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hiên cứu đối chiếu tiếng lóng của sinh viên việt nam và eun eo của sinh viên hàn quốc trên mạng xã hội từ năm 2017 đến nay

53 15 0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tiếng lóng của sinh viên việt nam và eun eo của sinh viên hàn quốc trên mạng xã hội từ năm 2017 đến nay

Đang tải... (xem toàn văn)

Tài liệu hạn chế xem trước, để xem đầy đủ mời bạn chọn Tải xuống

Thông tin tài liệu

후에 대학교 외국어 대학교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 - 졸업논문 2017 년부터 현재까지 소셜 네트워크 상 베트남 대학생 은어와 한국 대학생 은어 비교 연구 지도교수 : Lê Anh Phương 지은이 : Võ Thị Vân 학번 : 16F7561063 후에, 2020 년 i 연구윤리서약서 본인은 “2017년부터 현재까지 소셜 네트워크 상 베트남 대학생 은어와 한국 대학생 은어 비교 연구”라는 연구 주제는 Lê Anh Phương 지도교수의 성실한 지도를 받아 독립적으로 진행된 연구라고 서약합니다 연구에서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모든 자료는 본인이 스스로 연구하였고 객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논문의 결과가 다른 연구에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이 서약에 대해 전적으로 모든 책임을 질 겁니다 서약자 Võ Thị Vân ii 논문 요약 본 연구에서 페이스북에서 수집한 예문을 통해 어원, 의미 전환과 품사 변경 측면에서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한국 대학생의 은어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에 따라 두 나라 은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다 은어는 외국어 학습자들에게는 어려운 개념이며 이 연구의 분석 및 비교 결과는 베트남인들과 외국어 베트남어를 학습자들이, 공부하는 특히 한국인들이 한국어를 의사 공부하는 소통 기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다 본 연구는 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 부(서론)에서는 베트남과 한국의 외국어 학습자를 위해 양국 대학생의 은어를 분석하고 비교하는 본 논문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대상, 범위 및 방법 그리고 선행 연구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이부분에서 은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는 것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대한 외국어 학습자들의 관심을 줄일 수 있다는 이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제 부(본론)에서는 내용은 구체적으로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장에서는 베트남어 은어와 한국어 은어의 개념 및 특성과 관련된 내용을 제시하고 두 개념의 공통점을 찾는다 제 장에서는 수집된 예문을 통해 어원, 의미 전환과 품사 변경에 대한 내용을 깊게 분석한다 제 장에서는 베트남어 은어와 한국어 은어를 비교한 후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제 부(결론)에서 연구의 내용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핵심어: 비교, 은어,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 한국 대학생의 은어, 소셜 네트워크 iii 감사의 말 “2017년부터 현재까지 소셜 네트워크 상 베트남 대학생 은어와 한국 대학생 은어의 비교 연구”란 논문 주제는 후에 외국어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한지 4년만에 졸업논문을 작성하기로 선택한 내용입니다 먼저 학습 과정과 학위논문이 잘 마무리될 수 있게 학교에서 공부와 연구를 하는 동안 좋은 학습 환경을 제공해 주신 후에 외국어 대학교의 집행부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후에 외국어 대학교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Phương 선생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졸업논문을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전해드리고 Lê Anh 싶습니다 저의 연구 과정 동안 선생님은 항상 성심성의껏 지도 해주셨습니다 또한 저의 연구에 대한 귀중한 의견을 주신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선생님은 항상 성심성의껏 지도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저의 연구에 대한 귀중한 의견을 주신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힘들 때마다 저와 항상 함께 해주시고 배려과 응원해 주신 가족과 친구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후에, 2020년 06월 15일 Võ Thị Vân v 목차 연구윤리서약서 ii 논문 요약 iii 감사의 말 v 표 목차 viii 사진 목차 ix 제 부: 서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연구 대상, 범위 및 방법 2.1 연구 대상 및 범위 2.2 연구 방법 선행 연구의 검토 3.1 베트남어 은어에 대한 선행 연구 3.2 한국어 은어에 대한 선행 연구 3.3 베트남어 은어와 한국어 은어의 비교에 대한 선행 연구 제 부: 본론 제 장: 이론적 고찰 은어의 정의와 특성 vi 제 장: 베트남과 한국의 대학생 은어 분석 11 2.1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 분석 11 2.1.1 은어의 어원 11 2.1.2 은어의 의미를 전환하는 방법 16 2.1.3 품사 변경 방법 23 2.2 한국 대학생의 은어 분석 26 2.1.1 은어의 어원 26 2.2.2 은어의 의미를 전환하는 방법 33 2.2.3 품사 변경 방법 35 제 장: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한국 대학생의 은어 비교 39 3.1 공통점 39 3.2 차이점 40 제 부: 결론 41 참고문현 42 vii 표 목차 순수한 베트남어를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은어 12 한국어의 형태 요소와 결합하여 형성된 은어 28 줄임말을 사용하여 형성된 은어 29 영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33 은어의 의미를 전환하는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은어 34 viii 사진 목차 [사진 1]: 베트남에서 현재 소셜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사진 2]: 한국에서 현재 소셜 네트워크 사용률에 대한 조사 결과 [사진 3]: “Khoai” 순수한 베트남어를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 12 [사진 4]: “Soái ca” 한자를 차용함에 의해 형성된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 13 [사진 5]: “Crush” 한자를 차용함에 의해 형성된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 14 [사진 6]: “Drama” 인도유럽어을 차용함에 의해 형성된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 15 [사진 7]: “Thớt” 인도유럽어을 차용함에 의해 형성된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 16 [사진 8]: “Đeo ba lô ngược” 은유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17 [사진 9]: “Trứng ngỗng” 은유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17 [사진 10]: “Cạn lời”, “khô lời” 은유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18 [사진 11]: “Áo mưa” 은유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19 [사진 12]: “Phao” 은유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19 [사진 13]: “Đấng mày râu” 활유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20 [사진 14]: “Chân ngắn” 활유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21 [사진 15]: “Áo vàng, áo xanh” 활유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21 [사진 16]: “Chim cút” 활유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22 [사진 17]: “Quẩy” 활유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23 ix [사진 18]: “Chim lợn” 품사 변경 방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24 [사진 19]: “Cùi bắp” 품사 변경 방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25 [사진 20]: “Vãi” 품사 변경 방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25 [사진 21]: “뚝배기” 한국어 고유어를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한국 대학생의 은어 27 [사진 22]: “댕댕이” 한국어 고유어를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한국 대학생의 은어 30 [사진 23]: “간지” 일본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31 [사진 24]: “오타쿠” 일본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32 [사진 25]: “레알” 영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32 [사진 26]: “쌩까다” 품사 변경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은어 36 [사진 27]: “꼽주다” 품사 변경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은어 36 [사진 28]: “웃프다” 품사 변경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은어 37 [사진 29]: “심쿵” 품사 변경 방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37 x 제 부: 서론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베트남과 한국은 외교 관계를 맺은 1992 년 12 월 22 일 이후 양국 간의 다양한 문화 교류와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확장되어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많은 베트남인과 한국인, 특히 대부분 젊은이들은 양국의 사람 및 문화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며 양국의 언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대학생들도 많아졌다 문화 교류 및 언어 교환 활동들을 통해 외국어 학습자들은 친교국에서 생활, 학습 환경 및 문화에 대해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며, 베트남 및 한국 학생들의 관계를 더욱 가깝게 만들고, 동시에 각국의 사회 경제적 발전과 양국의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관계에 적극적으로 기여한다 그러나 외국어를 학습할 때 모든 외국인들이 이해하고 사용하기 어렵다는 개념이 바로 은어이다 은어는 처음에 특정 사회 집단 안에서 내부의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등장하였으나 현재 은어는 은비성이 좀 더 낮으며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사용 대상도 다양해진다 젊은 세대의 은어 또는 이 연구에 언급된 대학생의 은어는 대부분의 젊은이들이 사용하고 의사 소통에 흥미롭고 신선한 느낌을 주기 위한 언어이며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에 많이 나타나는 말이다 그러나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문화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고 언어를 공부하기에 대한 열정이 없으면 현재 은어를 듣고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이는 외국어 학습자가 외국어로 습득하는 데에 방해 요소가 될 수도 있고 학습에 대한 흥미로움을 줄이는 요소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배우는 베트남인들 및 (4) 한국어 고유어의 모양과 유사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사진 22]: “댕댕이” 한국어 고유어를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한국 대학생의 은어 24) [사진 “강아지”라는 22]에 뜻으로 나타난 “댕댕이”는 대학생의 인터넷에서 은어이다 흔히 “댕댕이”는 쓰이는 “댕댕이”와 “멍멍이”의 모양이 비슷함에 의하여 만들어진 어휘이다 또한 롬곡 (눈물), 커엽 (귀엽다) 등이 한국어에서 단어의 모양와 비슷한 점에 따라 형성되는 은어가 있다 2.2.1.2 외국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외국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는 한국어로 표현할 수 없는 말이며 외국어를 빌려서 의사 소통에 직접 쓸 수 있는 어휘이다 이 연구는 외국어에서 빌려온 은어를 한국어 고유어를 제외한 단어로 정의하며,이 은어들이 언어를 새롭게 하는 데 사용된 것을 제시한다 24) 2019 년 03 월 04 일에 Facebook 에 올린#45686 번째포효 번 고려대학교 대나무숲에서 수집한 사진 30 (1) 한자어를 사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한국에서는 한자어가 57 %를 차지한다.25) 그러나 대부분의 중국의 한자어에서 파생된 단어는 한국어 한자어로 전환되었으며 더 원래 모음을 유지하지 않았다 한자어를 사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들이 다음과 같다는 것이다 + -남(男): 훈남, 짝남, 흔남 26) + -녀(女): 훈녀, 짝녀, 흔녀 27) (2) 일본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사진 23]: “간지” 일본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28) “간지” (かんじ)는 느낌, 감정”을 나타내는 뜻으로 일본어이다 그러나 한국사람들은 “かんじ” 를 빌려서 “간지”로 “멋있다”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25) 국립언어학연구소의 통계에 따른 정보 26) 훈남: 잘 생기고 좋은 남자 짝남: 짝사랑하는 남자 흔남: 평범한 남자 27) 훈녀: 미인, 아름다운 여자 짝녀: 짝사랑하는 여자 28) 흔녀: 평범한 여자 2018 년 11 월 01 일에 Facebook 에 올린학생들 대나무숲에서 31 수집한 사진 발음하고 [사진 24]: “오타쿠” 일본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29) “おたく”는 원래 일본어의 ‘당신’의 존칭인 ‘댁’을 뜻한다 타카나로 쓰이면 “お た く”는 “어떤 분야에서 열정적이고 중독적인 사람”를 암시한다 위의 사진에 나타난 “오타쿠”는 “お た く”에서 한국어로 전환되었으며 “어떤 분야에서 열정적이고 중독적인 사람”이란 뜻으로 사용된다 (3) 영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사진 25]: “레알” 영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30) 29) 2019 년 09 월 03 일에 Facebook 에 올린 전대숲 - 전국 대학생 대나무숲에서 수집한 사진 30) 2018 년 04 월 17 일에 Facebook 에 올린 전북대학교 대나무숲에서 수집한 사진 32 “레알”은 “real”라는 영어 단어를 철자대로 읽은 표현으로 “진짜”를 의미하여 문장에서 강조할 때 쓰이는 표현이다 그외에 한국 대학생의 은어는 영어 단어의 이니셜 (로마자), 영어와 한국어를 결합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은어의 공통적인 특징은 대학생들의 신선하고 유머러스한 표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영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 은어 의미 “Campus couple”의 줄임말이고 같은 학교에서 사랑하는 CC 커플을 지칭한다 “Too Much Information”의 줄임말이고 너무 과한 정보라는 TMI 뜻이다 “Time Place Occasion”의 줄임말이고, “시간, 장소, 상황에 TPO 맞는 행동을 하라'라는 뜻이다 BF “Boyfriend”의 줄임말이고 남자 친구라는 뜻이다 노잼 No+ 재미 재미없다 2.2.2 은어의 의미를 전환하는 방법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마찬가지로 한국 대학생의 은어는 의사 소통에서 신선함을 표현하고 자아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한국 대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단어의 의미를 전환하는 방법을 통해 은어를 만들었다 - “직유법 (‘~처럼’, ‘~같이’, ‘~듯’의 형식) - 은유법 (은밀하게 비유하는 형식) - 의인법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에 빗대어 표현하는 비유법) 33 - 활유법 (생물이 아닌 것을 생물처럼, 비정물을 유정물로 표현하는 비유법) - 대유법 (대상과 관계된 사물이나 특징 및 그 대상을 빗대는 비유법) - 풍유법 (속담이나 격언을 이용하여 빗대는 비유법) - 중의법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닐 수 있는 말로 자신의 뜻을 전달하는 비유법) - 의성법 (소리를 본떠서 표현하는 방법) - 의태법 (모양을 본떠서 표현하는 방법).”31) 위의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은어들이 다음과 같다 은어의 의미를 전환하는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은어 은어 의미 감초 여기저기 끼는 사람 건빵구멍 눈이 작은 사람 독립 선언 가출 뚝배기 머리 신사임당 만원 배춧잎 만원 31) 위의 방법들은 Tumurchuluun Tuvshinjargal 에 의해 인용되었다 (한국어와 몽골어 은어(隱語)의 형태적인 비교 연구, 2015: 36 - 37) 34 2.2.3 품사 변경 방법 2.2.3.1 동사/형용사는 명사/명사구로 바뀐다 한국어에서 명사/형용사를 명사화하는 한국어의 가지 방법이 있다 - 동사/형용사의 어건과 “이다” 뒤에 명사화 어미 “ㅁ”를 붙어서 명사를 만든다: 동사/형용사/이다 + ㅁ 명사/형용사의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ㅁ”를 결합하고 명사/형용사의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음"을 결합한다 예: - 하다 -> 함 믿다 -> 믿음 동사/형용사/이다 뒤에 “기”를 붙이는 것이다: 동사/형용사/이다 + 기 예: 공부하다 -> 공부하기 유명하다 -> 유명하기 - 관형형을 사용한다: 동사/형용사: + ㄴ/는/(으)ㄹ 것 예: 화장하다 예쁘다 -> 화장하는 것 -> 예쁜 것 이러한 품사 변경 방법을 통해 한국 대학생들은 동사/형용사를 명사와 명사구로 바꿔 유연하게 사용하였다 35 [사진 26]: “쌩까다” 품사 변경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은어 32) “쌩까다”는 한국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은어로서, “무시하다”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이다 [사진 26]에서 쓰인 까다”는 “쌩 명사형 전성어미 “ㅁ”와 결합하여 문장의 마지막 부분을 명사로 만든다 [사진 27]: “꼽주다” 품사 변경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은어 33) 마찬가지로, [사진 27]에서 “꼽주다”는 “창피주다”라는 뜻으로 동사이다 누군가를 당황스럽게 여깁니다 “꼽 주다”는 “기”를 결합해서 명시로 명사로 변환시켰다 32) 2019년 04월 09일에 Facebook에 올린년 03월 04일에 Facebook에 올린 #42287 번째포효 번 동국대학교 대나무숲에서 수집한 사진 33) 2019년 11월 09일에 Facebook에 올린년 03월 04일에 Facebook에 올린 #71831번째 서울국제고 대나무숲에서 수집한 사진 36 [사진 28]: “웃프다” 품사 변경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형성된 은어 34) “웃프다”는 “웃으면서 슬프다”를 의미하는 형용사다 [사진 28]에서 “웃프다”와 관형사형 어미 “ ㄴ”를 결합해서 “웃픈 일”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거 정말 웃픈 일이야”는 “이거 정말 웃으면서 슬픈 일이야”라는 뜻이다 2.2.3.2 명사는 동사로 바뀐다 한국어 은어에서 명사를 동사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더 잘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예를 분석할 것이다 [사진 29]: “심쿵” 품사 변경 방법으로 의미를 전환된 은어 35) 34) 2019 년 05 월 28 일에 Facebook 에 올린 #106323 울림 번 번성균관대학교 대나무숲에서 수집한 사진 35) 2019 년 12 월 04 일에 Facebook 에 올린 ##43295 번 숭실대학교 대나무숲에서 사진 37 수집한 “심쿵”은 “심장이 두근 두근하다”를 의미하는 명사이다 “심쿵”뒤에 동사 파생 접미사 “하다”가 붙어서 “심쿵하다”라는 동사가 생겨서 사용된 단어이다 그러므로 명사를 동사로 변환시키기 위해 명사 뒤에 “하다”를 붙이는 것이다 명사 뒤에 “하다”를 붙여서 명사를 동사로 변환시키는 것 외에도 명사를 동사로 변환하기 위해 “되다”, “시키다”와 같은 동사 파생 접미사를 붙일 수도 있다 38 제 장: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한국 대학생의 은어 비교 그러므로 은어의 어원, 의미 전환과 품사 변경에 따라 현재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베트남어 은어와 한국어 은어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였다 이러한 특성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한국 대학생의 은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3.1 공통점 과학과 기술의 발전, 특히 인터넷의 보급은 베트남과 한국 양국의 젊은이들의 은어가 강하게 형성되고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두 나라의 대학생들이 사용하는 은어는 의사 소통에 신선하고 흥미로운 느낌을 가지고 있다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한국 대학생의 은어는 많은 공톤점이 있다 첫째,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한국 대학생의 은어가 대학생층에 사용된 말이다 대학생 은어의 은비성이 아직도 있지만 많이 낮아진 대신에 젊은 사람들의 능동적이고 유머스러운 색깔을 가지고 있다 둘째, 어원 측면에 대부분의 베트남어 은어와 한국어 은어는 모국어를 기준으로 형성된다 모국어의 기본 단위를 바탕으로 은어는 단어의 의미를 새로운 의미로 전환한다 더불어 베트남과 한국은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양국의 젊은이들이 한자어를 빌려 은어를 만들었다 또한 세계화 및 통합 과정으로 인해 영어와 문화의 강력한 도입을 포함하여 외국어 및 문화가 양나라에 도입되었다 따라서 영어를 차용함에 의하여 형성된 은어는 점점 더 많아진다 셋째, 두 나라의 대학생들의 은어는 단어의 의미를 전화하는 방법을 통해 만들어지며, 은유법, 활유법와 같은 방법을 기반으로 두 39 나라의 학생들이 만든 수많은 은어가 있다 은유법과 활유법ㅇ 의사 소통에 신선함을 가져 왔습니다 넷째, 두 나라 대학생의 은어는 품사를 변경함에 의해 형성된다 은어에서 품사를 변경시키거나 변경하는 것은 형용사를 명사 또는 동사를 명사 또는 명사구로 명사구로 변경시키는 것 등을 포함한다 3.2 차이점 베트남과 한국은 아시아에 위치하기 때문에 문화적 유사성이 많은 두 국가이다 그러나 문화가 비슷하더라도 언어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면 각 나라의 은어에 차이를 만들 것이다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한국 대학생 은어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어원 측면에서 영어를 차용해서 사용하는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한국 대학생의 은어 수가 많다 그러나 소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대학생 은어에 대한 자료에 의하여 영어를 차용해서 쓰이는 한국 대학생의 은어 수가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보다 더 높다 품사 변경 방식 측면에 베트남어는 고립어에 속하므로 베트남어 형태소의 대부분은 독립적이며 베트남어의 어간이 독립적으로 단어 단위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품사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새로 생성된 단어는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반면에 한국어는 교착어에 속하여 어간은 단어의 중심 부분이며, 품사를 변경될 때 어간은 구성 접두사로 결합된다 40 제 부: 결론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한국 대학의 은어는 지금까지 어원, 의미 전환과 품사 변경에서 분석하고 비교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한다: 베트남과 한국의 문화적 근접성은 두 나라의 대학생들의 은어 사용에 많은 유사점을 만들지만, 그러한 유사점 외에도 베트남 대학생의 은어와 한국 대학생의 은어는 차이가 있다 그러한 차이점이 다른 언어에서는 찾을 수없는 특별한 것을 만든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부 (서론)에서는 베트남과 한국의 외국어 학습자를 위해 양국 대학생의 은어를 분석하고 비교하는 본 논문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대상, 범위 및 방법 그리고 선행 연구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부분에서 은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는 것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대한 외국어 학습자들의 관심을 줄일 수 있다는 이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제 부 (본론)에서는 내용은 구체적으로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장에서는 베트남어 은어와 한국어 은어의 개념 및 특성과 관련된 내용을 제시하고 두 개념의 공통점을 밝혔다 제 장에서는 수집된 예문을 통해 어원, 의미 전환과 품사 변경에 대한 내용을 깊게 분석하였다 제 장에서는 베트남어 은어와 한국어 은어를 비교한 후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제 부 (결론)에서 연구의 내용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록 부족한 점과 제한적인 부분이 많이 있으나 이 연구 결과가 한국어를 공부하는 베트남과 한국인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되는 것을 기대한다 41 베트남어를 공부하는 참고 문현 Ban Tu thư Khai trí(1971), Tự điển Việt Nam, NXB Nhà sách Khai Trí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 SGK Ngữ văn 7, NXB Giáo dục Việt Nam Đoàn Tử Huyến, Lê Thị Yến(2008), Sổ tay từ - ngữ lóng tiếng Việt, NXB Cơng an Nhân dân - Trung tâm Văn hố Ngơn ngữ Đơng Tây Hà Quang Năng(1981), Một số suy nghĩ tượng chuyển loại tiếng Việt, Giữ gìn sáng tiếng Việt mặt từ ngữ - tập 2, NXB Khoa học Xã hội Hội đồng quốc gia đạo biên soạn từ điển quốc gia Việt Nam(2005), Từ điển bách khoa Việt Nam 4, NXB Từ điển bách khoa Jean Nicolas Arthur Cheson(1905), L’argot annamite (Tiếng lóng Việt Nam) Lê Thị Trúc Hà, Tiếng lóng phương tiện truyền thông Lê Viết Dũng, Lê Thị Ngọc Hà(2010),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tiếng lóng giới trẻ Pháp Việt Nam phương tiện thông tin đại chúng, Tạp chí KH & CN Đại học Đà Nẵng Nguyễn Thiện Giáp(1985), Từ vựng học tiếng Việt, NXB Đại học Trung học chuyên nghiệp Nguyễn Văn Khang(2001), Tiếng lóng Việt Nam, NXB Khoa học Xã hội Viện Ngôn ngữ Việt Nam(1986), Từ điển tiếng Việt, NXB Từ điển bách khoa Vũ Thị Hương(2012), Tiếng lóng diễn đàn trực tuyến tiếng Việt: thực trạng, đặc điểm, chế hình thành 문세영(1936), 변말, 한글 35, 한글학회 박호삼(1990), 大邱地域의 隱語硏究 - 대구지역의 은어 연구 라용호(1993), 은어의 연구 최이현(1999), 학생 은어의 변천에 관한 고찰 마은영(2000), 高等學生 隱語 硏究 김정하(2006), 1990 년대’와 ‘2000 년대’의 중·고등학생 은어의 고등학생 42 은어의 비교 연구 Tumurchuluun Tuvshinjargal(2015), 한국어와 몽골어 은어(隱語)의 형태적인 비교 연구 김민수(1953), 은어(변말) 시고 특히 거지 말을 중심으로 하여, 국어국문학 6, 국어국문학회 김해성(1977), 한국 대학생의 은어조사-남녀대학생 1,270 명 응답 자료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76, 국어국문학회 장태진(1992), 은어집람의 우리 변말에 대하여, 동방학지 76 43 참고 자료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 d=%EC%9D%80%EC%96%B4 https://marketingai.admicro.vn/top-mang-xa-hoi-pho-bien-nhat-tai-viet-namhien-nay/ http://catalk.kr/information/popular-social-networks-of-korean-students.html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https://www.facebook.com/search/top/?q=%EB%8C%80%EB%82%98%EB% AC%B4%EC%88%B2 https://www.facebook.com/search/top/?q=confessions Bàn việc sử dụng ngôn ngữ giao tiếp sinh viên nay: http://xahoi.vnua.edu.vn/index.php/thong-tin-trao-doi/467-ban-v-vi-c-s-d-ngngon-ng-giao-ti-p-c-a-sinh-vien-hi-n-nay Hiện tượng lạm dụng ngôn ngữ ngoại lai giao tiếp giới trẻ nay: http://khxhnvnghean.gov.vn/m/?x=863/dieu-tra-xa-hoi/hien-tuong-lam-dungngon-ngu-ngoai-lai-trong-giao-tiep-cua-gioi-tre-hien-nay Chữ nghĩa: Toang - ngôn từ làm 'tan hoang' sống: https://thethaovanhoa.vn/dien-dan-van-hoa/chu-va-nghia-toang-ngon-tu-lamtan-hoang-cuoc-song-n20200311065113689.htm 44

Ngày đăng: 30/08/2023, 18:03

Tài liệu liên qu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