에 있어, Nguyen Ngoc Tu (2010)는
‘끝없는 벌판’ (Canh dong bat tan)에 나오는 베-한 번역상의 문제점을 밝혔는데 다른 학자와 달리 언어문화 차이, 물질문화 차이, 사회문화 차이, 생태학적 차이로 등 원인을 기준으로 오역을 분류하였다
Ha Minh Thanh (2014)은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현황을 제시하고 한국근대소설 베트남어 번역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서 어휘, 문장, 누락, 고유명사 표시 불일치 오류를
1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한국어능력시험)의 약자
3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분석했다 그리고 오역 개선을 위해 번역자들 스스로 언어능력을 끊임없이 키워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장 최근에 Do Thuy Hang (2018)은 하노이국립대학교 3 학년 학생의 번역문을 중심으로 오류를 분석하는 연구를 했는데 학생들이 컴퓨터를 통해 번역 작업을 할 때 나타나는 문법적, 어휘적, 번역투 등 내용에 관한 오역은 물론 오타, 간격, 폰트(FONT) 등 형식으로 인한 오역까지 자세히 조사하고 원인을 밝혀냈다
다음으로, 한-베 번역 문제 논문은 많지 않으나 베-영, 한-중, 한-영, 한-일 등 번역상 문제에 관한 연구는 보다 풍부하다
우형숙(2006)은 조이북닷컴(Joybook.com)의 한영 번역 작품을 대상으로
아동문학작품 한영 번역본에서 나온 어휘 차원과 상황 차원의 오역를 제시했다
Yin Chao Xuan(尹 朝 鉉) (2010)은 주로 언어와 문장을 집중 분석해서 한문 학습자의 오역(誤譯) 양상을 제시했다
경금(2011)은 영화에 등장한 한-중 번역상의 문제점을 어휘적, 문체적, 문법적, 문화적 측면 등으로 구분하고 살펴봤다
이호봉(2013)은 스포츠 기사문 한-중 번역의 오역 사례를 연구했다 본 연구는 주로 문장, 어휘, 표현법의 일대일 대응 여부에 초점을 맞춰 판단하였다
Nguyen Hai Ha, Chu Thi Huyen My, Tran Bich Ngoc (2015)은 영어사범학과 학생의 과제에서 나오는 번역상 오류를 위주로 연구를 하였다 여기서 저자들이 문법상 문제들에 대해 깊이 분석하고 영어판에서 베트남어로 번역하는 데에 부딪치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그 외에 독해 오류와 전달 문제도 같이 언급되었다
김낭경(2017)은 일본 작가인 다지이 오사무 ˹사양˼의 오역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 했는데 잘 알려져 있는 각종의 내용 외에도 역사적 사실에 관한 오역을 새롭게 발표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베트남이나 한국 학자들이 한-베와 베-한 번역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지만 하노이국립외국어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베 번역본에서 나오는 오역만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극복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다고 해도 과학 잡지 연구에 불과하다 대부분 연구는 문학 등을 위주로 하고
4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곧 한-베 교류 활동에 가교 역할을 맡게 될 4학년 학생들이 번역 시 부딪치는 문제점들과 그를 극복하는 방안을 알려주지 않는다면 이 부족함이 작게는 번역 업무에, 크게는 양국 간 교류 활동에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은 사전 연구 결과를 부분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가지고 시의적절한 극복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연구범위 및 연구 대상
하노이국립외대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 4학년 재학 중인 123명 중에 설문조사 참여에 동의하고 본 연구를 위한 번역과제 수집에 응한 학생만을 선정하여 32명의 한-베 번역과제를 수집하였다
번역과제는 ‘번역문 분석-평가’ 수업에서 제시된 한국어 자료들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는 2019-2020년 1학기 2, 4, 6, 9, 10, 11, 13주차의 한-베 번역 과제와 기말고사 리포트를 포함하여 총 40개 번역문이다 자료의 주제는 5개가 있는데 사회, 경제, 문화, 문학, 교육이다 본 논문에서 한-베 번역하는 과제에서 나오는 대표적인 오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한다 이러한 오역은 평균 등장빈도가 50%이상을 차지해야 대표적 오역이라고 삼는다
본 과목에 한 개 반을 4 팀으로 나눠서 팀별로 번역 학습 활동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본고에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하는 조를 선정하는데 ①연구에 참가 동의 여부, ②팀원의참가도, ③숙제수량충족여부이다.
연구방법
번역에 대한 이론적 배경
1.1.1 번역정의 사전적 의미의 번역은 ‘어떤 언어로 된 글을 다른 언어의 글로 옮김’이다 2 번역이론의 대가인 Nida (1969)는 번역은 원천 언어로 표현되어 있는 메시지를 번역목표 언어에서 가장 자연스럽고 유사한 상응어로 재생산하는 과정이라고 한다 3
김효중(2004)은 ‘번역이 단순히 언어의 기호 전환이 아니고 문자라는 형식 속에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세계관 즉 넓은 의미에서 문화의 역동적이고 고유한 내용이 농축되었는데, 그 모든 것을 다른 형식으로 바꾸어 표현하는 작업이다’라고 정의했다
구조주의 언어학자 Roman Jakobson (2006)에 의하면 번역자의 역할은 하나의 언어(원천언어(SL: Source language))로 작성된 원천텍스트(ST: Source text)를 다른 언어(목표언어(TL: Target language))로 작성된 번역문(목표 텍스트(TT: Target text))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한다 4
오혜정(2009)에 따르면 번역은 원천 언어와 목표 언어 사이에 적절한 단어를 잘 매치시키는 1차적인 번역을 넘어서서, 문장 전체의 의미를 본 뒤 단어가 문장에서 가지는 느낌을 살려 옮겨야 하기 때문에 창조의 작업이라고 했다
남성우(2016)는 ‘번역이란 원문 텍스트 저자가 의도하는 의미를 이해하고 이 의미를 역자가 모국어로 전달할 때 표현했을 방식으로 재표현하는 것’이라고 정의를 내렸다
Le Hung Tien (2018)은 번역은 한 문서를 출발 언어에서 도착 언어로 옭기는 과정이라고 밝혔다 사람이 진행하는 번역과정 뿐만 아니라 기계 번역과정을 일컫기도 한다
2 『 국립국어원』; https://www.korean.go.kr/front/search/searchAllList.do (2020 년 1 월 14 일 검색)
3 심지언, “ 문학작품에 나타난 중한번역 오류분석 ”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6 에서
4 한중과, “장편소설「活着」의 오역 유형 분석” (서문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석사논문, 2014), p.11
7 앞서 기술한 것처럼 번역 개념에 있어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해석하는데 번역 과정에서 의미를 두고 정의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번역 시 의미적 또한 표현적 등가성을 추구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번역이 출발언어에서 도착언어로 원본의 의미를 옮기는 과정이라는 것은 학자들의 공통점이다
위의 저자들의 관점을 참고함으로써 번역은 본문에 담기는 메시지를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한 언어에서 다른 하나의 언어로 재생산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 베 번역은 바로 한국어로된 서적, 글, 자료 등에 포함된 메시지를 베트남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여 재생산하는 과정이다
번역이 원문의 사상과 내용을 역문에 옮겨놓는 작업인데 이것이 잘 되었는지 잘 못 되었는지 평가하는 것은 바로 번역 표준이다 그러나 학자마다 번역 표준을 어떻게 수립하는지 다음과 같이 살펴보자
M.Lederer (1994)는 W.Koller (1992)의 조서를 인용해서 다음의 3 가지 기준을 제시했는데 ①번역 등가(equivalence)의 기준 ②의미에의 충실성 기준 ③번역문의 투명성기준이다 번역 등가는 서로 다른 언어로 된 텍스트는 완벽함에서 부분적 일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도로, 서로 다른 표상 수준인 문맥, 의미, 문법, 어휘 등의 측면에서, 혹은 서로 다른 통사 단위인 낱말, 어구, 문장 등의 단위에서 등가적일 수 있음으로 나타나 있다 5 두번째 원칙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충실성, 도착어에 대한 충실성, 번역 대상 독자에 대한 충실성 등 3 가지 충실성을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번역문의 투명성은 바로 분명-명료한 것인데, 이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국제 표준화 기구 ISO가 2000년에 번역 기준에 관련된 ISO 규정을 발표하였다 6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충분: 원문에서 나온 내용은 모두 번역문에서 나타나야 한다
5 강유연, “ 번역에서 등가문제 ”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p.26
6 Lê Hùng Tiến,『Phê bình đánh giá dịch thuật: Một số vấn đề lý luận cơ bản và thực tiễn dịch thuật Anh – Việt』, (Nhà xuất bản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2018), p.94 재인용
오역에 대한 이론적 배경
오역의 사전적 개념은 ‘잘못 번역함 또는 잘못된 번역’이라고 한다 7 정봉구(1975)는 오역은 원문이 지니는 정보나 의미가 번역문에서 잘못 표현되어 독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나 의미를 전달하게 되는 오류를 범하는 것의 통칭을 명명한다 8 그리고 오역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이 간추릴 수 있는데 어구의 의미파악 착오, 문장 의미 파악 착오, 원어 부분의 탈락, 문장 표현 부정확, 용어의 불통일, 전체 작품 창작의도 파악 착오 등이다
Hatim과 Mason (1997)에 따라 오역은 원문와 역문 간에 중요한 뜻을 불일치하게 전달하고 (누락, 첨가와 내용 대체의 경우 포함) 도착 언어 구조를 파괴하는 행위라고 정의하였다
한형곤(2000)이 오역이란 외국어에 대한 무지와 부주의에 의해서 생기는 문제라고 하였다.
윤조현(2010)은 오역이란 학습자가 한문을 잘못 읽고 풀이하여 잘못 이해하는 활동이라고 이상적인 결과물에 중점을 두면서 정의를 내렸다 그리고 오역은 학습자가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 그리고 언어적인 지식의 부족에서 기인한다고 원인을 밝혔다
ATA Framework (2017)는 번역상 오류는 원문에 일부 의미가 제대로 번역문에
전달되지 않을 때 발생함으로써 원본의 독해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 오역은 별개의 입장에서 언급된 구체적인 양상을 포함하는데 전치사 선택, 불확실 또는 확실한 규칙 준용 그리고 시제와 분위기 선택으로 인한 오류가 있다
7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 2020 년 1 월 14 일 검색)
8 이효비, “ 중역본『賣時間的商店』에 나타난 오역 사례 분석 ”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p.7
10 이상에 기술한 이론을 종합해 보면 오역은 원문에 어긋나고 원문을 정확히 전달하지 못하는 번역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오역 개념 범위에 잘못된 번역은 물론 베트남말로 부자연스러운 번역, 지나치게 추가 또는 축소된 번역, 시제 불일치, 어휘 오역, 한글의 로마자 표기 문제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1.2.2 오역의 양상
심지언(2006)은 중한 번역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오역 양상을 제시하였는데 의미 생략, 의미 첨가, 과도한 번역, 존대법, 외래어 고유명사 오류 등 총 12 개의 오역을 찾아내고 각종 오류에 해당하는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Ha Minh Thanh (2014)는 한국근대소설을 베트남어 번역된 자료를 위주로 번역상 오류를 고유명사 표기 불일치, 어휘 오역, 문장 오역, 누락 문제 등 4 가지로 집중 분석하였다
표지판에 표기된 번역문에 나타난 오역 연구에 대해, Nguyen Thi Minh Tam 과 파트너(2017)는 Munoz (2012)와Keshavarz (1993)의 번역서 분석 결과에 기대어 다음과 같이 번역상 문제를 4가지 제시하였는데 문법, 표기; 단어 및 문장 구조 선택; 번역 내용 그리고 화용, 스타일이 포함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내용적문제를집중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는성향이있는것으로보인다 9
Do Thuy Hang (2018)는 하노이국립외대 3학년 학생의 오역 고찰 연구에서 내용적
오역과 형식적 오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형식 오류에 있어 학생들이 노트북으로 과제 번역 작업 과정에서 폰트 조정, 오타, 줄 또는 문단 간격 문제, 여백 조정 등을 수량화하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내용적 문제에는 문법, 단어 선택, 구어/문어 말투, 화용, 첨가/누락/ 잘못된 번역을 5가지고 나눠서 예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위의 내용을 보면
9 『Sao Do 대학교』; http://ftf.saodo.edu.vn/nghien-cuu-trao-doi/nghien-cuu-mot-so-thu-phap-giup-nang-cao-ky- nang-dich-thuat-tieng-anh-118.html (2020 년 1 월 14 일 검색)
11 연구자가 내용 뿐만 아니라 형식 문제도 오역 중의 하나로 삼아 연구한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지언(2006), Ha Minh Thanh (2014)과 Do Thuy Hang (2018) 연구가 각종 오역 사례를 체계화하고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학생의 번역상 오류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보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필자는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겠다 본 논문에서 기존 연구 결과와 조사 결과에 의해 다음과 같은 총 12개의 오역 양상으로 분류하였다
4학년 학생의 번역서에서의 오역 양상
불일치 ㅇㅇㅇ
원문 독해 문제
한글의 로마자
통사 구조 ㅇ
구어와 문어 사용 문제
누락 및 첨가
의미의 누락 의미의 첨가
부자연 스러운 번역
부적합한 어휘
어휘의의미단어 혼동
제 2 장: 전공학생의 한-베 번역문에서 나타난 오역 분석
전공학생의 한 -베 번역문에서의 오역 현황
이상인 오류는 대표적인 문제라 보고 아래 표에 꿁은 글씨로 표시해 놨다
주차별 오역 양상 등장빈도
2 시제 불일치 25 50 75 50 12.5 25 25 50 39.06
3 원문 독해 문제 25 37.5 50 25 87.5 50 50 50 46.88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문제 50 37.5 75 50 75 25 75 25 51.56 5 통사구조 25 50 75 50 87.5 50 75 50 57.82
6 구어와 문어 사용
누락 및 첨가 문제
부적합한 어휘 100 75 100 75 87.5 100 75 75 85.94 어휘의
9 부자연스러운번역 100 87.5 100 75 87.5 100 75 100 90.63
전공학생이 번역한 40개의 과제를 분석한 결과 총 오류 12개를 찾아냈는데 이들은
에 나온 것처럼 평균 등장빈도에 따라 나열되었다 12개 중에 단어 혼동에 비롯된
오역은 23.44%로 가장 적게 나타났고 주어 혼동, 시제 불일치 그리고 원문 독해상 오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등장빈도의 50%를 넘어선 오역들이었다 본 논문에서 이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층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50%이상인 8 개의 문제는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통사구조, 구어와 문어, 의미의 누락 및 첨가, 단어의 의미, 부적절한 어휘와 부자연스런 번역을 포함한다 그 중에 부자연스러운 번역은 90.63%로
1위를 차지했고 부적절한 어휘로 인한 오역은 바로 그 뒤를 이었다 한글 로마자 표기법
문제는 51.56%에 불과하여 가장 낮은 자리를 지켰다 전체 결과를 보면 학생들이 문법
지식이나 독해 능력이 번역에 크게 방해되지 않지만 번역 기술 또는 문맥에 적합한 말을 잘 골라서 사용하는 능력은 주의할 만한 사항이다
계속해서 오역 현황과 학생의 TOPIK 등급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32 학생을 대상으로 TOPIK 등급과 오역 비율 조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학년학생의 TOPIK 등급 및 오역 비율 통계
을 보면 TOPIK 수준과 오역 현상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1조는 TOPIK 6급을 취득한 사람의 수가 55.56%로 4조 중에 가장 많이 나타났고 TOPIK 6급과 TOPIK 5급만 달성한 유일한 조였다 이 조과 같은 경우 에서 보이듯이 오역은 4개 팀의 총 수량 중에 22.91%를 차지함으로써 가장 낮게 드러났다 다음으로 2 조의 22.22%는TOPIK 4, 33.33%는 TOPIK 5급, 44.45%는 TOPIK 6급을 딴 경우 오역 비율은 1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반면에 TOPIK 시험을 보지 않거나 TOPIK 4급이나 5급이 주를 이루는 3조와 4조는 오역을 범하는 비율이 26.16%, 27.09%의 순으로 1조와 2조보다 많이 나타났다 한국어능력시험은 말하기를 제외하고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듣기, 쓰기 능력과 문법 지식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TOPIK수준이 높음에 따라 상기와 같은 능력이
6급5급4급TOPIK 없음오역 비율
15 달라진다 원본 독해, 글쓰기 능력은 번역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TOPIK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번역질이 좋아진다 다시 말하자면 오역 발생확률이 낮아진다고 분석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능력을 반영하는 토픽 수준은 절대적으로 번역 실력에 결정적인 요소가 아니지만 상당히 오역 상황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오역 양상 분석
각종 자료 번역은 단순히 단어 대 단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료에 담긴 메시지를 번역문에 잘 반영해야 하는 과정이다 10 즉, 원문에서 독자가 받는 내용, 뉘앙스, 여운 등을 번역문에서도 그 요소들이 나타나야 하는 의미 대 의미를 지향하는 번역이다
그러나 4학년 학생의 번역서에서 다양한 오역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4학년 학생들의 번역과제에 대표적인 오역의 사례를 추출하여 그를 분석해서 원인과 번역 대안을 함께 제시하겠다
2.2.1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문제
베트남어로 된 번역 문서를 보면 외국 고유명사를 많이 찾을 수 있는데 이들의 표기 방법이 일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기재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면 한국의 수도인 서울은
‘Seoul’, ‘Xơ-un’, ‘Xê-un’, 도쿄는 ‘Tokyo’, ‘Tô-ki-ô’, ‘Đông Kinh’등 적어도 3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여태까지 베트남에는 외국 고유명사에 관한 표기방법에 관한 통일된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11 특히 같은 고유명사라도 출판사, 학교, 재단, 정부 부처 등 기관들의 규칙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그래서 통번역 전공학생들이 번역하면서 다양하게 한국의 고유명사를 표기해왔다 심지어 한 문서에서조차 같은 고유명사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번역하거나 한글을 로마자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는 독자에게 혼란을 끼치는 것은 물론 자료의 내용과 문맥을 이해하는 데에 악영향을 주기도
10 이효비, “중역본『賣時間的商店』에 나타난 오역 사례 분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p.9
11 Ha Minh Thanh,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연구 ”, (이하대학원, 박사논문, 2014), p.81
16 한다 본 구절에서 학생들이 범하는 한글의 로마자 표기 불일치와 오류에 대한 오역 사례를 분석할 것이다
로마자 표기가 오류로 판정되는 기준은 대학교 강의에 교재로 쓰던 ˹개념이 있는 국어문법˼에 기재된 아래의 표로 정리된다
한글의로마자표기법 12
한글 로마자
한글 로마자
한글 로마자 한글 로마자
초성 받침 초성 받침
ㄱ g k ㅈ j ㅏ a ㅑ ya
ㄲ kk ㅉ jj ㅓ eo ㅕ yeo
ㅋ k ㅊ ch ㅗ o ㅛ yo
ㄷ d t ㅅ s ㅜ u ㅠ yu
ㄸ tt ㅆ ss ㅡ eu ㅒ yae
ㅌ t ㅎ h ㅣ i ㅖ ye
ㅂ b p ㄴ n ㅐ ae ㅘ wa
ㅃ pp ㅁ m ㅔ e ㅙ wae
ㅍ p ㅇ ng ㅚ oe ㅝ wo
ㄹ r l ㅟ wi ㅞ we
[ST 1]: 장아찌는 채소를 간장이나 된장 혹은 고추장에 오랫동안 절인 음식을 가리킨다 (˹밥을 아니 먹으면 굶는 것이다˼ p.63)
12 김홍범, 성낙수 등 『개념이 있는 국어 문법』, (지학사, 2013), p.304
17 [TT 1]: Jangachi là tên gọi một món ăn mà người ta muối rau củ với nước tương (ganjang), tương đậu (duenjang) hoặc tương ớt (gojujang) trong một thời gian dài
분석: 위의 역본에 학생이 명사를 번역할 때 베트남어 의미와 그의 라틴어도 같이 표기하였다 평소 자주 부딪치는 단어라면 정확히 표기할 수 있지만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부분은 단순히 베트남어 발음과 잘 알고 있는 몇 가지 기호를 합쳐서 새로운 표기법을 만들어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된장’ 같은 경우 ‘ㄷ’은 ‘d’로 정확히 표기되었으나 ‘왼’은 베트남 원어민 발음에 준하여 ‘uen’으로 적혀 있다 결과는
‘duenjang ’라는 말이 새로 탄생하게 되었다 로마자 표준법에 의해 ‘ㅚ’는 ‘oe’로 적어야
되어 ‘doenjang’은 정확한 표현이라고 본다 ‘장아찌’ 같은 경우 된소리인 ‘ㅉ’을 발음할
때 후두 근육을 긴장하여 강하게 소리를 내는 특징이 베트남어의 ‘ch’ 와 유사하게 느껴서
‘찌 ’는 ‘ch’로 사용되어 버렸다 표준에 맞는 표기는 ‘jangajji’ 이다 ‘고추장’은 ‘ㅊ’와
‘주’가 혼동될 수 있어 같은 로마자인 ‘j’ 로 적게 되었다
대안: Jangajji là tên gọi một món ăn mà người ta muối rau củ với nước tương (ganjang), tương đậu (doenjang) hoặc tương ớt (gochujang) trong một thời gian dài
[ST 2]: 눈이 많이 내리는 울릉도에서 눈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투막집을 짓습니다
각종 오역에 해당한 극복 방안
그러므로 8개의 오역에 따른 방안을 각각 제시하고자 한다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문제 먼저,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문제에 있어서, 극복 방안은 표기법 암기와 보조 기구를 활용하는 것이다 위의 예시를 분석한 것처럼, 익숙한 명사 경우는 정확히 옮기는 데 반해 처음 또는 자주 부딪치지 않는 명사의 경우는 틀리게 전달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따라서 번역문에 외래어인 한국어 명사를 정확히 표현하자면 교과서에 나온 [표 2]를 활용하고 이에 따라 한글을 로마자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으로 한국에서 믿음직한 언론 매체인 네이버의 한글 이름 로마자 변환기를 사용해서 결과 및 사용빈도를 재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21 게다가 사실상 베트남에서 외래어 표기법은 일관되지 않아서
21 『한글 이름 로마자 표기』, ; https://dict.naver.com/name-to-roman/translation/
49 역자마다 다르게 표현한다 22 그런데 한 번역서에 같은 명사를 다양한 방법으로 로마자로 바꾸는 것은 독자를 헷갈리게 하여 하나의 표시 방법만 사용해야 한다
통사구조로 인한 오역 통사구조로 인한 오역을 극복하려면 한국어와 베트남어 문법을 익혀야 한다 우리가 베트남 사람이라도 베트남어 문법을 잘 알고 있는 것이 아니다 때로는 습관적으로 틀린 말을 하다가 맞는 말인 줄 알고 계속 쓰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베트남어 문법 교재를 사서 일주일에 2번 이상 숙제를 통해 문법 지식을 확고히 다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한국어 문법은 외국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문법이다 원어민을 위한 문법은 항상 깊이 있게 제시되어서이다 번역가는 일주일에 2번 이상 문법에 관한 책, 교재를 독서하고 숙제를 해야 한다 이를 공부함으로써 두 언어 문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번역 시 맞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고 통사구조에 관한 문제도 줄일 수 있다
구어와문어사용문제 학생이 글을 번역하다 자주 구어를 사용하는 악습을 고치려면 글을 쓰는 자세로 임하며 번역을 하고 문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실상 글을 쓰면서 사람들에게 익숙한 말로 작성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자칫하면 글다운 말이 안 나오고 분위기를 파괴할 수도 있다 그래서 항상 글다운 번역을 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게다가 번역 전에 번역문에 맞는 말투를 사용하기 위해 원본과 비슷한 글을 찾아 읽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왜냐하면 처음 보는 주제는 일상적인 대화에 자주 나오는 내용이 아니라면 역자가 쉽게 일반 대화 말투로 번역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의미의 누락
22 Ha Minh Thanh,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연구 ”, (이하대학원, 박사논문, 2014), p.81
50 무분별한 누락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역자는 1차 번역 후에 재확인 단계를 밟아야 한다 여기서 번역 숙제는 비상업적인 글이라서 역자의 이익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1차 번역이 끝나고 다시 검사하지 않는다 이러다 보니 버릇이 되어 실제 번역 업무를 진행할 때도 똑같은 방식으로 일할 소지가 있다 그러므로 숙제할 때도 진지한 태도로 임하고 재확인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한편으로 역자가 각종 분야에 해당하는 베트남어 표현에 미숙하여 고의로 누락을 시키는 경우도 많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트남어된 여러 가지 책, 서류, 교재 등을 찾아 읽으며 다양한 표현을 익히고 주제별 쓰기 연습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나중에 어떤 주제에 부딪쳐도 원활히 번역 작업을 할 수 있다
의미의첨가 원문에 없는 내용을 지나치게 부풀린 것들이 많았다 역자가 감정을 이입하거나 베트남 말로 어떻게 자연스럽게 표현할지 알 수 없고 또는 언어 관습의 영향을 받아서 일부러 추가하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번역자가 직역을 연습해야 하는데 이른바 원문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번역하지 말아야 한다 번역이 끝나고 나서 다시금 원문과 번역문의 내용을 비교하여 불필요하게 추가된 내용이나 원문과 무관한 내용을 발견하면 바로 삭제해야 한다 그러면 원본의 내용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불필요하게 삽입하는 악습을 없앨 수 있다
단어의의미로인한오역 단어의 의미를 대충 유추하는 대신 번역자가 사전 앱 또는 사전 웹사이트에서 의미를 검색하는 것이 바른 자세이다 번역하다 부딪치는 새 단어가 어디서 본 단어인 것 같다고 하여 의미를 추측하는 방법은 때로 적합할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 활용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높은 정확성을 요구하는 번역 업무는 대충 유추를 삼가야 한다 그리고 숫자 오역도 나오는데, 이를 극복하자면 평상 시 숫자 번역 연습을 거듭해야 한다 작은 수량부터 백만, 억, 조 등 거대한 수량까지 한국어에서 베트남어로 번역하다 보면 한국 숫자 표기법을 숙지해야 숫자에 대한 오역이 점차 줄어든다
51 부적합한단어로인한오역
이 오역은 대다수 학생들의 원문 파악 또는 베트남어 구사력 부족에서 비롯된다
먼저 원문은 하나의 문장을 읽지 말고 전체 내용을 살펴봐야 무슨 문제를 언급하는지, 어떤 이야기를 전개하는지를 알 수 있다 그것을 바탕으로 베트남어로 옮길 때 적절한 단어를 골라서 쓴다 적합한 단어를 잘 골라서 사용하자면 먼저 모국어인 베트남어 구사력을 제고해야 한다 베트남 사람이라도 베트남어를 잘 활용하는 것은 아니고 언어 습관 때문에 잘못된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는 적지 않다 따라서 베트남어로 된 자료를 다양하게 찾아 읽고 좋은 표현을 발견하면 비망록에다 기재하고 내용을 가끔씩 다시 읽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그러다 보면 베트남어 구사력이 개선되고 표현도 풍부해진다 그리고, 사전을 활용하여 정확한 단어를 고르려면 글의 전체 내용을 파악하고 문맥을 짚고 분위기를 잘 읽어내야 한다
부자연스러운번역마지막으로 가장 많이 범하는 문제인 부자연스러운 번역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서적을 읽거나 관한 온라인 강의, 세미나,프로그램영상을시청하고원문에 관련된 지식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원어민 입장에서 베트남어를 어렸을 때부터 알고 있으니 그를 이해한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일반적인 대화를 잘 하지, 전문적 내용을 잘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매일 한 분야에 관한 베트남어와 한국어된 글을 찾아 읽고 낯선 용어와 표현을 기록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그리고 이해 안 되는 전문적인 내용이 있으면 그 분야 전문가에게 설명을 듣도록 한다 그렇다 보면 원문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양 언어 표현을 익혀서 상황에 맞는 표현을 잘 할 수 있다 점차 역문의 품질이 제고되기가 마련이다 그리고 어색한 역문을 유발하는 이유는 역자가 직역 기술을 지니치게 활용하는 데에 기인한다 하나의 문장을 번역 시 한 기술만에 의존하지 말고 자연스러운 결과물을 생산하도록 의역, 번안, 삭제 또는 생략 등 다양한 방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52 완전한 번역은 없다 늘 ‘완전 번역’으로 가는 과정만 있을 뿐이다 23 초보자 번역자인 전공학생들이 그 과정을 밟으며 오역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본인에게 가장 알맞는 개선을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올바른 자세이다.
기타 극복 방안
위의 내용은 각종 오역을 위주로 해결방법을 제시하였지만 사실 전반적인 오역을 없애기 위해 번역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 그러자면 본인의 지속적인 번역 학습을 비롯한 교과과정 개선과 같은 방법들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자신의 노력이 늘 필수조건이고 그 외에 학교에서 진행하는 번역교육과정도 번역자의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구절에서 그 2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극복 방법을 짚어보겠다
3.2.1 학생의 지속적학습 전공학생이 본인의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상 시 자습을 하느냐는 질문에
100% 응답자가 예라고 대답하였다 이 결과를 보면 학생이 자기 실력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자습 방법과 그 빈도를 아래 표를 통해 살펴보자
23 심지언, “ 문학작품에 나타난 중한번역 오류분석 ”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42
번역 능역 제고를 위한 자습 및 빈도
이상의 표에서 본 것처럼 학생들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서 자습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 매주 1~2번 ‘번역문 분석-평가’ 과목에서 나온 숙제를 한다는 대답이
100%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번역 아르바이트는43.75%로 2위였고 매주 1~2
번 하는 글 독서와 교재로 학습이 그 뒤를 이었다 나머지 방법들은 학생이 활용하기는 하지만 매달 1~2번쯤 하여 지속성이 떨어지는 현황을 보인다 이는 적든 많든 학습 효과에 영향을 끼친다 왜냐하면 학습은 지속적인 과정인 만큼 꾸준히 하지 않는다면 실력을 닦고 갈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학교 숙제만 한다면 절대적으로 실력이 는다고 장담할 수 없다 따라서 역자가 자습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일단,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과 전문 지식을 축적하도록 매일 최소 1번 각 종 영역에 관한 글, 기사, 책을 찾아 읽는다 어떤 분야에
학생의 비율
매달 1~2번매주 1~2번매일 최소 1번
54 대한 기본 교양을 가짐으로써 번역할 자료를 접근할 때 보다 쉽게 파악하고 원활히 작업할 수 있어서이다 그리고 베트남어판과 한국어판을 동시에 찾아 읽는 것은 두 언어 간의 상응하거나 상이한 부분을 비교하여 낯설거나 좋은 표현을 비망록에다 기재해 놓고 나중에 번역할 때 적합한 표현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은 번역 품질을 제고하는 데에 크게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 매주 3 번 이상 교재 또는 서류 번역 연습을 거듭하고 본인의 능력을 개선하고 약점을 찾아내서 극복한다 마음대로 찾아 번역하는 자료의 경우 한-베 번역 작업하다가 어려움을 부딪치면 통번역 교수와 같은 전문가에게 조언을 받거나 작업이 끝나고 전문가에게서 감수를 받는 것이 매우 좋은 방법이다 이는 자기의 능력 한계를 넓히고 그를 통해 번역 기술,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교재 사용의 경우 전체 내용을 번역한 다음에 작업한 내용들을 책 뒤에 있는 해석 부분과 비교하고 틀린 부분이나 참고할 만한 번역 표현을 발견한다면 메모해 놓는 것도 좋은 습관이다 통번역 아르바이트의 경우, 번역 시 회사 선배에게 감수 부탁하는 것도 효율적인 학습 방법이다 유경험자로서 초보자인 우리에게 번역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지적을 해주기도 하고 모르던 것들을 알려주기도 한다
그리고 번역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와 자세를 바꾸는 것도 번역 능력을 끌어 올리는 데에 효율적이다 먼저, 본인이 맡은 과제를 성실히 해야 한다 즉, 대충대충 번역해 놓고 제출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시간과 심혈을 투자하고 완성하도록 노력하라는 뜻이다
수업에서 다양하고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자료를 제공하여 과제를 열심히 한다면 그만큼 능력이 개선된다 또한, 동료가 번역문을 분석할 때 경청하는 것도 좋겠다 다른 사람의 잘못은 본인에게 교훈이 되고 나중에 똑같은 잘못을 범하지 않도록 깊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의 번역문이 훌륭하면 본인에게도 소중한 교훈이 된다 마지막으로 교수님과의 개인 상담 시간과 수업 시간이 부족한 만큼 수업 중에 교수님과 적극적으로 의견을 교환해야 한다 몰랐던 지식을 물어보거나 경험담을 경청함으로써 자신의 부족함을 점차 채워 나갈 수 있고 그것이 쌓여 자신의 능력은 제고될 것이다
3.2.2 번역 교육과정개선 본인의 지속적 자습도 중요하지만 학부의 번역 교육과정 개선도 전공학생의 능력 제고에 큰 역할을 한다 번역 수업은 번역의 기초 지식, 다양한 주제의 연습 시간, 강사로부터 감수, 조언 등 본인이 쉽게 스스로 얻을 수 없는 기회를 제공해서이다 또한, 전공학생이 자신의 번역 능력이 아직 모자란다고 생각하여 교육을 더 받기를 원하는 데에 기인한 결과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 4 학년 학생들이 현재 학부에서 하는 번역 교육과정에 대한 생각은 어떤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절반 이상인 78.13% 학생이 학부에서 번역과목이 추가로 개설될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즉, 대다수 설문 참여 학생이 기존 번역 수업외에 추가적으로 번역에 관한 수업이 만들어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 2019-2020 년 1 학기 교과과정에서
‘번역문 분석-평가’, ‘시사한국어번역’, ‘통번역 업무기술’ 등 3과목의 번역 수업을 하고 있는데 그 중에 ‘번역문 분석-평가’ 수업만 번역을 위주로 진행되며 나머지는 번역은 물론 통역, 시사 영상 촬영 등 기타 학습 내용도 있다 이러한 교육 내용들이 학생의 번역 능력을 키워주는 데에 크게 보탬이 되나 이것말고는 번역 이론 또는 연습을 중심으로 추가로 개설되는 수업이 있으면 전공학생들이 보다 많은 능력 제고할 기회를 갖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번역 경험도 축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학부에서 학생들의 이러한 요구을 고려하여 장래 교과과정을 개선해줬으면 한다
오역 극복이나 번역 능력 향상을 위한 완전한 방법은 없다 각자가 본인에 어울리는 방법을 찾아내고 활용할 수밖에 없다 이상에 언급된 방법들이 총괄적으로 알아보고 각 오역에 해당하는 극복 방법과 번역 능력 향상으로 오역 극복의 2 가지 방법으로 구분하였다 이 2가지 방법은 선행 연구 결과 참조와 실제 상황을 고려함으로써 제시한 내용이어서 적합하다거나 부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겠지만 이것들이 역자의 번역 실력을 제고하는 데에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