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rang chủ
  2. » Luận Văn - Báo Cáo

동물에 관한 한×베 사자성어 대조 연구 의미특성과 상징을 중심으로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thành ngữ bốn thành tố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liên quan Đến Động vật (tập trung vào Đặc trưng Ý nghĩa và biểu trưng)

111 1 0
Tài liệu đã được kiểm tra trùng lặp

Đang tải... (xem toàn văn)

Tài liệu hạn chế xem trước, để xem đầy đủ mời bạn chọn Tải xuống

THÔNG TIN TÀI LIỆU

Thông tin cơ bản

Tiêu đề A Comparative Study of Four-Character Idioms Related to Animals in Korean and Vietnamese (Focusing on Meaning,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Tác giả Nguyễn Văn Việt
Người hướng dẫn TS. Nghiệm Thị Thu Hương
Trường học Hanoi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Foreign Languages
Chuyên ngành Korean Linguistics
Thể loại Master's Thesis
Năm xuất bản 2024
Thành phố Hanoi
Định dạng
Số trang 111
Dung lượng 2,07 MB

Cấu trúc

  •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5)
  • 1.2. 연구대상 및 방법, 구성 (16)
  • 1.3. 선행연구 (22)
    • 1.3.1. 한국과 베트남에서 성어와 성어 대조에 대한 연구 (22)
    • 1.3.2. 한국과 베트남에서 성어와 사자성어 대조에 대한 연구 (0)
    • 1.3.3. 한국과 베트남에서 성어와 사자성어의 의미특성에 대한 연구 (24)
    • 1.3.4. 한국과 베트남에서 성어와 사자성어의 상징에 대한 연구 (26)
  • 2.1.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정의 (28)
    • 2.1.1. 동물에 관한 한국 사자성어의 정의 (28)
    • 2.1.2. 동물에 관한 베트남 사자성어의 정의 (29)
  • 2.2.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유래에 따른 분류 (31)
    • 2.2.1. 동물에 관한 한국 사자성어의 유래에 따른 분류 (31)
    • 2.2.2. 동물에 관한 베트남 사자성어의 유래에 따른 분류 (33)
  • 2.3.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특징 (34)
  • 2.4. 한국과 베트남의 12 간지 문화 (35)
  • 2.5.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의미특성과 상징 (37)
    • 2.5.1.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37)
    • 2.5.2.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상징 (38)
  • 3.1. 개가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40)
    • 3.1.1. 긍정적 의미 (40)
    • 3.1.2. 부정적 의미 (43)
    • 3.1.3. 중립적 의미 (45)
    • 3.1.4. 개가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대조 (47)
  • 3.2 용이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48)
    • 3.2.1. 긍정적 의미 (49)
    • 3.2.2. 부정적 의미 (51)
    • 3.2.3. 중립적 의미 (53)
    • 3.2.4. 용이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대조 (55)
  • 3.3. 호랑이가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56)
    • 3.3.1. 긍정적 의미 (56)
    • 3.3.2. 부정적 의미 (58)
    • 3.3.3. 중립적 의미 (60)
    • 3.3.4. 호랑이가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대조 (62)
  • 4.1.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개의 상징 (64)
    • 4.1.1. 개의 긍정적 상징 (64)
    • 4.1.2. 개의 부정적 상징 (66)
    • 4.1.3.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개의 상징 대조 (69)
  • 4.2.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용의 상징 (70)
    • 4.2.1. 용의 긍정적 상징 (71)
    • 4.2.2. 용의 부정적 상징 (75)
    • 4.2.3.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용의 상징 대조 (76)
  • 4.3.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의 상징 (77)
    • 4.3.1. 호랑이의 긍정적 상징 (78)
    • 4.3.2. 호랑이의 부정적 상징 (80)
    • 4.3.3.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의 상징 대조 (83)

Nội dung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교 대학원NGUYỄN VĂN VIỆT -의미특성과 상징을 중심으로- Nghiên cứu đối chiếu thành ngữ bốn thành tố trong tiếng Hàn và tiếng Việt liên quan đến động vật Tập trung vào đặc trưng ý nghĩa và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언어는 한 나라의 전통과 삶의 방식을 담는 특별한 그릇과 같다 또한 그 나라의 문화가 어떤 것인지도 보여줌으로써 문화의 운반체이고 민족의 중요한 부분인 언어는 한 나라에 대한 많은 것을 말해 줄 수 있다 한 나라의 언어에서 사용되는

단어, 표현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언어의 측면을 살펴보면 그 나라의 문화, 역사, 사회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전정예 (1999, p.96)에서 언어와 문화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언어가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견해가 있고 반대로 언어의 유형이 문화의 유형을 규정하고 인식과정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가 있다고 하였다 언어와 문화는 함께 발전하고 발전하면서 서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국의 문화인류학자인 앨프리드 루이스 크로버 (Alfred L Kroeber)는 문화는 어떤 민족의 언어 출현과 함께 시작되며, 그 이후 두 가지 중 하나의 발전이 다른 하나를

더욱 발전시키는 것을 이끈다고 말하였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언어학자들은 같은 내용이라도 민족마다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언어를 연구할 때 언어의 내부 구조에 따라 독립적으로 연구할 수 없으며 사회적 요인, 특히 문화와 관계를 맺어야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한 민족의 언어와 역사, 문화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 공동체의 언어 발전 과정을 연구할 때 그 공동체의 문화 역할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으며 반대로 한 공동체의 문화 발전 과정을 연구하려면 언어를 통해 시작해야 한다 언어를 통해야만

해당 공동체나 민족의 문화 비밀을 해독할 수 있으며 언어는 문화를 탐구하기 위한

열쇠 역할을 한다

베트남어와 한국어에는 매우 중요하며 베트남과 한국의 사교 방식, 문화 의식,

역사 배경을 말해 줌으로써 성어가 존재한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성어에는 일상생활이나 문학에서 많이 쓰이는 ‘사자성어’라는 특별한 표현이 있다 사자성어는

식물 사자성어, 동물 사자성어, 숫자 사자성어, 색깔 사자성어 등이 존재하지만 사람들이 오랫동안 습관적으로 사용해 온 다양한 주제 중에 일상생활이나 문학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존재인 '동물'을 중심으로 한 동물 사자성어가 존재한다 조박도

(赵伯陶)에 따르면, 원시사회의 모계씨족 (母系氏族) 사회 후기에 있어 어렵 (渔猎)은

사람의 생존을 보장하는 중요한 조건이었다 동물을 식량원으로서의 중요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리하여 동물은 자연스럽게 인간 세계로 진입하여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정신 생활이나 문화생활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동물 사자성어는 인간과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이며 사회와 문화 측면에서 많은 의미를 갖는다

허용 (2013)의 저서 『대조언어학』에서 대조언어학을 여러 언어의 특징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유사성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언어학의 한 분야로 정의한다 이 비교에는 비교되는 언어의 형태론적, 의미론적 특징을 조사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언어 학습자에게 오류를 일으키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학습자 모국어의 영향이다 학습자는 종종 언어적 요소를 모국어에서 목표 언어로 옮기는데

이는 외국어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사자성어 중에서 모국어의 간섭과 사자성어에서 전달하는 의미와 상징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부정적인 전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자성어가 있다 때로는 사자성어에 등장하는 이미지가 유사하더라도 그 의미와 상징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자성어 특히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조를 통한 비교분석이 필수적이다

현재 동물 사자성어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이 한국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동물에 관한 한•중 또는 한•일 사자성어를 비교하는 연구가 있지만 베트남과 한국 간에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 특히 동물에 관한 한ã베 사자성어를 비교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과 관한 한국과 베트남의 사자성어의 의미 특성과 상징을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한-베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의미특성과 상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 유사점과 차이점의 이유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에 담긴 문화를

연구대상 및 방법, 구성

본 연구는 동물 사자성어를 연구하며 의미특성과 상징을 통해 분석할 것이다 한국과 베트남에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가 너무 다양하지만, 논문의 범위 한정성을

고려하여 베트남과 한국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 가지 대표적인 동물인 개,

용,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만 중점적으로 조사하려고 한다 이 세 가지 동물을 선택한 이유는 그들이 독특한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는 오래전부터 인간과 함께 살며 가까운 동반자로 간주되어 있는 동물이다 용은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지만 영적 신념과 문화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며, 미술 작품과 문학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 동물이다 호랑이는 오랜 역사와 인간과의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에서 강력한 상징으로 인식되며 힘, 위엄, 아름다움, 그리고 신비를 상징해 왔다 특히 세 가지 동물은 깊은 의미를 내포한 12

간지 문화에서 나오며 이에 대해 연구할 필요 있다

그리고 개, 용, 호랑이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성어와 사자성어에 자주 등장하는

세 동물이다 장붕 (2015), 위정사 (2018), 함명자 (2019)의 성어와 사자성어 연구에서 개, 용, 호랑이를 포함한 동물들의 등장 빈도를 지적하였다

장붕 (2015)에서는 한국의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에서 각 동물의 등장 비율을 다음과 같이 표로 제시하였다

표6 1 : 한국 동물 사자성어 비율 조사표

순서 동물 숫자 비율 (%)

위의 도표는 장붕(2015, p.40)의『사자성어대사전』에서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수량을 통계한 것이다 도표에 따르면, 한국의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는 총

921 개에 달한다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성어에 등장하는 동물 중 용은 82 번,

1 장붕 (2015, p.40에서 재인용)

호랑이는 78 번, 개는 49 번 등장하여 다른 동물에 비해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Ham Myoung Ja (2019)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성어에서 동물 이름의 등장 빈도를 통계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3 페이지에는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에서 한국어 성어에 등장하는 동물 이름의 빈도를 통계로 나타낸 표가

표1.3 2 : Bảng thống kê tần số xuất hiện tên các con vật trong thành ngữ tiếng Hàn ở Đại từ điển tiếng Hàn tiêu chuẩn (표준 국어 사전의 한국어 성어에

등장하는 동물 이름의 빈도 통계표)

Tên các con vật (동물 이름) Tần số (빈도) Tỷ lệ (비율) (%)

도표를 보면 이 사전에 등장하는 총 152 종의 동물 중 개가 20회로 가장 많이 등장하며, 호랑이와 용도 각각 8회, 4회로 다른 동물에 비해 등장 빈도가 높은 편이다

그리고 25 페이지에는 베트남어 성어 사전 (Nguyễn Như Ý, Nguyễn Văn Khang, Phan Xuân Thành))의 베트남어 성어에 나타나는 동물 이름의 빈도에 대한 통계표가 나와 있다

2 Ham Myoung Ja (2019, p.23에서 재인용)

표1.4 3 : Bảng thống kê tần số xuất hiện tên các con vật trong thành ngữ tiếng Việt ở

Từ điển thành ngữ Việt Nam (베트남어 성어 사전에 나오는 동물 이름의 빈도 통계표)

Tên các con vật (동물

Tần số (빈도) Tỷ lệ (비율) (%)

도표를 보면 이 사전에 언급된 총 1182 종의 동물 중 개가 118 회로 가장

많이 등장하며, 호랑이는 53 회, 용은 18 회로 다른 동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등장 빈도를 보인다

위의 연구 결과를 보면 모두 개, 용, 호랑이의 등장 비율이 다른 동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동물들이 항상 가장 자주 등장하는 동물은 아니지만 등장 빈도는 항상 상위권에 속한다

위의 분석을 통해 개, 용, 호랑이는 일반적으로 성어와 사자성어에 등장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이 동물들이 인간의 삶에 어느

정도 친밀감과 친밀감을 갖고 있음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사자성어의 개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표준 국어 대사전』과

선행연구

한국과 베트남에서 성어와 성어 대조에 대한 연구

한국과 베트남 모두 성어에 대한 연구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한국과 베트남에서 Ham Myong Ja (2019), Moon Jungbin (2018), Lê Thị Hương (2015), 함명자 (2019),

Phan Phương Thanh (2019) 등이 성어나 성어 대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Ham Myong Ja (2019)에서 한국어 동물이 포함된 성어의 의미적, 구조적 특성을

연구하여 베트남어 동물이 포함된 성어와 비교하였다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성어어의 구조적 특징과 구조적 요소의 수를 지적하였다 또한 연구에서는 동물이

포함된 한국과 베트남 성어의 의미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Moon Jungbin (2018)에서 베트남과 한국의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를 비교하였다

저자는 연구를 통해 베트남어와 한국어에서 유래한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분류한 후 이들 성어의 구조와 의미를 비교하였다 또한 논문에서 이러한 성어에 대한 양국 간의 문화의 영향을 지적하였다

Lê Thị Hương (2015)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동식물에 관한 성어와 속담을

비교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소, 말, 호랑이, 닭, 생쥐 등의 동물과 콩, 나무, 꽃, 호박,

쌀 등의 식물의 상징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주로 두 언어의 성어와 속담에 나타나는

상징 해석과 문화적 특징에 중점을 두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식별했다

함명자 (2019)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동물에 관한 성어를 비교했다 연구에서 성어의 구조적 특징은 대칭을 나타내는 그룹과 비대칭을 나타내는 그룹의

두 그룹으로 분류되며 동물에 관한 성어의 상징과 문화적 의미로 분류하였다

Phan Phương Thanh (2019)에서 인지언어학을 바탕으로 중국어와 베트남어의

동물에 관한 성어의 의미적 특징을 명확하게 밝혀냈다 논문에서 중국어와 베트남어의 동물에 관한 성어의 의미를 통해 인지언어학 특징과 민족 문화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지언어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어와 베트남어의 동물에 관한 성어의 의미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1.3.2 한국과 베트남에서 사자성어와 사자성어 대조에 대한 연구

한국과 베트남 양국에서 모두 상당히 많은 연구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들은

주로 한국어와 중국어나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사자성어를 비교하며 사자성어의 형태와 문화적 상징에 중점을 두었다 사자성어나 사자성어 대조에 대한 연구 중 李洙因 (2014), Nguyễn Hương Ly (2022), 설서가 (2019), 장붕 (2015), 룽룽 (2022) 등이 언급해야 한다

李洙因 (2014)에서 12 간지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 활용에 대한 연구 조사를 진행하였다 저자는 한국과 중국의 사자성어를 비교 분석하여 언어구조에 따라 분류하였다 또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자성어의 형태 변화에 기여하는 요인과 유래

및 기본 의미를 조사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사자성어의 상징적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 사자성어의 개수와 유형에 따라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자성어에 채용된 다양한 구조를 체계적인 분류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Nguyễn Hương Ly (2022)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성어에는 4 음절로 이루어진

숫자에 관한 사자성어를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사자성어의 형태의미적 특징 대조와

한국과 베트남에서 성어와 사자성어의 의미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과 베트남 양국에서 성어나 사자성어의 의미특성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손정 (2017), 능초 (2019), SHUJIA XUE (2019), Hoàng Thị Yến (2023) 등이 성어나 사자성어의 의미특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손정 (2017)에서 한ã중 숫자에 관한 사자성어의 유형과 의미 비교를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ã중 숫자에 관한 사자성어의 유형과 의미를 비교하였다 논문에서는

숫자 사자성어의 개념과 특징을 소개한 후, 숫자 사자성어의 형태와 의미를 비교한다

이 논문은 사자성어의 의미는 동형동의형 (同形同意型), 동형이의형 (同形異意型), 이형동의형 (異形同意型)과 이형이이형 (異形異意型) 숫자에 관한 사자성어로 분류하여 한ã중 양국의 숫자에 관한 사자성어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중 각 유형의 숫자에 관한 사자성어의 의미를 분석한 후에 의미특성에 따라 또 다시 ‘[정도]’,

‘[상태]’, ‘[강조]’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마지막 한중 숫자에 관한 사자성어의 유형과

의미 특성을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각 유형 숫자에 관한 사자성어의 특징을 밝히고 정리하였다

능초 (2019)에서 한ã중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형태적 의미적 특성 대조를 하였다 먼저 이 연구에서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를 동형동의형

(同型同義型),동형이의형 (同型異義型),부분 이형동의형 (部分異型同義型) 완전

이형동의형 (完全異形同意型)으로 분류하고, 양국의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들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다음에 한중 각 유형의

동물 과련 사자성어의 의미 특성에 따라 또 다시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세 가지로 분류를 하였다 ‘[긍정적]’은 주로 ‘충성함, 힘, 위엄, 효도, 용감함, 훌륭함, 아름다움, 평화함, 재능, 권력, 성공, 영웅’등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부정적]’은 주로

‘산만함, 불가능함, 어리석음, 아첨람, 고집함, 하천함, 나쁨, 거대함, 흉악, 위험, 탐욕,

사나움, 망설임, 쓸모없음, 겉과 다름, 낭배함, 교활함’등 소극적인 의미를 가진다

‘[중립적]’은 주로 ‘교통수단, 맹세, 세월, 무사, 친구, 흔하지 않음, 변화함, 장수,

기다림’등 어떤 현상에 대해서 단순히 묘사하는 말이고, 감정이 들어가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한ã중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형태적 특징과 의미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SHUJIA XUE (2019)에서 한중 12 간지 동물 사자성어 대조 연구를 하였다

연구에서 동물 사자성어의 의미특성을 긍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중립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분류하여 대조하였다 이 동물들이 들어가 있는 성어들의 뜻이나 유래를 분석함으로써 한중 양국 사람들이 각 동물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양상을 살펴본 다음에 12 간지 동 물 사자성어의 의미특성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Hoàng Thị Yến (2023)에서 베트남과 한국의 비교 속담에 대한 연구를

한국과 베트남에서 성어와 사자성어의 상징에 대한 연구

조사 과정에서 성어나 사자성어의 상징에 대한 연구도 몇 가지의 연구를 찾았다 우연미 (2008), 魏然 (2016), Hoàng Thị Yến (2022), Hoàng Thị Yến (2016), Hoàng Thị

Yến (2018) 등이 성어나 속담, 동물 사자성어의 상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우연미 (2008)에서 중국과 한국에서 성어 속에 자리 잡은 띠 동물의 의미를 알아보고, 생활 전반의 일반적인 상징의미와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거쳐 중국과 한국에서 띠 동물의 일반적인 상징의미를 연구해 보고, 성어 속에서 띠 동물이 상징의미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魏然 (2016)에서 한•중 12 간지 동물 속담의 상징의미 대조하였다 한•중 양국

12지신 동물을 나타내는 속담 속의 소재와 내용을 대조하였다 저가는 12지신 동물이 포함된 속담들을 수집하고 정리한 후에 각각의 동물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을 살펴봄으로써 두 나라간의 동물의 상징적인 의미를 대조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12 지신 속담 중에서 소재가 같은 경우와 소재가 다른 경우로 분류하고 소재가 같은 경우에서도 1의미 차이가 없는 경우, 2의미 차이가 없는 경우로 분류하고 제시하였다

Hoàng Thị Yến (2022)에서 데이터 분석 방법과 묘사 방법을 통해 한국 속담에서

나오는 개에 관한 상징을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한국어 속담의 개 이미지를 통해 생산

경험, 문제 해결 경험, 가정 및 사회에서의 소통 및 행동 경험, 교육 분야에서의 경험과 같은 다양한 경험을 제시하였다

Hoàng Thị Yến (2016)에서 호랑이에 관한 베트남과 한국 속담의 관계를

탐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서는 속담에서 묘사된 호랑이의 이중적 성격을 강조하며 호랑이가 포함된 속담을 통해 억압적이고 무자비한 세력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긍정적인 인간성을 찬양하는 역할도 언급하였다 각 속담의 상징을 조사함으로써 지배 계급의 억압과 착취, 인류의 숨겨진 본성 및 용서할 수 없는 환경

등에 대한 통찰을 얻게 되었다

Hoàng Thị Yến (2018)에서 용이 포함된 베트남어 속담을 분석하며 비교함으로써

용에 관한 한국어 속담의 민족 문화적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에서 용은 한국인의 가치관, 세계관, 인생관을 표현한다는 결과가 드러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용에 관한 속담에는 문화적, 교육적 가치를 포괄하는 심오한 경험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 결과에서 한국과 베트남 속담의 용 상징이 동양 문화의 용 상징과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속담, 성어, 성어 대조, 사자성어, 사자성어 대조, 성어와 사자성어의 상징, 성어와 사자성어의 의미특성에 관한 연구들은 속담, 성어, 사자성어와 관련된 한국어 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와 베트남의 사자성어 대조와 비교에 초점을 두는 연구가 전체 범위를 다루고 있지만 다수의 사자성어에 대한 연구는 주로 형태와 구조를 분석하며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의미특성과 상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의미특성과 상징에 대한 연구가 있더라도 주로 의미적 측면을 설명하는 데 그치며 구체적인 비율 대조는 적은 편이다 베트남어의 동물 사자성어와 동물 사자성어의 상징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일반적인 성어나 속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구체적인 의미특성과 상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한•베 양국의 동물 사자성어들의 의미특성과 상징을 제공함으로써 한ã베 사자성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제 2 장: 이론적 배경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정의

동물에 관한 한국 사자성어의 정의

한국 동물 성어의 구체적인 정의를 살펴보기에 앞서 한국 성어와 한자성어의 정의가 사전과 선행연구에서 정의되는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아래 표는 한국어 인쇄사전과 웹사전에서 볼 수 있는 성어와 사자성어의 정의를 정리한 것이다

한국어 성어의 사전적 정의

다음 표는 선행연구에서 각 연구자의 성어와 사자성어에 대한 정의를 간략하게 정리한 것이다

한국어 성어와 사자성어에 대한 연구자의 정의

학술 키워드 정의

곡녕녕 사자성어

사자성어는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전통이 반영된 특유한 습관적 표현으로, 두 개 이상의 어휘가 복합되어 제 3 의 의미를 갖고 하나의 단어처럼 쓰이는 말이라고 할 수

사전 키워드 정의

표준국어대사전

2 옛사람들이 만든 말

3「언어」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는,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 (語句)

사자성어 한자 네 자로 이루어진 성어 교훈이나 유래 를

한국어대사전

1「언어」관용적으로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특정한 뜻을 나타내는 언어 형태 = 관용어, 관용구, 숙어, 익은말, 익은이은말

2 이전부터 세상에서 널리 인용되어 쓰이는 말

사자성어 네 개의 한자로 이루어져 관용적으로 쓰이는 글귀

2 옛사람들이 만든 말

3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는,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 (語句)

사자성어 한자 네 자로 이루어진 성어 교훈이나 유래를

(2010) 있으며, 사자성어란 바로 두 개 이상의 한자 어휘로

이루어진 사자성어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성어 성어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이루어져 있는 옛사람들이

만든 말을 의미한다

사자성어 사자성어는 명칭 그대로 한자 네 자인 동시에 교훈 혹은

유래를 담고 있다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사자성어는 오랜 시간과 문화를 지니고 두 개 이상의 어휘로 이루어지며 문장에서 한 단어로 쓰이는 정형구이다 사자성어의 각 구조성분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어휘를 함부로 변하거나 다른 것으로 대신할 수

없다 보편적으로 사자성어는 네 글자로 생성되기 때문에 한국에서 사자성어라는 말로 많이 쓰이고 있다

이상의 사전과 학술자의 정의를 보면 대부분의 정의에서는 사자성어를 구성하는 요소가 한자라고 한다 한국어에는 한자로 구성된 성어는 한자성어

(漢字成語), 고사성어 (故事成語) 그리고 사자성어 (四字成語)가 있다 이 성어들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분하기가 쉽지 않은 일이다 정확히 어떤 성어를 ‘사자성어’로 만드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다.『사자성어 대사전』에서는 사자성어를 고사성어 중의 네 글자로 되어 있는 부분만이라고 하였고

『한국 사자성어 대사전』에서는 사자성어가 네 글자인 고사성어를 포함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자성어 대사전』의 정의를 따를 것이다 사자성어는 고사성어 중의 네 자인 부분과 다른 교훈을 주는 네 자인 성어를 모두 포함한다 사자성어는 꼭 고사성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고 고사성어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자성어는 말 그대로 네 자로 이루어진 성어이라고 정의된다

한국 사자성어 중에는 색깔에 대한 사자성어인 색깔 사자성어가 있고 사람 신체에 대한 사자성어인 신체 사자성어가 있고 날씨에 대한 사자성어인 날씨 사자성어도 있기도 하다 따라서 동물 사자성어는 동물에 대한 사자성어라고 정의할

동물에 관한 베트남 사자성어의 정의

먼저, 베트남어의 성어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지 베트남에서 언어를 연구할

때 자주 사용되는 사전인 Từ điển giải thích thuật ngữ ngôn ngữ học (언어학 용어 설명 사전)과 Từ điển tiếng Việt (베트남어 사전) 사전을 통해 알아보도록 한다

베트남어 성어의 사전적 정의

『Từ điển giải thích thuật ngữ ngôn ngữ học

(언어학 용어 설명

Thành ngữ là cụm từ hay ngữ cố định có tính nguyên khối về ngữ nghĩa, tạo thành một chỉnh thể định danh có ý nghĩa chung, khác tổng số ý nghĩa của các thành tố cấu thành nó, tức là không có nghĩa đen và hoạt động như một từ riêng biệt trong câu

성어는 의미적으로 통일된 어구나 구문으로 구성 요소의 합의 의미와 다른 의미를 갖는 고정된 어구나 구문이다 즉 성어는 본뜻이 없으며 문장에서 독립된 언어 단위처럼 쓰인다

(베트남어 사전) 』

Tập hợp từ cố định đã quen dùng mà nghĩa thường không thể giải thích được một cách đơn giản bằng nghĩa của các từ tạo nên nó 성어가 구성된 단어들의 의미로 설명하기 어려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정 어구 집합을 의미한다

베트남어 성어의 학문적 정의

Thành ngữ là cụm từ cố định mà các từ trong đó đã mất tính độc lập đến một trình độ cao về nghĩa, kết hợp làm thành một khối vững chắc, hoàn chỉnh Nghĩa của chúng không phải do nghĩa của từng thành tố/từ tạo ra Những thành ngữ này có tính hình tượng hoặc cũng có thể không có Nghĩa của chúng đã khác nghĩa của những từ nhưng cũng có thể cắt nghĩa bằng từ nguyên học 성어는 고정된 어구로 그 안의 단어들은 독립적인 의미를 상실하여 고도로 의미론적으로 통합된 안정된 블록을 형성한다 성어의 의미는 성어를 다루는 각 요소나 단어의 의미와 다르며 비유적인 의미를 갖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성어의 의미는 어원에서 파생된 의미와 다르지만 때때로 어원으로 설명될 수 있다

Thành ngữ là một loại tổ hợp từ cố định, bền vững về hình thái cấu trúc, hoàn chỉnh bóng bẩy về ý nghĩa, được sử dụng rộng rãi trong giao tiếp hằng ngày, đặc biệt là khẩu ngữ

성어는 의미적으로 전체성이 있고 형태구조적으로 정형성이 있으며 일상생활과 특히 구어체에서 널리 사용되는 고정구이다

Thành ngữ là những cụm từ vừa có tính hoàn chỉnh về nghĩa vừa có tính gợi cảm

성어는 의미적으로 전체성이 있으면서 감정적인 성격을 가진 구문이다

성어는 형태와 의미라는 두 가지 기준에 따라 구별된다 성어는 의미적으로 전체성이 있으면서 형태 구조적으로 정형성이 있으며 감정적인 성격을 가진 구문이다 베트남에서는 성어의 분류에 관해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그중에는 성어를 구성하는 음절의 수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는 Mai Ngọc Chừ (2009)의 의견이 있다 그리고 성어를 구성하는 어휘는 한자어나 고유어나 한자어와 고유어를 조합하여 만든

혼종어가 있다 베트남어 성어는 한자어만을 사용하거나 고유어만을 사용하거나 한자어와 고유어를 섞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베트남어 사자성어는 한자어만을 사용하거나 고유어만을 사용하거나 한자어와 고유어를 섞여 사용할 수

있는 4 음절로 만들어진 성어라고 정할 수 있다

베트남어 사자성어는 사자성어에 나타내는 성분에 따라 정의된다 한국 사자성어와 같이 식물에 대한 사자성어인 식물 사자성어가 있고 감정에 대한 사자성어인 감정 사자성어가 있고 사랑에 대한 사자성어인 사랑 사자성어도 있다 따라서 베트남어 동물 사자성어는 동물에 대한 사자성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유래에 따른 분류

동물에 관한 한국 사자성어의 유래에 따른 분류

한국과 중국 두 나라는 지리적으로 가깝고 불교와 유교를 공유하며 한자 문화권에 속해 예로부터 많은 공통점을 지닌 나라였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중국은 훈민정음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한자가 독점적으로 사용될 정도로 한국에 큰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중국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한국어 사자성어 중에 중국에서 유래한 사자성어가 적지 않은 편이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반드시 중국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많은 한국 사자성어의 유래에 대한 연구로는 장봉 (2015), 위정사 (2018), 룽룽 (2022) 등이 있으며 분류는 다음과 같다

한국 사자성어의 유래에 대한 연구

장봉 (2015) 중국의 영향

한국 특유의 사자성어 위정사 (2018) 중국에서 기원된 사자성어

한국의 고유한 사자성어

중국에서 전래된 사자성어

종교 용어에서 전래된 사자성어 한국에서 생성된 사자성어

위 의견들을 보면 사자성어의 유래에 대한 학자들의 공통 의견은 사자성어가 중국에서 유래된 사자성어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생성된 사자성어들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사자성어 유래를 분류하는 의견을 검토한 후 사자성어 유래를 중국에서 유래된 사자성어, 종교에서 탄생된 사자성어, 한국의

속성에서 생성된 사자성어로 분류하여 알아보려 한다

먼저 한국에서 유래된 사자성어를 알아보려 한다 한자는 한글이 개발되기 이전에 한국에서 사용되었던 글자였다 한자가 한국에 도입된 정확한 시기는 확실하기

쉽지 않지만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한자가 널리 사용된 시기는 신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로 인해 중국에서 사자성어를 비롯한 많은 문화가 한국으로 전해졌다

룽룽 (2022, p.22)에 따르면 중국에서 전래된 사자성어의 유래는 고전 시문, 우화•신화,

역사 이야기 그리고 고전 문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중국에서 유래되지만 형태를 바꾸어 사용되는 사자성어도 존재한다 그중에서 동물 사자성어도 많이 존재한다

(예1) 가 견마지심 [犬馬之心]: 신하와 백성이 임금과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몸을 바치는 마음을 아 주 겸손하게 이르는 말 [史記] 이종윤 (1995, p.48)

나 용문점액 [龍門點額]: 물고기가 용문 (龍門)에 오르려다 바위에 부딪쳐 이마를 다쳤다는 뜻으로, 과거에 떨어진 사람을 이르는 말 [後漢書] 이종윤

한국어 사자성어 중에서는 불교에서 유래된 사자성어가 적지 않고 향상 사용되는 성어라고 한다 그렇지만 한국은 다양한 종교가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불교처럼 도교, 유교, 기독교, 천도교와 같은 다른 종교에서 생긴 사자성어도 많다 그중에서 동물 사자성어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을 정도로 많다

(예2) 가 구룡토수 [九龍吐水]: (불) 석가모니가 탄생할 때 아홉 마리의

용이 물을 뿜어 목욕을 시켰 다는 일 이종윤 (1995, p.118)

나 인과응보 [因果應報]: 선인 (善因)에는 선과 (善果), 악인

(惡因)에는 악과 (惡果)로 인업 (因業) 이 있으면 반드시 그에 응하여 업보 (業報)가

있다는 말 불교에서 과 거 또는 전생의 선악의 인연에 따라서 뒷날 길흥화복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 [法華經] 이종윤 (1995, p.909)

한국의 속성에서 생성된 사자성어는 고전 시문, 신화 우화, 역사 이야기, 고전

문헌, 고유의 성어에서 유래된다 한국의 속성에서 생성된 사자성어 중에서 동물 사자성어도 많이 존재한다

(예3) 가 오방저미 [五方猪尾]: 다섯 방향으로 나있는 돼지의 꼬리란 뜻으로, 권세와 재화 (財貨)있는 자에게는 누구를 막론하고 아첨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 [世宗實錄] 이종윤 (1995, p.779)

나 우이독경 [牛耳讀經] 소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동우이송경 (牛耳誦經) [旬五志]

동물에 관한 베트남 사자성어의 유래에 따른 분류

베트남도 한국과 비슷하게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국가이며 오랜 역사 동안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 현재와 같이 사용하고 있는 글자 (𡨸國語)가 생기기 전에 한국 사람들이 사용했던 글자처럼 베트남 사람들이 사용했던 글자는 한자였다 베트남 문화는 중국에서 큰 영향을 받았으며 사자성어도 그중에 포함된다 그러나 노동과

문화 예술 창작 과정에서 베트남도 자체적으로 창작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사자성어는 역시 중국에서 유래된 것 외에도 베트남 사람들이 직접 창조한 사자성어도 있다 이 부분에서 저희는 베트남에서 동물 사자성어의 유래를 살펴보도록

한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베트남 사자성어의 유래도 다양하다 이러한 사자성어들은

주로 중국, 불교, 베트남 속성에서 유래되었으며 사용된다

먼저 중국에서 유래된 베트남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중국에서 유래된 사자성어는 주로 중국에서 유래된 한국 사자성어와 마찬가지로 고전 시문,

우화•신화, 역사 이야기 그리고 고전 문헌으로 유래하여 사용된다

(예4) 가 Dưỡng hổ di họa: 호랑이를 키우면 나중에 재앙이 오기 쉬운 것처럼 나쁜 사람을 키우거나 도와주면 해를 끼칠 것이다 Nguyễn Như Ý 외 (1993, p.239)

나 Long bàn hổ cứ: 아름답고 신성한 땅 Nguyễn Như Ý 외 (1992, p.385).

한국 사자성어와 마찬가지로 불교에서 유래된 베트남 사자성어도 존재하며 그중에서 동물 사자성어도 존재한다.

(예5) 가 Ác giả ác báo: 좋은 사람은 좋은 사람을 만나고, 악한 사람은 악한 사람을 만날 것이다 Vũ Dung외 (1995, p.9)

나 Ăn chay niệm phật: 불교를 믿고 정직하고 자비로운 사람

베트남의 속성에서 생긴 동물 사자성어도 적지 않은 편이다 베트남의 속성에서 생긴 사자성어들은 보통 노동생활, 알상생활 등과 같은 민족생활과 베트남의

민담•민화, 민요, Truyện Kiều (쭈이엔 끼에우) 등과 같은 문학작품 등에서 유래된다

또한, 베트남 사람들은 비록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관용적 표현을 발전시켜 온 베트남 사자성어도 있다

(예6) 가 Con rồng cháu tiên: 베트남 민족 혈통 Vũ Dung 외 (1995, p.178)

나 Ăn như rồng cuốn: 빠르고 많이 먹는 것 Vũ Dung외 (1995, p.35).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특징

한국과 베트남 동물 사자성어를 비롯한 사자성어의 특징을 살펴보면 유래

특징, 구조 특징, 의미 특징 등이 있다

유래 특징은 위의 2.1 절에서 언급했듯이, 한국과 베트남의 동물 사자성어를 포함된 사자성어는 모두 비슷하면서도 다른 유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사자성어 중 모두 중국과 불교에서 유래된 성어가 존재한다 그런데 그중에는 한국에만 있는 성어가 존재하기도 하며 베트남에만 있는 성어가 존재하기도

한다 이러한 성어는 베트남 민족이나 한국 민족의 사고와 문화에 속하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성어이다

구조 특징을 살펴보면 공통점과 차이점도 다 있다 위의 2.2 절에서 언급했듯이, 한국과 베트남의 사자성어는 말 그대로 네 자로 이루어진 성어이라고 정의되며 동물 사자성어는 동물에 대한 사자성어라고 정의할 수 있다 Nguyễn Hương Ly

(2022)에서 ‘양 언어의 사자성어는 ‘고정성’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즉, 사자성어를

구성하는 단어들의 위치 또는 단어 그 자체는 바뀔 수 없거나 다른 요소가 개입할 수 없다고 언급하였다 Nguyễn Hương Ly (2022)에서 사자성어의 구조 특성의 차이점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국어 사자성어는 한자어만을 쓰는데 베트남어 사자성어는 한자어뿐만 아니라 고유어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한자어와 고유어가 섞여 있는 혼종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Nguyễn Hương Ly (2022)에서 사자성어의 의미 특징에 대해 언급하면서 양

언어의 사자성어에는 ‘전체적 의미’와 ‘지시적 의미’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성어는 구성하는 단어들의 의미만으로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다는 특수한 의미가 있고, 특수한 의미 외에 한국어와 베트남어는 성어를 이루는 단어들의 의미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의미가 있는 성어도 있다’라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전체적 의미는 해당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려면 성어의 전반적인 구조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런 경우에는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은유법, 비유법, 환유법, 과장법이나 사자성어에서 담는 사회문화적 특징, 역사적 고사

등과 같은 여러 방식과 해석에 의존해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러 방식과 해석에 의할 필요 없이 성어가 구성되는 각 단어의 의미를 별도로 분석하여 이해할 수 있는 성어도 많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지시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과 베트남의 12 간지 문화

한국과 베트남은 중국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두 나라로 알려져 있다 한국과 베트남 문화를 연구할 때 중국문화와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한국과 베트남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중국 문화로부터 받은 영향 중에는 12간지 동물의 문화가 있다 한국과 베트남은 각자 중국 문화에서 비롯된 12 간지 문화를 갖고 있지만, 각 나라는

자체 문화의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12 간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각 나라와 민족에 따라 당연히 다를 수 있다 한국은 중국의 12 간지 동물 구성을 그대로 수용한 반면, 베트남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들이긴 하되 독자적으로 일부를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소를 물소로, 토끼를 고양이로, 양을 염소로 대체하는 등의 변형이 있다

12 간지에 대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은 세계 각지의 문화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간지의 다양성은 중국의 12 간지를 기반으로 하되 각 지역과 국가의 독특한 역사와 신화, 민간 신앙에 따라 다양한 변형과 해석을 거쳐왔다 중국의 12 간지가 기반이 되었지만 다른 국가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변종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베트남은 소를 물소로, 토끼를 고양이로, 양을 염소로 사용하고, 인도에서는 호랑이를 배제하고 나머지 동물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중국과 유사하지만 일본에서는 돼지가 멧돼지로 변형되었다 이는 일본의 고대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 돼지를 가축으로 기르지 않았던 일본에서 12 간지가 도입되면서 자연스럽게 멧돼지로 해석되었다고 전해진다 캄보디아와 태국은 중국과 비슷한 띠를 가지고 있지만, 각 동물의 순위가 다르게 부여되어 있다 미얀마는 여덟

띠를 가지고 있으며, 서양의 띠는 바빌론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띠의 기원은 중국 진나라의 문헌인 ‘도자 (盗者)’에 기록되어 있으며, 초기에는 도둑의 용모와 은신처를 점쳐보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역사가 흘러감에 따라

12 간지는 다양한 민간 신앙과 문화에 접목되어 혼인, 인생, 연운 등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각 띠는 풍부한 전설과 이야기를 갖게 되었으며

다양한 의식과 문화에서 반영되어 지역별로 독특한 민간 문화의 형상 철학을 형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어와 한국어 사자성어에 등장하는 동물의 상징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데, 흥미로운 점은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세 동물인 개, 용, 호랑이는 모두 12 간지에 나타나는 동물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베트남과 한국의 12간지에 문화적 차이가 있다

먼저, 한국과 베트남의 12간지 동물의 구성을 알라보도록 한다

한국과 베트남의 12간지 동물의 구성

한국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베트남 쥐 물소 호랑이 고양이 용 뱀 말 염소 원숭이 닭 개 돼지

위의 표를 보면 한국과 베트남의 12 간지 동물 차이점을 쉽게 알 수 있다 한국과 달리 베트남에서는 4 번째 위치하는 동물이 토끼 대신에 고양이, 9 번째는 양 대신에 염소를 사용하고 있다 베트남은 중국과는 다른 생활환경과 지리적 기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12 간지 동물 수용과정에서 12 간지 상징 동물이 변화한 것으로 설명되거나, 번역 과정에서 발생한 오역으로 인해 바뀌게 되었다고 의견이 있다

먼저, 베트남에서 소가 아닌 물소로 사용된 이유는 베트남은 농업 국가로 고대부터 물소는 농부들의 농사일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왔기 때문이다 베트남은 훙왕이 나라를 건국한 이후부터 쌀을 재배하는 나라여서 자연조건이 소를 키우기에 적합하지 않으나 물소가 더 적합한 동물이기 때문에 물소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동물이 되어 물소 띠가 생긴다

둘째, 베트남에서 토끼 대신 고양이를 사용하는 이유는 12 지 동물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전래과정에서 오역의 결과라는 의견이 있다 To Minh Tung, 구사회

(2019)에서 ‘베트남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한자를 오랫동안 썼던 나라이다 12 지를

받아들일 때 토끼를 가리키는 묘 (卯)의 음이 고양이를 가리키는 묘 (貓)와 헷갈려

토끼 대신 고양이를 12지 동물에 넣었다고 한다 따라서 오역하는 실수로 고양이 띠가 생기게 되었을 뿐이다.’라고 설명하였다 고양이는 농산물에 피해를 끼치는 쥐를 잡아먹기 때문에 농민들에게 도움이 되어 집에서 키워 가까이 지내오는 동물이라 인간에게 중요한 동물이 되어 12간지의 하나가 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셋째, 베트남 사람들이 양 대신 염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고대 사회에서 양은 존재한 동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양은 베트남의 기후에 적합하지 않은 동물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더 가까운 동물인 염소로 대체된다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의미특성과 상징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성어의 의미특성을 논의할 때 Hoàng Thị Yến (2023, p.152)에서 “12 간지 동물이 포함된 한국의 비교 성어는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 의미 특성에서 풍부하고 다양한 의미를 전달한다 긍정적인 의미특성은 ‘좋은 것’, ‘자질과 행동’, ‘유용한 가치’ 등을 칭찬하는 반면 부정적인 의미특성은 ‘나쁘고 쓸모없는 것’ 등을 반영한다 이 두 표현 사이에는 중립적 의미특성이 있다 객관적인 세계는 사람들의 다차원적인 관점의 렌즈를 통해 반영되며, 사람들의 견해, 태도, 사회적 지위, 교육 수준 등에 영향을

받다 성어는 구전되어 형성되고 발전되기 때문에 성어의 다양한 의미는 여러 세대의 다양한 감정 수준을 다면적이고 다차원적으로 반영한다”라는 의견을 말하였다 비교 성어와 마찬가지로 사자성어의 의미특성은 역시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며, 이는 문화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아래 Từ điển tiếng Việt (베트남어 사전)에 긍정적, 부정적에 대한 설명된 대로 기본 의미에 따라 사자성어의 의미를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의미로 구분하여 분석할 것이다 Từ điển tiếng Việt (베트남어 사전)에서 tích cực (긍정적)과 tiêu cực (부정적)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Tích cực (t) (긍정적): Có ý nghĩa, có tác dụng khẳng định, thúc đẩy sự phát triển (의미가 있으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발전을 촉진한다는 뜻을 가진다) (p.981)

Tiêu cực (t)(부정적): Có tác dụng phủ định, làm trở ngại sự phát triển (의미가 있으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발전을 방해한다는 뜻을 가진다) (p.990)

따라서 긍정적이나 부정적인 의미가 아닌 중립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는 중립적인 성어로 간주될 수 있다

Shujia Xue (2019, p.44)에서 성어가 뜻하는 내용이나, 성어에서 드러나는 감정적인

요소는 해당 성어의 의미적 특성을 더 잘 드러낼 수 있으며 사자성어를 긍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중립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한다 본 논문에서 이 분류 방법에 동의하며 이러한 기준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의 의미 속성을 기반으로 동물 사자성어의 의미를

분류하고자 한다 긍정적으로 분류되며 긍정적인 성어라고 하는 성어는 주로 아름다움,

재능, 칭찬하는 감정을 전달하는 성어이다 이 분류는 이러한 성어의 문자적 해석이 반드시 긍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그 사용은 대상이나 경험에

대한 호의적인 평가를 표현하는 것을 허용한다 나쁨, 불가능함, 경멸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포괄하는 성어는 불리한 의미를 전달하는 긍정적인 성어에 속한다

이 긍정적인 성어라고 하는 성어들은 특정 실체나 사건을 묘사할 때 질투나 증오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중립적인 성어는 평가적인 측면이 전혀 없는 중립적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지 않은 성어이다 이 성어들은 중립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상황이나 긍정적인 상황에서 상황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상징

상징은 친숙한 개념이며 전 세계 문화에 널리 존재하는 많은 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언어학 연구소 (2006, p.66)에 따르면 ‘상징’은 가장 상징적이고 전형적인 방식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용은 신념을 상징한다고 하였다 Nguyễn Văn

Nở (2008)에서는 상징에는 이미지, 소리, 색상을 통해 표현되는 것인 상징 이미지와

연상을 통해 무언가를 불러일으켜 주는 상징되는 것이 두 가지 측면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언어와 문화 연구 방향에서 상징은 성어에 많이 등장하는 개념이다 Hoàng

Thị Yến (2021, p.2)에 따르면 상징은 종종 다양한 자질과 성격을 가진 사람들을

상징하며 사회에서 다양한 위치, 직위, 계층을 대표할 수 있으며 특정한 사물과 일반적인 성격을 지닌 사람과 사물을 상징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성어에서 동물띠들은 외형, 생물학적 특징, 성격, 성질과 같은 특성 및 행동으로 언급할 때 상징화되어 이 독특한 언어 단위에 비유적이거나 상징적인 의미인 새로운 의미를 더하게 된다 중립적인 상징 이외에는 긍정적인 상징과 부정적인 상징으로 나눌 수

있는 두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하였다

Trịnh Cẩm Lan (2009, p.28)는 성어에는 언어적 요소뿐만 아니라 문화적 요소,

관습, 정신적인 측면, 창작자와 사용자의 인생철학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성어의 상징 가치는 실제로 문화의 깊이를 반영한다고 한다 Hoàng Phê (2018, p.83)에 따르면 ‘상징’은 가장 상징적이고 원형적인 표현으로 간주된다 Nguyễn Thị Bảo (2003, p.36)에서 ‘상징은 동물에 대한 단어의 문화적 의미 중 하나다 Ham Myoung Ja (2019, p.19)에서 상징은 어떤 언어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면서 언어공동체의 공통적인 특성을

가진다 많은 동양 국가에는 쉽게 인지될 수 있는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상징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거북이’를 통해 느림의 상징을 관찰할 수 있으며 ‘용’은

‘영웅적인 인물’을 상징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돼지’는 ‘행운’의 상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호랑이’는 ’위협적이거나 두려움’을 유발하는 상징을 묘사하는 데

종종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 사자성어의 상징을 긍정적인 상징과 부정적인 상징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긍정적인 상징은 ‘행운’, ‘영웅 인물’, ‘행복한 감정’ 등과 같은 긍정적인 요소를 나타내는 모든 사자성어에 속한 상징이다 부정적인 상징은 ‘어리석음’, ‘나쁨’, ‘사나움’ 등과 같은 부정적인 상징이 포함된 사자성어에

있는 상징이다

지금까지 2 장에서는 저희가 수행할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제시하였다 이 선행연구들은 모두 성어와 사자성어, 성어와 사자성어 대조에 관한 연구들이다 각 나라의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다 한국과 베트남 모두에서 사자성어는 한자어를 유일하게 사용하거나 고유어를 유일하게 사용하거나 한자어와 고유어를 사용할 수 있는 4 음절로 성어라고 정할 수 있다 또한 저희는 이러한 사자성어를 유래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장에서는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특징도 언급하였다 또한 저희가 선정한 세 가지 동물은 모두 12 간지 동물에 속하므로 한국과 베트남의 12 간지 동물 문화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의미특성과 상징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본 장에서는 사자성어의 의미특성과 상징에 관한 이론도 함께 언급하였다

제 3 장: 동물에 관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언어에 담긴 단어의 의미는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 공동체의 공통의 인식과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어의 의미는 상징적 의미와 유형적

의미 사이의 상호작용을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문화적 관점에서 단어의 의미는 넓은

인류 공동체 내의 개인들 사이의 공통된 문화 유산뿐만 아니라 다양한 민족 집단

간에 공유되는 문화적 경험을 전달한다 성어의 의미는 해당 국가의 역사적 관습과 전통을 반영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해당 국가의 문화적 구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개가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긍정적 의미

저희는 개가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 중에 9 개의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와

개가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 중에 6 개의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를 찾았다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몇 가지 성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기로 하였다

3.1.1.1 한국 사자성어

이하는 개가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 중 긍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견마지로 [犬馬之勞] (개 견, 말 마, 어조사 지, 수고로울 로)

이종윤 (2011, p.48)에서 ‘견마지로'는 개나 말이 주인에게 충성을 다하듯이 온 정성을 다하여 일을 하며 받든다는 뜻으로, 군주 (君主) 또는 남을 위하여 심력

(心力)을 다 바치는 것을 겸양해서 이르는 말’이라고 하였다 이 사자성어는 ‘개와

말의 노력’으로 해석되며 왕이나 국가에 충성을 다하겠다는 헌신을 상징한다 윗사람에 대한 헌신의 마음을 겸허하게 전할 때에도 활용되므로 이 사자성어는 누군가를 향한 충성심과 노력을 겸손하게 표현하는 동시에 고대의 개인이 개나 말처럼 열심히 섬기고 수고했다는 관념을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 성어는 윗사람에

대한 충성심을 보여주고 모든 노력에서 우수성을 위해 노력하려는 강한 결의를 포함함으로써 긍정적인 감정을 묘사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2) 견마지심 [犬馬之心] (개 견, 말 마, 어조사 지, 마음 심)

견마지심은 이종윤 (2011, p.48)에서 신하와 백성이 임금과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몸을 바치는 마음을 아주 겸손하게 이르는 말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최성기 4 )에 따르면 한나라 때 곽거병은 무제를 도와 흉노족을 토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워 한나라

무제 가 자신에게 큰 상을 내리자, 그는 개나 말처럼 진실한 마음으로 황제를 모시겠다는 글을 올렸다고 하였다 그리고 진나라의 이밀은 무제가 벼슬을 내렸으나

늙은 조모를 모시기 위해 응하지 않았다 이에 무제가 진노하자 그는 글을 올려 충성을 다하겠다는 견마지심을 표했다 유의어로는 견마지로 (犬馬之勞)가 있다 개는 주인에게 충직한 동물이다 말은 고대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대에 없어서는 안 될

동물 중 하나였다 이처럼 개와 말은 인간과 가장 가까우며 우직하고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개는 미치지 않고서는 주인을 물지 않는다 이 성어는 개와 말을 비유하여 윗사람에 대한 충성심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긍정적 사자성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4 http://www.nh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25

3) 견마지성 [犬馬之誠] (개 견, 말 마 어조사 지, 정성 성)

이종윤 (2011, p.48)에 따르면 견마지성은 남에게 대하여 자기의 바치는 정성을

아주 겸손하게 이르는 말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 사자성어는 직역을 하면 개와 말이 보여주는 진실성이다 개와 말은 별 의미가 없는 존재를 상징하며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겸손한 충성심을 강조한다 또한 이 성어는 군주나 국가에 대한 충성을 고백할 때 사용된다 이 성어도 개와 말을 비유하여 윗사람에 대한 충성심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긍정적 사자성어이다

3.1.1.2 베트남 사자성어

이하는 개가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 중 긍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 Chó chết hết chuyện ( 개 chó, 죽다 chết, 끝나다 hết, 문제 chuyện)

이 성어는 Nguyễn Như Ý 외 (1993, p.146)에서 음모를 꾸미는 사람들이 없으면

모든 나쁜 일은 사라지며 더 이상 소란과 문제도 없어지는 뜻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부정적 의미

개가 포함된 한국어과 베트남어 사자성어 중에 총 80 개의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를 찾았다 그 중에서 한국어 성어는 20 개이며 베트남 성어는 60 개이다 몇

개의 성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3.1.2.1 한국 사자성어

이하는 개가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 중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견마지양 [犬馬之養] (개 견, 말 마, 어조사 지, 기를 양)

이종윤 (2015, p.48)에서는 이 성어가 개나 말을 기르는 것처럼 부모를 봉양한다는 뜻으로, 부모에게 물질 적인 봉양만 하고 마음으로 공경함이 없는 것을 이르는 말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성어에서 개와 말은 양육 조건이 좋지 않은 일반적인 가축으로 비유되며 개나 말을 키우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모에게 존경이나

애정 없이 봉양만하고 마음으로 공경함이 없는 것은 참된 효도를 이루지 못하는 행동이다 이 성어는 부모에 대한 효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잘 돌보지 않는 사람을 비난하는 성어이므로 부정적인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2) 구맹주산 [狗猛酒酸] (개 구, 사나울 맹, 술 주, 실 산)

이종윤 (2015, p.118)에 따르면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고 만다는 뜻으로, 한 나라에 간신배가 설치면 현량한 선비가 국사에 참여하지 못해 나라가 쇠퇴해 짐을

이르는 말이라고 설명하였다 장기근 (2006, p.58)에서는 ‘송나라 사람으로 술을 파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파는 술의 양에 대해서 매우 양심적이었고, 손님을 공손하게 대했으며, 술을 만드는 재주도 매우 뛰어났다 그러나 술을 판다는 깃발을 아주 높이 내걸었지만 왠지 술이 팔리지 않았기 때문에 남은 술이 곧잘 시곤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 이유를 이상히 여겨 평소 알고 지내던 마을의 어른인 양천 (楊倩)에게 조언을 구했다 「당신 집 개가 사납소?」 술집 주인이 말했다 「개가 사납다고 해서 술이 팔리지 않는 것은 무슨 이유입니까?」 양천이 말했다 「사람들이 무서워하기 때문이라네 어떤 사람이 어린 자식을 시켜 돈을 가지고 호리병에 술을 받아오게 했었네 그런데 개가 달려 나와 그 아이를 물었다네 이것이 술이 팔리지 않아 시어지는 이유지」라고 해석하였다 한비자는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을 알고 있는 선비가 책략을 군주에게 알려주려고 해도 사나운 개 같은 무리가 있으면 불가능함을 강조했다 사나운 개가 술 판매를 막는 것처럼 간신배들은 국가 내에서 어진 신하들의 모임을 방해한다 그래서 ‘구맹주산’이라는 성어는 개의 강렬함과 와인의 신맛을 뜻하는데 수많은 간신배들 앞에서 학식 있고 존경받는 어진 신하들이 국가의 중요한 문제에 참여하는 데 방해를 받고 국가가 쇠퇴하게 된다 이 성어는 간신배들을 정죄하는 행위를 반영하는 의미를 담고 있음으로 부정적인 사자성어이다

3) 도견와계 [陶犬瓦鷄] (질그릇 도, 개 견, 기와 와, 닭 계)

도견와계는 이종윤 (2015, p.244)에 따르면 ‘도제 (陶製: 질그릇)의 개와 와제

(瓦製)의 닭이란 뜻으로, 아무 소용 이 없는 인물이나 물건을 이른다’라고 설명하였다

이 사자성어에서 무릇 질그릇으로 구운 개와 구운 닭이 생겼다 도자기 그릇에 삶아진

개는 밤에 집안을 지키는 역할을 할 능력이 없으며 개와로 구운 닭은 새벽을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없다 개나 닭의 외형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체는 살아있는 개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이 은유를 통해 단순한 외양을 갖고 있지만 실용성이 부족한 사물을 비판함으로 부정적인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3.1.2.2 베트남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개가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 중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Chó già giữ xương ( 개 chó, 늙다 già, 보관한다 giữ, 뼈 xương)

Vũ Dung 외 (1995, p.140)에 따르면 이 성어는 늙은 개는 치아가 빠져 뼈를

씹을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다는 의미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 성어에서 ‘늙은 개’는 욕심 많은 사람을 뜻하며 ‘뼈’는 어떤 직업을 뜻한다 이 성어는

탐욕스러운 사람들이 더 이상 하지 못하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양보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이 성어는 자기 이익만 챙기려는 탐욕스러운 사람들을 비판하는 성어이므로 부정적인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2) Chó chạy trước hưu ( 개 chó, 달린다 chạy, 먼저 (베트남어 부어) trước, 사름 hưu)

Vũ Dung 외 (1995, p.138)에서 이 성어는 겸손하지 않으며 능력이 부족하며 지식이 없으면서도 더 능력 있는 사람에게 간섭하거나 가르치려고는 사람이라는 의미가 갖다고 하였다 이 성어에서 ‘개’는 능력이 없는 사람들을 상징하며 ‘사슴’은

능력 있는 사람을 상징한다 달리기에서 사슴이 우위를 점하기 때문에 이 성어는 자기 능력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 성어는 부정적인 사자성어 중 하나이다

3) Chó cái cắn con ( 암캐 chó cái, 물다 cắn, 아이 con)

중립적 의미

개가 포함된 한국어과 베트남어 사자성어 중에 총 21 개의 중립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를 찾았다 그 중에서 한국어 성어는 13 개이며 베트남 성어는 8 개이다 몇

개의 성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3.1.3.1 한국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개가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 중 중립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토사구팽 [兎死狗烹] (토끼 토, 죽을 사, 개 구, 삶을 팽)

이종윤 (2015, p.1225)에 따르면 ‘토사구팽’은 토끼를 다 잡으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으면 버림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였다

중국 史記에서 유래된 성어이다 유방 (劉邦)이 항우를 죽이고 한나라를 건국하자 일등 공신이었던 한신 (韓信)은 무서운 존재가 되었다 유방은 한신이 항우의 부하였던 종리매 (鍾離味)와 결탁하고 있다는 것을 빌미로 삼아 한신을 체포했다 그때

한신이 ‘높이 나는 새가 없어지면 좋은 활이 갈무리되고, 날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는 죽고 (飛鳥盡良弓藏 狡兎死走狗烹), 적국이 파하면 모신 (謀臣)은 죽는다고

했다 천하가 이미 정해졌으니, 나도 삶기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라 하였다

이 성어는 토끼가 죽으면 이전에 토끼를 잡기 위해 고용했던 사냥개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어 주인에게 삶아 먹힌다는 것 뜻한다 이 성어는 필요할 때만 가치를 부여하고 유용성이 떨어지면 폐기하는 상황을 은유적으로 나타내는 경멸적인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중립적인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2) 견마지년 [犬馬之年] (개 견, 말 마, 어조사 지, 나이 년)

이종윤 (2015, p.48)에서 이 성어는 자기의 나이를 낮추어서 이르는 말이라고 언급하였다 ‘견마지년’이라는 성어는 개와 말의 나이를 의미하며 자신의 나이를 나타내거나 남을 존중하기 위해 사용된다 나이가 많다고 해서 무턱대고 반말을 쓰는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 그러나 나이가 많다고 하더라도 견마지년하는 행동은 존중받을

만한 것을 전달하기 때문에 이 성어는 중립적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3) 구폐지경 [狗吠之驚] (개 구, 개 짖을 폐, 어조사 지, 놀랠 경)

이종윤 (2015, p.129)에 따르면 구폐지경은 도둑이 개 짖는 소리에 놀란다는 뜻으로, 사소한 것에 놀람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였다 이 성어에서 개 짖는 소리는

매우 보통 한 일들을 상징하며 도둑이 나쁜 짓을 했기 때문에 매우 보통 동물인 개

짓는 소리에 놀란다는 뜻한다 이 성어는 본질적인 평가적 의미가 결여된 사소한 문제에 대한 과도한 민감성 또는 놀라움을 의미하며 어떤 비평이나 칭찬을 내포하지

않기 때문에 중립적인 성어로 볼 수 있다

3.1.3.2 베트남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개가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 중 중립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 Chó treo mèo đậy ( 개 chó, 걸다 treo, 고양이 mèo, 덮다 đậy)

Vũ Dung 외 (1995, p.141)에 따르면 이 성어는 실수로 개와 고양이가 음식을

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음식 보관 방법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고 설명하였다 고양이와 개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기르는 두 동물이다 그러나 음식을 실수로 조심스럽게 보관하지 않으면 그들이 먹게 되기 쉽다 이 성어는 음식을 높게 매달면

개가 올라가 먹을 수 없으며 음식을 덮어 놓으면 고양이가 먹을 수 없는 뜻으로

‘무언가를 소유한다면 그것을 보호하고 지켜야 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라는 조언을

제공하기 때문에 중립적인 성어로 볼 수 있다

2) Đánh chó ngó chúa ( 때리다 đánh, 개 chó, 고려하다 ngó, 왕 chúa)

개를 때리려면 개 주인이 누구인지 고려해야 한다는 뜻으로 부하 직원이나 자녀를 비판하거나 처벌하려면 그들의 상사나 부모는 누구인지 어떤 지위인지 고려하며 생각해야 한다 이 성어는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방식을 제공하므로 중립적인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3) Run như cầy sấy ( 떨리다 run, 처럼 như, 개 cầy, 건조하다 sấy)

개가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대조

위에서 개가 포함된 한국과 베트남의 사자성어를 언급하였다 개가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를 살펴보면 총 41 개의 성어가 확인되었으며 42 개의 의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긍정적인 사자성어의 수는 9 개, 부정적인 사자성어의 수는 20 개, 중립적인 사자성어의 수는 12개이다 비례적으로 보면 긍정적인 의미의 성어가 전체의

21.43%를, 부정적인 의미의 성어는 47.62%, 중립적인 의미의 성어는 30.95%를

차지했다 한국 개 사자성어의 비율을 요약해 보면 ‘부정적인 사자성어’ => ‘중립적인 사자성어’ => ‘긍정적인 사자성어’의 순으로 나타났다

개가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는 총 74 개 있고 74 개의 의미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6 개의 성어는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60 개의 성어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8개의 성어는 중립적인 의미를 가진다 베트남의 개가 포함된 사자성어 비율을

보면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는 8.11%,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는

81.08%, 중립적인 의미를 나태내는 성어는 10.81%이다 베트남의 개 사자성어 비율을

정리해 보면 ‘부정적인 사자성어’ => ‘중립적인 사자성어’ => ‘긍정적인 사자성어’의 순서로 나타났다 개가 포함된 한국과 베트남 사자성어의 개수와 비율은 다음과 같다

개가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 개수 및 비율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중립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총 개수

한국의 개 사자성어를 보면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는 절반을 차지하며 그다음은 중립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의 순이었다 베트남의 개 사자성어도 부정적인 성어는 최대 81.08%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그다음은 중립적인 성어,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성어의 순으로 같은 순서를 가진다

한ã베에서 개 사자성어의 차이점을 보면 3 가지 유형 중에 한국과 베트남의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가 제일 많았으나 베트남은 한국보다 거의 두 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중립적인 사자성어와 긍정적인 사자성어를 비교하면 한국어에서의 성어 비율이 모두 베트남어에 비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립적인 성어는 30.95%로, 긍정적인 성어는 21.43%로 이는 각각 2.5 배와 2.6 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베트남과 한국에서 모두 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가장 높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관찰 과정에서 사람들은 개가 충실하고 좋은 성품을 가지고

있는 동물이지만 동시에 나쁜 성품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베트남에서 개에 대한 부정적인 성어가 한국보다 거의 두 배나 많은 이유는

개가 오랜 옛날부터 베트남 사람들과 매우 친숙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개는 베트남 사람에게 가까운 반려동물로써 베트남 사람들의 일상생활부터 정신적 활동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는 동물이다 한국에서는 개가 포함된 성어들이

‘의지 약함’, ‘고독, 탐욕’, ‘무능’, 등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지만 베트남에서는

'전쟁에서의 배신', ‘가난’, ‘악한 사람’ 등을 나타내는 의미까지 있다 또한 베트남에서는

‘어떤 사람에 대한 분노를 나타내기 위해 다른 이유를 사용하여 다른 사물을 욕하는 행위’와 같은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7 개의 성어나 있기 때문에 한국보다 베트남의

개에 대한 부정적인 성어가 더 많은 이유 중에 하나다.

용이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긍정적 의미

용이 포함된 사자성어 중에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는 총 60 개가 있다 그 중에서 한국어에서 39 개가 있으며 베트남에서 21 개가 있다 한국과 베트남의 용이 포함된 긍정적 사자성어 중에서 몇 개의 성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3.2.1.1 한국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용이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 중 긍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교룡득수 [蛟龍得水] (교룡 교, 용 룡, 얻을 득, 물 수)

이종윤 (2015, p.111)에서 교룡득수는 교룡이 물을 얻는다는 뜻으로, 임금은 백성을 얻음으로써 위엄이 서 게 됨을 비유하는 말 또는 영웅이 때를 만나 의거할

곳을 얻음을 이르는 말이라는 의미가 가진다 이 성어는 북사[北史] 5 에서 유래됐다

북조 후위의 무제는 이종 (端宗)에게 양나라를 공격할 병사를 선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 때 하급병인 양대안이 참전 의사를 밝혔으나 이청으로부터 뚜렷한 대답을

얻지 못했다 양대안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기량을 보여줄 기회를 달라며 곧바로 질주에 나섰다 그의 뛰어난 속도는 말의 속도를 능가했고 이종은 그의 능력에 큰 감명을 받았으며 양대안을 군주의 관병으로 승진시켰다 양대안은 자신의 새로운 지위에 기뻐하며 ‘지금 나는 교룡이 물을 얻은 것과 같다’고 자랑스럽게 외쳤으며

좋은 기회를 얻는 것을 뜻한다는 ‘교룡득수(蛟龍得水)’라는 말은 그때부터 유래됐다

2) 용사비등 [龍蛇飛騰] (용 용, 뱀 사, 날 비, 오를 등)

이종윤 (2015, p.810)에서 이 성어는 용과 뱀이 날아오르듯 하다는 뜻으로, 글씨가 힘차고 웅장한 것을 표현하는 말이라고 설명하였다 이 성어에는 용과 뱀이

5 북사 (北史)「명사」 『책명』 중국 당나라 때에, 이연수 (李延壽)가 북위 (北魏), 북제 (北齊), 북주 (北周) 및 수나라 4 왕조 242 년 동안의 사실 (史實)을 기록한 역사책 이십오사 (二十五史)의 하나로, 본기 (本紀) 12 권, 열전 (列傳) 88 권으로 이루어졌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날아오르는 모습이 등장하는데 용과 뱀이 날아오르는 모습은 인간의 상상의 이미지이다 사람들은 이것이 매우 아름다운 곡선 이미지라고 생각한다 이 성어는

매우 아름답고 웅장한 손글씨를 묘사하므로 이 성어는 긍정적인 뜻을 가지는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3) 용약운진 [龍躍雲津] (용 용, 뛸 약, 구름 운, 넘칠 진)

이종윤 (2015, p.811)에서 이 성어는 영웅이 풍운(風雲)을 좇아서 일어남의 비유하는 말이라는 뜻을 가진다고 언급하였다 이 성어에서 풍운(風雲)을 좇아서 떠오르는 용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인간 상상 속에서 용이 나는 모습은 매우 아름답고 웅장하며 강하고 우아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 성어는 영웅이 마치 용처럼 풍운을 좇아서 일어나는 모습을 나타내므로 긍정적인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3.2.1.2 베트남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용이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 중 긍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Cá chép hóa rồng ( 잉어 cá chép, 되다 hóa, 용 rồng)

Nguyễn Nhứ Ý 외 (1992, p.81)에서 이 성어는 시험에서 뛰어난 점수를 획득한

학업 성취자라고 하였다 잉어가 용문을 오르면 용이 된다는 유래를 가진다 매년 잉어가 용문을 겨우 뛰어넘기 위해 용문을 찾아오며 잉어가 용문을 겨우 뛰어넘으면

용이 된다 이 성어는 잉어가 고난을 딛고 자라서 용이 된다는 뜻으로 많이 노력해서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은 학생이라는 칭찬해 주는 말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사자성어이다

2) Rồng bay phượng múa ( 용 rồng, 날다 bay, 봉황 phượng, 춤추다 múa)

부정적 의미

용이 포함된 사자성어 중에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는 총 13 개가 있다

그 중에서 한국어에서 7 개가 있으며 베트남에서 6 개가 있다 용이 포함된 부정적 사자성어 중에서 몇 개의 성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3.2.2.1 한국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용이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 중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용두사미 (용 용, 머리 두, 뱀 사, 꼬리 미)

장기근 (2006, p.400)에 따르면 용의 머리에 뱀의 꼬리라는 말로, 처음 시작할

때는 그럴 듯하게 보였는데, 끝이 시원치 못한 것을 가리켜 「용두사미」라고 한다 이것은 용과 뱀의 생김새가 비슷한 데서 나온 말로 오랜 옛날부터 있었을 법 한 말이다’라고 하였다

이 말이 기록에 나와 있는 것은 에 있는 진존자 (陳尊者)의 이야기에서다 진존자는 목주 (睦州) 사람으로 그곳에 있는 용흥사 (龍興寺)란 절에

살고 있었다 그러나 뒤에 절에서 나와 각지로 돌아다니며, 짚신을 삼아서 길가는 나그네들이 주워 신도록 길바닥에 던져 주곤 했다고 한다 그 진존자가 늙었을 때의 일이다 어느 중을 만나 서로 말을 주고받는데, 갑자기 상대가 「에잇!」 하고 호령을

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허허, 이거 야단맞았군’ 하고 상대를 바라보자, 그 중은 또

한번 ‘에잇!’ 하고 꾸중을 하는 것이었다 그 중의 재치 빠른 태도와 말재간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진존자는 속으로, ‘이 중이 얼른 보기에 그럴 듯하기는 한데,

역시 참으로 도를 깨치지는 못한 것 같다 모르긴 하지만 한갓 용의 머리에 뱀의 꼬리이기 십상이다’ 진존자가 중에게 물었다 ‘그대는 ‘에잇! 에잇!’ 하고 위세는 좋은데, 세 번 네 번 에잇 소리를 외친 뒤에는 무엇으로 어떻게 마무리를 지을 생각인가?’ 그러자 중은 그만 자기 속셈이 드러난 것을 알고 뱀의 꼬리를 내보이고 말았다는 것이다 이 성어에서 용의 머리에 뱀의 꼬리라는 표현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도룡지기 [屠龍之技] (잡을 도, 용 룡, 어조사 지, 재주 기)

이종윤 (2015, p.246)에서 이 성어는 용 (龍)을 잡는 재주가 있다는 뜻으로, 아무 쓸데없는 재주를 이르는 뜻을 갖는다고 언급하였다 이 성어에서는 용을 잡는 모습이

나타난다 용은 실존하지 않는 상상 속의 동물이기 때문에 용을 잡는 일은 전혀 불가능하므로 이 성어는 어떤 일을 용을 잡는 것처럼 비유함으로써 쓸데없는 재주나 기술을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 이 성어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로 볼 수 있다

3) 화룡유구 [畵龍類狗] (그림 화, 용 룡 같을 류, 개 구)

이종윤 (2015, p.1334)에 따르면 용을 그리려다가 개를 그린다는 뜻으로, 큰일을 하려다가 작은 일마저 이루지 못함을 이르는 말이라는 뜻을 갖다고 하였다 이 성어에서 용을 그리는 것은 어떤 것이 고귀하고 아름다운 목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용은 강한 힘을 상징하며 아름다움과 큰 희망과 큰 포부를 상징한다 그러나 개 비슷하게 된 것은 나쁜 결과 원치 않는 상황을 나타내며 이 성어는 큰

일을 수행하려는 노력이 있지만 결과가 이뤄지지 못할 때를 나타낸다 이 성어는 자신의 능력을 뛰어넘는 야망을 추구하면 필연적으로 실패와 굴욕을 당하게 된다는

점을 설명한다 무능함에도 불구하고 적성에 맞지 않는 일을 하려는 끝없는 욕심을 보이는 개인들을 풍자적으로 비판하는 역할을 하므로 부정적인 사자성어로 볼 수

3.2.2.2 베트남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용이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 중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Ăn như rồng cuốn ( 먹다 ăn, 같다 như, 용 rồng, 날다 cuốn)

이 성어는 Nguyễn Như Ý 외 (1993, p.28)에서 많이 먹으며 빨리 먹으며 가지는 것들을 다 먹는 것이라는 뜻을 가진다 이 성어에서 용이 구불구불 날아가는 모습이 나타나며 날아다니는 용의 이미지는 매우 빠르고 강력하다 이 성어는 보통 ‘ăn như rồng cuốn, uống như rồng leo, làm như mèo mửa (날아다니는 용처럼 먹고 올라가는 용처럼

중립적 의미

용이 포함된 사자성어 중에 중립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를 상당히 찾았다 총

37 개가 있다 그 중에서 한국어에서 34 개가 있으며 베트남에서 3 개가 있다 한국과 베트남의 용이 포함된 중립적인 사자성어 중에서 몇 개의 성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3.2.3.1 한국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용이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 중 중립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용반기연 [龍返其淵] (용 용, 돌아올 반 그 기, 못 연)용이

이 성어는 이종윤 (2015, p.808)에 따르면 그 연못으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걸출

(傑出)한 선비가 고향으로 돌아감을 이르는 말이라고 설명하였다 《설원》(說苑)에서

유래된 성어이다 진 (晋)나라 개자추 (介子推)가 문공 (文公)을 좇아 국외로 망명하였을 때 5 명의 신하와 함께 문공을 도왔는데 후 일문공이 귀국하여 왕위에 즉위할 즈음에 네 사람은 각각 상을 받았으나 개자추만은 시상에 누락되었다 그러나 개자추는 그것을 개 의치 않고 고향으로 돌아와 어머니와 같이 숨어 살면서 세상에 나타나지 않았다는 고사이다

2) 용간표태 [龍肝豹胎] (용 용, 간 간, 표범 표, 삼 태 (애밸 태))

이 성어의 뜻을 해석은 이종윤 (2015, p.808)에 따르면 용의 간과 표범의 태라는 뜻으로, 좀처럼 얻기 어려운 진미 (珍味)의 요리를 이르는 말이라고 하였다

‘용의 간’과 ‘표범의 태’라는 두 이미지는 모두 얻기 힘든 것을 상징한다 용은 상상의 동물이기 때문에 용의 간을 갖는 것은 불가능하며 표범은 만남과 정복이 쉽지 않은 동물이므로 이 성어는 얻기 어려운 진미의 요리를 가리키며 중립적인 사자성어로 볼

3) 용문점액 [龍門點額] (용 용, 문 문, 흉볼 점, 이마 액)

용문점액은 이종윤 (2015, p.808)에서 물고기가 용문 (龍門)에 오르려다 바위에 부딪쳐 이마를 다쳤다는 뜻으로, 과거에 떨어진 사람을 이르는 말이라는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이 성어는 용문 이마에 점을 찍는다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 아래에서 용문으로 올라올 수 있는 물고기가 용으로 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한다면 머리를 부딪혀 상처만 입는다 이 성어는 이전에 시험에 실패하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므로 중립적인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3.2.3.2 베트남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용이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 중 중립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Rồng tranh hổ chọi ( 용 rồng, 교전하다 tranh, 호랑이 hổ, 싸우다 chọi)

이 성어는 Vũ Dung 외 (1995, p.526)에서 강력한 두 경쟁자가 대결하는 상태라는 의미가 가진다고 하였다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두 강자

(強者)끼리의 대결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인 ‘용호상박’이라는 한국 사자성어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이 성어에서 ‘용’과 ‘호랑이’의 이미지가 나오는데 인간 상상 속에서 이

두 동물은 모두 강력하고 전투력이 뛰어난 동물로 여겨진다 비록 용은 상상 속 동물이지만 항상 뛰어난 힘과 변신 능력을 갖춘 동물의 이미지와 관련되어 있다 호는 자연의 힘을 상징하는 동물인 ‘만물의 왕’로 여겨지며 용과 호의 치열한 싸움은 두 강자끼리의 대결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누구도 비판하지 않은 성어이므로 중립적인 성어로 볼 수 있다

2) Rồng đến nhà tôm ( 용 rồng, 오다 đến, 집 nhà, 새우 tôm)

Vũ Dung 외 (1995, p.526)에 따르면 이 성어는 고귀한 사람이 비천한 사람을 방문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성어구는 ‘용’과 ‘새우’의 이미지가 나오는데 용은 상상

속의 동물로 모든 동물 중에서 가장 고귀하다고 여겨진다 한편 새우는 갑각류 동물로

용이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대조

용에 관한 한국 사자성어는 총 80 개나 등장한다 그중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성어 39 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성어 7 개, 중립적인 의미를 가지는 성어

34개가 있다 비율별로 보면 긍정적인 의미의 성어가 48.75%, 부정적인 의미의 성어가

8.75%, 중립적인 의미의 성어가 42.50%로 나타났다 한국 용에 관한 성어의 비율을

정리해 보면 ‘긍정적인 성어’ → ‘중립적인 성어’ → ‘부정적인 성어’ 순이었다

베트남 성어는 모두 30 개가 있는데 그중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성어

21 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성어 6 개, 중립적인 의미를 가지는 성어 3 개가 있다 베트남의 용 사자성어 비율을 보면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는 70.00%,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는 20.00%, 중립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는

10.00%이다 베트남의 용 사자성어 비율을 정리해 보면 ‘ 긍정적인 사자성어’ =>

‘부정적인 사자성어’ => ‘중립적인 사자성어’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국과 베트남의

용에 관한 사자성어 개수와 비율은 다음과 같다

한국과 베트남의 용에 관한 성어의 개수와 비율은 다음과 같다

용이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 개수 및 비율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중립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총 개수

용에 관한 한국어와 베트남 사자성어의 유사점을 살펴보면 한국어에서 긍정적인 성어가 80 개의 성어 중 48.75%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베트남어에서도 긍정적인 성어가 30 개의 성어 중 70.00%를 차지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한국어와 베트남어 모두 용에 관한 성어 중에서 긍정적인 성어의 비율이 가장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위에 있는 표를 살펴보면 베트남과 한국의 용에 관한 사자성어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두 나라 모두 긍정적인 사자성어의 수가 가장 높지만 베트남에서는 한국보다 높은 비율로 70.00%에 이른다 다음으로 비율이 가장 낮은 성어를 보면, 한국에서 비율이 가장 낮은 성어는 부정적인 성어로 8.75%를 차지했지만 베트남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이는 성어는 10.00%를 차지하는 중립적인 성어이다

베트남과 한국 모두 용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 사자성어의 비율이 가장

높은 이유는 용에 대한 인식 때문이다 두 나라 모두 용을 성스럽고 존경스러운 존재로 여기며, 용은 아름다움과 행운을 상징한다고 여긴다.

호랑이가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긍정적 의미

호랑이가 포함된 한국어과 베트남어 사자성어 중에 총 18 개의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를 찾았다 그 중에서 한국어 성어는 12 개이며 베트남 성어는

6 개이다 몇 개의 성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3.3.1.1 한국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호랑이가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 중 긍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사신사호 [捨身飼虎] (버릴 사, 몸 신, 칠 사(기른다), 범 호)

과거세 (過去世)의 한 나라에 대거 (大車)라는 임금이 아들 셋을 두었는데

어린 아들이 마하살타 (摩訶薩埵)였다 산림 (山林) 속에서 범이 일곱 마리의 새끼를

낳고 몹시 굶주려 있는 것을 보고 큰 자비심이 생겨서 이 더러운 몸을 버리자며 홀로

수풀 속에 들어가 굶주린 범 앞에 자기의 몸을 대나무로 찔러 피를 흘렸다 이때 범이

그 피를 핥으며 육신까지 먹어 치웠는데, 이 왕자가 환생하여 석가모니 (釋迦牟尼)가 되었다는 고사가 있다 이종윤 (2015, p.524)에 따르면 이 성어는 자기 몸을 버려 범을 기른다는 뜻으로, 지극한 자비심을 일컫는 말이라고 하였다 이 성어는 긍정적인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2) 호배웅요 [虎背熊腰] (범 호, 등 배, 곰 웅, 허리 요)

이종윤 (2015, p.1320)에 따르면 이 성어는 범의 등과 곰의 허리와 같다는

뜻으로, 키가 크고 몸집이 비대함을 이르는 말이라는 뜻을 갖는다 호랑이와 곰은 둘

다 매우 강한 야생 동물이며 종종 힘을 상징하는 동물로 표현 된다 이 성어에서는

크고 튼튼한 몸을 비유하기 위해 호랑이의 등과 곰의 허리를 썼다 크면서 강한 몸집을 가진 사람을 칭찬하는 성어이므로 긍정적인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3) 호생문병 [虎生文炳] (범 호, 날 생, 아롱질 문(문채), 빛날 병)

이종윤 (2015, p.1321)에서 이 성어는 호랑이는 나면서부터 훌륭한 무늬를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영재 (英材)는 어릴 적부터 기량이 비범함을 비유하는 말이라고 설명하였다 인간이 호랑이를 강력하고 자연의 상징으로 여기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호랑이는 굉장한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끼 호랑이 시절에도 사냥이나 전투와

같은 뛰어난 기술을 표현할 수 있다 이 성어는 마치 어릴 때부터 호랑이가 자신의 재능을 드러내듯이 영재는 어릴 때부터 뛰어난 기술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 성어는 누군가가 어린 시절부터 재능을 보여주는 것을 칭찬하므로 긍정적인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3.3.1.2 베트남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호랑이가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 중 긍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용양호시 [龍驤虎視] (용 용, 말 뛸 양, 범 호, 볼 시)

이종윤 (2015, p.811)에 따르면 이 성어는 용이 세차게 날뛰고 호랑이가 노려본다는 뜻으로, 기세가 당당하고 지기 (志氣)가 고원 (高遠)하며 세상을 멀리 내다봄을 형용하는 말이라고 해석하였다 호랑이와 용은 모두 힘과 리더십을 상징하는 동물이며 호와 용은 다른 종들이 그들을 두려워하고 존경하게 만드는 외모를 갖는다 노려보는 호랑이와 세차게 날뛰는 용의 이미지는 강인함과 자신감을 상징하므로 긍정적인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2) Hổ phụ lân nhi ( 호랑이 hổ, 아버지 phụ, 기린 lân, 아들 nhi)

Vũ Dung 외 (1995, p.357)에서 이 성어는 아버지와 아들 모두 재능이 있는

사람이라는 뜻을 갖다고 하였다 이 성어에서 호랑이와 기린의 이미지가 나타난다 호랑이는 자연의 왕으로 간주되며 종종 힘의 상징하는 동물이다 기린은 실존하지

부정적 의미

호랑이가 포함된 사자성어 중에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성어는 총 35 개를 찾았다 그 중에서 한국어에서 20 개가 있으며 베트남에서 15 개가 있다 한국과 베트남의 호랑이가 포함된 부정적인 사자성어 중에서 몇 개의 성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3.3.2.1 한국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호랑이가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 중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호두사미 [虎頭蛇尾] (범 호, 머리 두, 뱀 사, 꼬리 미)

이 성어는 용두사미 (龍頭蛇尾)라는 성어와 뜻을 갖는다 이종윤 (2015, p.1317)에 따르면 이 성어는 호랑이 머리에 뱀 꼬리라는 뜻으로, 처음은 거창하나 끝은

떨치지 못함을 이르는 말이라는 뜻을 가진다 이 성어에서는 두 가지 모순된 것을 의미하는 ‘호랑이 머리’와 ‘뱀 꼬리’의 이미지가 생긴다 호랑이 머리는 순조롭고 좋은 시작을 상징하며 뱀의 꼬리는 나쁘고 불리한 결말을 상징함으로 이 성어는 부정적인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2) 호랑지심 [虎狼之心] (범 호, 이리 랑, 어조사 지, 마음 심)

자연 속에서 호랑이와 이리는 두 야생동물로서 무서움과 위험성으로 알려져

있다 이 성어는 무서운 호랑이와 이리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악한 사람들의 생각과 마음을 비판한다 이종윤 (2015, p.1317)에서 이 성어가 ‘범이나 이리처럼 잔인한 마음을 이르는 말’을 의미한다고 설명하였다 이 성어는 그런 뜻을 가지므로 부정적인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3) 화호유구 [畵虎類狗] (그림 화, 범 호, 같을 유 개 구)

이 성어는 이종윤 (2015, p.246)에 따르면 범을 그리려다가 잘못 그리어 개와

같이 되었다는 뜻으로, 소양이 모자라는 사람이 호걸의 풍류를 배우려다가 이루지 못하면 경박한 사람이 됨을 비유하는 말, 또는 남을 본받아 배웠지만 보람이 없음을 비유함이라고 하였다

후한 (後漢) 복파장군 (伏波將軍) 마원 (馬援)이 교지 (交趾:월남)에 있으면서 사치하고 호협한 것을 좋아하는 조카 마엄 (馬嚴) 과 마돈 (馬敦)에게 보낸 편지에 나오는 말이다 그의 편지 중에 ‘돈후주신 (敦厚周愼)하고 겸약절검 (謙約節儉) 한 용백고 (龍伯高)를 본받을 것이고, 호협 (豪俠)하며 의리를 좋아하는 두계량 (杜季良)을 배우지 말라 고니를 그리다가 잘못되더라도 오히려 오리와 비슷하게 되겠 지만, 범을 그리려다가 이루지 못하면 도리어 개처럼 되고 만다 (畵虎不成反類狗者也)’고 하였다 3.3.2.2 베트남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호랑이가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 중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Bán hùm buôn sói ( 팔다 bán, 호랑이 hùm, 팔다 buôn, 늑대 sói)

Vũ Dung 외 (1995, p.52)에서 ‘Bán hùm buôn sói’라는 성어는 부도덕한 상인이라는 의미를 갖다고 하였다 이 성어에서는 호랑이와 늑대의 이미지가 등장하는데 호랑이와 늑대는 잔인하고 악독하고 사납고 이기적이고 파괴적인 인간들을 상징한다 이로써 호랑이와 늑대의 이미지를 빌려 비도덕적이고 무서운 상인을 묘사하며 부정직하게 다른 사람을 속이고 압박하는 행위를 비판하므로 부정적인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이 성어는 ‘bán hùm buôn hổ’라는 베트남 성어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2) Cáo mượn oai hùm ( 늑대 Cáo, 빌리다 mượn, 권위 oai, 호랑이 hùm)

이 성어는 ‘cáo giả oai hùm’, ‘cáo đội lốt cọp’나 ‘cáo đội lốt hổ’라는 성어로 알려져 있다 Vũ Dung 외 (1995, p.98)에 따르면 이 성어는 강한 자의 위세를 등에 업고 자기가 강자의 행세를 하여 지배력을 행사하고 공포감을 조성하며 타인을 조종한다는

행위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이 성어에서 약하고 힘이 없지만 악독하고 꾀가 많은 자를 나타내는 여우의 이미지를 사용한다 강한 동물인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권위를 빌려 공갈하는 자를 이르는 말 또는 남의 권세를 빌어 뽐내는 것을 비유한 말이므로 부정적인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3) Hùm thiêng rắn độc ( 호랑이 hùm, 위험하다 thiêng, 뱀 rắn, 독 độc)

Vũ Dung 외 (1995, p.361)에 따르면, 이 성어는 잔인하고 끔찍한 사람이라는 의미를 전달한다고 하였다 ‘Hùm thiêng’는 크고 오래 사는 영적인 특성을 가지고

중립적 의미

호랑이가 포함된 한국어과 베트남어 사자성어 중에 총 48 개의 중립적인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를 찾았다 그 중에서 한국어 성어는 32 개이며 베트남 성어는

16 개이다 몇 개의 성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3.3.3.1 한국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호랑이가 포함된 한국 사자성어 중 중립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양호유환 [養虎遺患] (기를 양 범 호, 끼칠 유 근심 환)

이종윤 (2015, p.726)에 따르면 범을 길러 후환을 남긴다는 뜻으로, 화근을 길러 근심을 남김을 비유하는 말이며 남의 사정을 봐 주다가 나중에 자기가 화를 당함을 이른다고 하였다 유방 (劉邦)과 항우 (項羽)가 오랫동안 패권을 다투었으나, 항우는

범증 (范增)이 떠난 뒤로는 유방에게 계속해서 밀렸다 이 때 유방의 전략가인 장양

(張良)과 진평 (陳平)이 ‘항우의 군사는 지쳤고 식량마저 떨어졌습니다 이때가 항우를

없앨 가장 좋은 기회입니다 지금 공 격하지 않으면 호랑이를 길러서 걱정거리를 남기는 셈입니다.’라고 하였다

이 성어는 자신의 평화와 평온을 무심코 포기하면서 호랑이를 키우는 뜻으로 도움이나 지지를 제공하지만, 이로 인해 나중에는 부정적인 결과나 괴로움에 직면하게

되는 행위에 대한 은유의 역할을 한다 이 성어는 불안과 걱정을 초래하는 상황을 경험하는 것을 나타내며, 누구를 비난하거나 비판하지 않기 때문에 중립적인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2) 호불식아 [虎不食兒] (범 호, 아닐 불, 먹을 식, 어릴 아)

이종윤 (2015, p.1320)에서 이 성어는 호랑이는 아무리 배가 고파도 제 새끼는 잡아먹지 않음을 이르는 말이라는 해석하였다 호랑이가 새끼를 잡아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백수 (百獸)의 왕이며, 이리와 함께 사나운 동물인 범은 배고픔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새끼를 해치지 않는 것처럼, 아무리 흉악한 사람도 친족이나 제 식구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을 삼가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 성어는 중립적인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3) 호전걸육 [虎前乞肉] (범 호, 앞 전, 구걸할 걸, 고기 육)

이종윤 (2015, p.1325)에 따르면 호랑이에게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되지도

않는 것을 하려고 함을 비유하는 말이라고 하였다 호랑이는 주로 숲 생태계에 서식하는 다른 동물을 잡아먹는 육식성 포식자로서의 강력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먹이를 붙잡는 데 끈질긴 행동을 보이며 경쟁자에게 먹이를 내주는 것을 꺼려한다 이 성어는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달성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계획을 세우려는 노력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므로 중립적인 사자성어이다 3.3.3.2 베트남 사자성어

이하의 성어는 호랑이가 포함된 베트남 사자성어 중 중립적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로 쓰이는 성어들의 예이다

1) Gặp phải hang hùm ( 만나다 gặp, ~게 되다 phải, 굴 hang, 호랑이 hùm)

Nguyễn Như Ý 외 (1993, p.300)에서 이 성어는 호랑이 굴에 빠지는 것 같은 위험한 곳에 빠지는 뜻을 갖다고 하였다 이 성어에서 호랑이 굴 이미지는 아무도 떨어지고 싶지 않은 위험한 장소를 나타낸다 호랑이 굴에 빠지다는 것은 위험한 상황에 빠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성어는 누구를 칭찬하거나 비난하지 않으므로 중립적인 사자성어로 볼 수 있다.

2) Hùm đói tranh mồi ( 호랑이 hùm, 아프다 đói, 싸우다 tranh, 먹이 mồi)

Vũ Dung 외 (1995, p.361)에 따르면 이 성어는 두 명의 사악한 사람이 권력을

얻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한다는 의미를 갖는 성어라고 하였다 이 성어는 굶주린 두

마리 호랑이가 먹잇감을 지키기 위해 서로 싸우는 모습을 차용한 것으로 매우 강력한

두 사람 간의 치열한 투쟁을 나타낸다 호랑이는 매우 사나운 동물이며 배가 고프면 자신이 가진 먹이를 보호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해 경쟁하고 싸울 것이다 이 성어는 누구를 칭찬하거나 비난하지 않으므로 중립적인 사자성어로 간주된다

3) Hang hùm miệng rắn ( 굴 hang, 호랑이 hùm, 입 miệng, 뱀 rắn)

호랑이가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의 의미특성 대조

호랑이를 포함하는 한국어 사자성어는 총 64개가 있으며 이 중 12개의 성어는 긍정적인 의미를 전달하며 20 개의 성어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32 개의 성어는 중립적인 의미를 유지한다 이를 백분율로 분석하면 긍정적인 의미의 성어가 18.75%, 부정적인 의미의 성어가 31.25%, 중립적인 의미의 성어가 50.00%를 차지한다 한국 호랑이에 관한 성어의 전체적인 분포를 보면 ‘중립적인 사자성어’ => ‘부정적인 사자성어’ => ‘긍정적인 사자성어’의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성어는 총 37개로 이뤄져 있으며 그중 6개는 긍정적인 의미를, 15개는 부정적인 의미를, 나머지 16 개는 중립적인 의미를 갖는다 긍정적 의미를 지닌 베트남 성어의 비율은 전체의 16.22%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성어는 40.54%, 중립적인 성어는

43.24%이다 호랑이에 관한 베트남 성어의 경우도 한국 성어와 마찬가지로 같은

결과가 나오는데, 그 주에 중립적인 성어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그 뒤를 부정적인 성어와 긍정적인 성어가 차례로 따른다

한국과 베트남의 호랑이에 관한 성어의 수와 비율은 다음과 같다

호랑이가 포함된 한ã베 사자성어 개수 및 비율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중립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 총 개수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의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유사점을 살펴보면,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성어는 모두 동일한 비율로 나타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두 언어 모두 비율이 가장 높은 성어는 중립적인 성어이며, 비율이 가장 낮은 성어는 모두 긍정적인 성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비율로 살펴보면,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성어는 동일한 비율을 나타낸다 중립적인 성어의 경우에서 한국 성어는 전체 64 개의 성어

중 50.00%를 차지하며 베트남어 성어는 전체 37 개 성어 중 43.24%를 차지한다 긍정적인 성어의 경우에서 한국 성어는 전체 64 개 성어 중 18.75%를 차지하며 베트남어 성어는 전체 37 개 성어 중 16.22%를 차지한다 부정적인 성어의 경우면 한국어 성어는 전체 64 개 성어 중 31.25%를 차지하며 베트남어 성어는 전체 37 개

성어 중 40.54%를 차지한다

베트남과 한국의 호랑이가 포함된 성어의 비율이 유사한 이유는 두 나라가

모두 호랑이에 대한 인식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성어에서는 두 나라가 모두

호를 ‘힘 있음’, ‘두드러짐’, ‘우수성’ 등의 상징으로 여기고 있으며 부정적인 성어에서는

호를 ‘위험한 동물’ 또는 ‘위험한 상황’으로 여기고 있다

본 장에서는 동물, 특히 개, 용,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를 긍정적 의미, 부정적 의미, 중립적 의미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이들 간의 의미와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이 분석을 통해 한국인과 베트남인이 이러한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에

대해 가지는 관점과 시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 수 있다.한국과 베트남에서 개 사자성어의 차이점을 보면 3 가지 유형 중에 한국과 베트남의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가 제일 많았다 이 결과를 통해 베트남과 한국에서 모두 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가장 높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모두 용에 관한 성어 중에서 긍정적인 성어의 비율이 가장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의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유사점을 살펴보면,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성어는

모두 동일한 비율로 나타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본 연구의 결과는 동물, 특히 개,

용, 호랑이가 포함된 사자성어에 대한 베트남인과 한국인의 관념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는 의사소통과 연구에서 이러한 사자성어를 사용할 때 더 주의를 기울이는 습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 4 장: 동물에 관한 한ã베 사자성어 상징

본 장에서는 개, 용, 호랑이라는 세 가지 동물을 집중하여 분석과 대조로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동물 사자성어의 상징을 분석하여 대조할 것이다 먼저 저희는

각 성어의 부정적인 상징과 긍정적인 상징을 분석한 다음, 이러한 상징의 출현 빈도를 분석하여 결론을 내고자 한다.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개의 상징

개의 긍정적 상징

저희는 다음과 같이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개에 관한 4 개의 긍정적인 상징을 찾았다

1) 충성심의 상징

베트남 사람들은 개를 더러움, 멍청함, 어수룩함과 같은 나쁜 자질이나 특성에

대한 상징으로 사용하며 베트남 문화에서 개로 표현되는 어떤 것이든 자랑스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일반 사람들의 잠재의식 속에서 개는 충성심을 상징한다 개는 발달한 뇌를 가지고 있으며 지능이 높으면서 일찍 인간에 의해 길들여져서 인간의 감정을 감지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개는 인간과 깊은 유대를 맺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베트남과 한국을 포함한 몇몇 국가의 문화에서 개는 충성심의 상징으로 선택되었다

한국어에서는 ‘견마지로’라는 성어가 있는데 개나 말이 주인에게 충성을 다하듯이 온 정성을 다하여 일을 하며 받든다는 뜻으로, 군주 (君主) 또는 남을 위하여

심력 (心力)을 다 바치는 것을 겸양해서 이르는 말이다 개와 말은 모두 예로부터 인간의 삶과 밀접한 동물로, 일상생활과 노동 생활에서 항상 사람들과 동행해 왔다

특히 개는 항상 충성스러운 동반자로, 그들은 주인과의 인연을 깊게 맺고 결코 주인을 배신하지 않아 충성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구마지로’라는 성어는 같은 뜻을 가진다

개나 말이 그 주인에게 하는 충성심이란 뜻으로, 자기의 진심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이며 군주에 대한 충성심을 비유하는 성어이다 ‘견마지로’라는 문장에 등장하는

개의 이미지처럼, 이 성어에 등장하는 개 이미지 역시 충성의 상징이다 고대 사람들은 자신의 관찰을 통해 개와 인간 생활 간의 충성심과 유대감을 일찍 알아채었기 때문이다

2) 감화를 받음의 상징

한국 개가 포함된 사자성어 중에 ‘당구풍월’이라는 성어가 있다 이종윤 (2015, p.225)에 따르면 서당 개 3 년에 풍월을 읊는다는 뜻으로, 무식한 사람도 유식한 사람

과 같이 지내면 감화를 받음을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개는 원래 평범한 사람이나 파괴자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성어 속의 개는 풍월을 읊을 수 있는 개로, 뛰어난 사람과 함께 지내며 노력한다면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는 성어임으로 이 성어에 나타나는 개 이미지는 감화를 받음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3) 행운의 상징

베트남 문화 관습에 따르면 개는 인간의 충실한 동반자로 간주할 뿐만 아니라 행운과 기쁨의 상징이기도 한다 ‘Chó ngáp phải ruồi’와 ‘Chó ăn trứng luộc’는 모두 베트남 문화에서 사용되는 성어로 삶 속에서 행운을 나타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Chó ngáp phải ruồi (개가 하품하다가 파리를 잡는다)’는 우연한 상황이나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행운이 우연히 찾아온 것처럼 개가 하품할 때 파리가 날아들어 오는 것과 유사한 성어이다 ‘Chó ăn trứng luộc (개가 삶은 계란을 먹는다)’는 행운과 행복을 상징하며 개가 삶은 계란을 먹는 행위는 풍족하고 안정된 삶을 나타내기 때문에 행운과 행복을 의미한다

4) 맛있는 음식의 상징

현재까지 개고기가 베트남인들에게 익숙한 종류의 고기임을 부인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예로부터 개고기는 한국인들의 여름철 영양식이었다 비록 애완견으로

개를 키우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으나 개고기 섭취도 퍼져가고 있다 실제로 개고기에 대한 문화적인 측면에서 의견이 분분하게 나뉘고 있다 애완동물로 개를

개의 부정적 상징

저희는 다음과 같이 동물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개에 관한 13 개의 부정적인 상징을 찾았다

1) 외롭고 고립됨의 상징

외롭고 고립됨의 상징을 가진 성어 중에 ‘구반상신’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 개밥에 도토리라는 뜻으로, 외롭고 고립된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물론, 베트남 사자성어에는 개가 외롭고 고립함을 상징하는 성어도 있는데, 그중에서 ‘Chó chạy ruộng khoai (감자밭에서 달리는 개)’ 와 ‘Chó khô mèo lạc (마른

개와 길고양이)’이 있다 이 성어들에 나오는 개의 이미지는 외로움과 고립함을 상징한다

2) 흉악함과 사랑 부족의 상징

한국 성어 중에 ‘구마주산’이라는 성어가 있다 이 성어는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고 만다는 뜻으로, 한 나라에 간신배가 설치면 현량한 선비가 국사에 참여하지 못해 나라가 쇠퇴해 짐을 이르는 말인데 이 성어에 있는 개 이미지는 흉악하거나 악인의 상징이다

베트남 성어 중에 ‘Chó cái cắn con (자기 새끼를 무는 암캐)’라는 성어가 있는데

이 성어에서 암컷 개가 자기 아이를 무는 모습은 흉악과 사랑 부족을 상징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3) 실패함의 상징

한국 성어 중에 실패함을 상징하는 성어가 있는데 그 중에 ‘화호유구’라는 성어가 있다 이 성어는 용을 그리려다가 개를 그린다는 뜻으로, 큰일을 하려다가

작은 일마저 이루지 못함을 이르는 말인데 여기에 있는 개 이미지는 실패를 상징한다

베트남 사자성어에도 ‘Cầu lộc đắc lang (사슴을 기원하나 늑대를 만난다)’라는 비슷한 성어가 있다 이 성어는 원하는 것과 얻은 것은 다르는 이르는 말인데 여기에

있는 개 이미지는 실패를 상징한다

4) 하찮은 것의 상징

하찮은 것의 표상을 가진 성어 중에 ‘구족제철’이라는 성어가 있는데 구미속초이라는 성어는 담비꼬리로 장식한 관 (冠) 뒤에 개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관작 (금, 爵)을 함부로 내리는 것에 대한 비웃음의 말, 또는 훌륭한 것에 하찮은 것을 뒤이음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5) 신분이 낮거나 미천한 사람들의 상징

개가 들어간 성어들은 적지 않은 편이며 그중에서 평범하거나 낮은 사람들의 상징을 가진 성어들이 많다 한국어 개 사자성어 중에 ‘견마지류’라는 성어가 있는데 이종윤 (2015, p.48)에서 견마지류[犬馬之類]는 개나 말 같은 것들이란 뜻으로, 낮고

천한 사람을 상징하는 말이라고 언급하였다 ‘월견폐설’이라는 성어는 월나라 개가 눈

(雪)을 보고 짖는다는 뜻으로, 식견이 좁은 사람이 평범한 사물을 보고도 크게 놀람을

이르는 성어인데 여기에 있는 개 이미지는 식견이 좁은 사람의 상징이다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개의 상징 대조

3.1.2 절에서 분석한 한국어와 베트남어 성어에 나타나는 개 상징은 표로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개 상징 대조

순서 상징 한국 베트남

2 감화를 받음 x

4 맛있는 음식 x

외롭고 고립됨 x x

7 흉악함과 사랑 부족 x x

8 하찮은 것의 상징 x

9 신분이 낮거나 미천한 사람들 x

10 지식이 부족하거나 무지하거나

무능한 사람들 x

11 비열한 행동이나 고약함 x

12 사이가 나쁜 관계 x

13 우스꽝스러움의 표상 x

15 앞잡이, 배신자 x

16 불합리한 것들 x

17 탐욕스러움 x

저희가 수집한 성어 중 한ã베 개가 포함된 성어에 나타나는 상징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것은 성어로 표현되는 한국과 베트남 사람들의 문화 차이를 보여준다 긍정적 상징 경우면, 총 4 개의 상징 중 한국과 베트남 사자성어에 등장하는 상징은 전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자성어에서 개는 ‘충성심’과 ‘감화를 받음’을 상징하는 반면, 베트남 사자성어에서는 유사한 상징이 발견되지 않으며

‘행운’과 ‘맛있는 음식’이라는 두 가지 상징이 나타난다 한국인에게는 개의 충성심을 중시하고 충성스러운 동물로 여기므로 충성스러운 개라는 이미지가 나타난다 베트남 사람들에게 개는 예로부터 친숙한 요리임은 부정할 수 없는 만큼 개의 이미지는 맛있는 음식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인다

6 ‘x’는 성어에서 상징의 등장을 나타낸다

개의 부정적인 상징 중에 한국과 베트남에서 유사한 상징은 3 개가 있는데

‘외롭고 고립됨’, ‘실패함’, ‘흉악함과 사랑 부족’의 상징이다 개는 인간과 가까운 동물이며 관찰 과정을 통해 사람들이 개의 여러 특성을 발견하게 된다 개는 원래 사람과의 가까운 동물이며 사람과 같이 살기 때문에 인간에게 버림받으면 고립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그 때문에 개는 외로움과 고립의 상징이 된다 개는 감정을 가지고 있고 인간을 이해할 수 있는 동물로 여기지만 여러 경우에 개는 공격적인 본성을 드러낸다 이는 개가 인간에게 길들여지기 전의 조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개들의 본성이다 그런 상황에서 개는 흉악함의 상징이다 특히 베트남에는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잔인한 여자를 뜻하는 ‘Chó cái cắn con (자기 새끼를 무는 암캐)’라는 성어가 있는데, 이는 인간의 눈에 개들이 여전히 잔인하고 사악한 본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나머지 부정적인 상징 중 베트남에는 없지만 한국에 있는 5 개의 상징이 있는데 ‘하찮은 것’, ‘신분이 낮거나 미천한 사람들’, ‘지식이 부족하거나 무지함 또는 무능한 사람들’, ‘비열한 행동이나 고약함’ 그리고 ‘사이가 나쁜 관계’의 상징이다 그리고 베트남에는 있지만 한국에 없는 5가지 상징은 ‘우스꽝스러움의 표상’, ‘가난함’,

‘앞잡이, 배신자’, ‘불합리한 것들’, ‘탐욕스러움’의 상징이 있다 이것은 한국과 베트남

두 민족의 문화적 차이를 보여준다 한국에서는 계급과 지위를 중시하는 국가이기 때문에 신분이 낮거나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을 표현할 때 개의 이미지가 사용된다 베트남에서는 관찰을 통해 베트남인은 개가 많이 먹고 먹기 위하여 싸울 수 있는 특성을 발견했기 때문에 탐욕스러움을 표현할 때 개 이미지를 사용한다 특히 베트남에는 전쟁 시기가 있으며 나라를 팔아먹는 배신자들이 있으므로 개가 이들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쓰였다 개는 낮은 지위와 배신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것이 베트남의 신념에 반영되어 있다.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용의 상징

용의 긍정적 상징

저희는 동물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용에 관한 모두 11 개의 긍정적인 상징을 찾았다

1) 영웅, 훌륭한 인재, 뛰어난 능력을 가지는 인재, 뛰어난 인물의 상징

용은 항상 신비한 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무한한 힘을 지니고 있어 많은 사람에게 숭배받고 있다 그 이유로 다양한 문화권에서는 용을 최고로 여기며 특히 중국인들은 용의 후손으로 여기며 자신을 ‘용적전인 (龍的傳人’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고귀한 신념으로 용은 영웅, 훌륭한 인재, 뛰어난 능력을 가지는 인재, 뛰어난 인물의 상징으로 자리 잡는 것이 이상하지 않은 일이 아니다

한국어 용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용호지자’라는 성어가 있다 그 성어는 용과

범의 자태라는 뜻으로, 뛰어난 풍채나 영웅의 바탕을 이르는 말인데 이는 사람들이

용의 이미지를 영웅의 모습으로 여겼음을 증명할 수 있다 ‘용집봉회’라는 성어는 용과 봉새가 모인다는 뜻으로 뛰어난 인물의 모임을 이르는 말이며 여기에서 등장하는

용의 이미지는 영웅을 상징함을 보여준다 훌륭한 지혜를 지닌 사람을 비유하면

‘백룡지지’라는 성어가 있다 이 성어는 백 마리 용의 지혜라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훌륭한 지혜를 이르는 말인데 여기에 나타나는 용 이미지는 고대인들이 용을 크게

존경했으며 용은 훌륭한 지혜를 상징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용봉지자’라는 성어는

용과 봉황의 자태라는 뜻으로, 보통 사람보다는 뛰어난 자질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인데 용과 봉황 이미지는 뛰어난 자질을 가진 사람의 상징이 된다

베트남 용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Long Li Quy Phụng (용, 기린, 봉황, 거북)’이라는 성어가 있는데 용은 기린, 봉황, 거북이와 함께 사신수로 꼽히며 영웅, 훌륭한 인재, 뛰어난 인물의 상징이다

2) 시험에 합격함, 성공의 상징

용을 언급하면 우리는 흔히 용문 (龍文)의 이미지를 떠올린다 중국 후한 (後秦)의

역사 기록에 따르면, 황하 상류에 있는 용문이라는 지역이 있다고 한다 복숭아꽃이

핀 매혹적인 계절에는 수많은 잉어들이 용문에 모여 폭포수를 이기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놀라운 현상이 펼쳐진다 거대한 폭포를 성공적으로 뛰어넘을 수 있는 잉어만이 장엄한 용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 만사형통 한다는 여의주를 갖게 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한국 용 사자성어 중에 ‘어룡장화’라는 성어가 있는데 잉어가 용으로 변한다는 뜻으로, 시험에 합격하여 입신출세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이 성어를 통해 용이 된다는 것이 시험 성공의 상징임을 알 수 있다 같은 의미로 ‘어변성룡’이라는 성어가 물고기가 변하여 용이 되었다는 뜻으로, 아주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 영달함을 비유하는 말인데 여기에 등장하는 용의 이미지는 부귀와 성공을 상징한다

베트남 용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Cá chép hóa rồng’와 ‘Cá lí hóa long (잉어가

용이 된다)’라는 성어가 있는데 시험에 합격하여 입신출세하는 학생이라는 뜻을 가진다 두 성어는 위에서 언급한 잉어가 용이 된다는 전설과 관련이 있다 용이 된 모습은 시험에서 성공을 거두는 것을 상징한다

3) 귀인의 상징

용의 부정적 상징

저희는 다음과 같이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용에 관한 4 개의 부정적인 상징을 찾았다

1) 권위나 세력을 잃음의 상징

한국 용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용반원사’라는 성어가 있는데 이종윤 (2011, p.809)에서 용이 서리어 있으면 도롱뇽 (길이가 11cm 되는 벌레)이 업신여긴다는

뜻으로 성인 (聖人)도 민가에 섞여 살면 속인이 업신여긴다는 말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신룡실세’라는 성어는 이종윤 (2011, p.671)에 따르면 신이나 용이 힘을 잃는다는 뜻으로, 큰 인물이 권위나 세력을 잃음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였다

베트남 용 사자성어 중에 ‘Rồng lội ao tù’라는 성어도 있는데 Vũ Dung외 (1995, p.526)에서 이 성어는 영웅은 불운을 맞고 세력을 잃으며, 제약과 제한을 받으며

재능을 펼칠 기회가 없는 상황이라는 뜻을 가진다고 언급하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용은 뛰어나고 재능 있는 인재를 나타내지만 위의 세 개의 성어에 등장한 용 이미지는 권위나 세력을 잃어 작은 동물인 도롱뇽에게도 멸시받는다는 뜻을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 있는 용 이미지는 권위나 세력을 잃음을 상징한다

2) 쓸모없는 재능의 상징

한국 용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도룡지기’라는 성어가 있는데 ‘도룡지기’라는 성어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이종윤 (2011, p.249)에 따르면 이 성어는 용을 잡는 기술이라는 뜻으로, 쓸데없는 재주를 이르는 뜻을 가진다고 하였다 용은 존재하지

않는 동물이므로 용을 잡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성어에 등장하는 용을 잡는

일은 쓸모없는 재능을 상징한다

3) 접근하기 어려운 곳의 상징

한국 사자성어 중에 ‘여룡지주’라는 성어를 찾았다 이종윤 (2011, p.740)에 따르면 검은 색 용의 턱 밑에 있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목숨을 걸고 구하지 않으면

얻을 수 없는 귀중한 보물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였다 위 성어에서 용의 턱 밑은 접근하기 어려운 곳을 상징한다 사람들은 용은 위엄이 있는 동물이고 만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용의 턱에 닿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상징한다

4) 아주 작은 것의 상징

한국 용에 관한 사자성어에서 ‘귀룡편갑’이라는 성어를 찾았다 이 성어는 이종윤 (2011, p.142)에서 거북과 용의 한 조각의 껍질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것을 이르는 말이라고 언급하였다 우리가 알고 있는 용은 껍질이 있는 동물로 묘사되는데

용의 껍질은 용의 몸에서 아주 작은 부분임으로 이 성어에 나오는 용의 껍질 이미지는 아주 작은 것을 상징한다

앞서 언급한 성어는 모두 부정적인 상징을 가진 사자성어이다.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용의 상징 대조

위에서 분석한 한국어와 베트남어 성어에 나타나는 용의 상징은 표로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용 상징 대조

순서 상징 한국 베트남

영웅, 훌륭한 인재, 뛰어난 능력을 가지는

인재, 뛰어난 인물 x x

2 시험에 합격함, 성공 x x

4 아름답고 웅장한 글씨 x x

5 산세의 웅장함 x x

6 위엄, 용맹스러움 x

7 맛있고 얻기 어려운 진미 x

9 부귀와 고귀함 x

11 아름다운 인연 x

권위나 세력을 잃음 x x

13 쓸모없는 재능 x

14 접근하기 어려운 곳 x

15 아주 작은 것 x

용이 포함된 사자성어에 등장하는 긍정적 상징이 총 11 개가 있는데 그 중에 한국은 8 개가 있으며 베트남도 8 개가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상징 중 한국과

베트남에는 ‘영웅, 훌륭한 인재, 뛰어난 능력을 가지는 인재, 뛰어난 인물’, ‘시험에 합격함, 성공’, ‘귀인’, ‘아름답고 웅장한 글씨’ 그리고 ‘산세의 웅장함’이라는 5 개의 유사한 상징이 있다

이것은 베트남과 한국 모두가 용에 대해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록 용은 실재하지 않는 동물이지만 항상 엄숙하고 뛰어난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다 용은 초자연적인 힘으로 유명하다 또한 한국과 베트남은 둘 다 유교에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학문적 성취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잉어가 용문을 올라 용이 된다’라는 전설은 두 나라에서 모두 존재하는 전설이므로 베트남과 한국 모두에서 용은 성공을 상징한다 또한, 용은 재능 있고 신적인 사람의 상징으로 받아들여 집에 귀한 손님이 찾아온다는 뜻의 ‘귀인’이라는 상징도 용에 붙인다 특히 두 나라에서 용이 나는 모습은 아름다운 글씨와 아름다운 땅을 나타내기

위한 비유로도 사용된다

그러나 ‘위엄, 용맹스러움’, ‘맛있고 얻기 어려운 진미’, ‘천자’와 같은 상징은 한국에 있지만 베트남에 없는 기호이다 베트남에 있지만 한국에 없는 상징도 존재하는데 그 상징은 ‘부귀와 고귀함’, ‘행운’ 그리고 ‘아름다운 인연’라는 상징이다

이는 사자성어에 있는 용 이미지에 대한 양민족의 관념의 차이를 보여준다

양국의 용에 대한 부정적인 상징의 개수는 매우 적으며 단 4 개의 상징에 불과한다 용에 대한 부정적인 상징 중 한국은 4 개, 베트남은 1 개만 있다 한국과 베트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상징은 ‘권위나 세력을 잃음’이다 魏然

(2016, p.30)에서 용은 훌륭한 인재 또는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는 사람에 비유하며

용은 뛰어난 능력을 인정을 받지만 못하는 것이 없는 것도 아니라고 하였다 용은

힘을 상징하는 동물이라는 데에는 두 나라 모두 같은 의견을 갖지만 환경이나 여건이 부족하면 힘을 잃기도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에는 용에 대한 부정적인 의미가

‘쓸모없는 재능’, ‘접근하기 어려운 곳’, ‘아주 작은 것’이라는 세 가지의 상징 더 존재한다.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의 상징

호랑이의 긍정적 상징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에 관한 긍정적인 상징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10개의 긍정적인 상징이 발견되었다

1) 용맹과 강한 힘의 상징

위정사 (2018, p.53)에서 호랑이는 동물과 관한 문화에서 강하 고 용맹하며 사악한 것을 물리치고 재앙을 없애고 상서로운 상징이라고 하였다 고대 문화에서 정의와 용기, 존엄의 상징이었던 호랑이는 오랫동안 인간에게 높은 존경을 받아왔다

‘숲의 왕’ 또는 ‘백수의 왕’으로 알려진 호랑이는 용감한 성격으로 존경을 받아왔다 과거에는 호랑이를 보는 것만으로도 사람들 사이에 두려움이 생겨 호랑이에게 가까이 다가갈 가능성이 전혀 없었다 이로 인해 고대부터 사람들은 호랑이를 수수께끼의 생물로 여겼다

한국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용양호박’이라는 성어가 있는데 이종윤

(2011, p.811)에서 용처럼 뿌리치고 범처럼 친다는 뜻으로, 영웅들이 용맹스럽게 다투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호랑이의 이미지는 용맹의 상징이다 호랑이의 이미지는 강한 힘을 상징한다는 성어인 성어가 있는데 그 성어는

‘용호상박’이다 이종윤 (2011, p.815)에서 ‘용호상박’은 용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힘이 강한 두 사람이 승패를 겨룸을 이르는 말이라고 해석하였다 호랑이는 늘 힘이

있는 동물로 알려져 있는데, 그 힘은 위 성어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투를 통해 표현되므로 호랑이는 강한 힘의 상징임을 이해하기 쉽다

베트남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Như hùm mọc cánh (날개가 자란 호랑이와 같다)’라는 성어를 찾았다 Vũ Dung외 (1995, p.472)에 따르면 이 성어는 힘과

능력이 증가하여 더욱 강해진다고 해석하였다 호랑이는 강한 힘 때문에 숭배받는 동물이므로, 호랑이에게 날개를 주면 그 힘이 더욱 유용해진다 여기서 호랑이의 이미지는 강한 힘의 상징으로 알 수 있다

2) 산세의 웅장함의 상징

앞서 4.2.1 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국 사자성어 ‘용반호거’와 ‘호거용반’은 베트남 사자성어인 ‘Long bàn hổ cứ’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용이 서리고 범이 걸터앉았다는 뜻으로 용은 산세 (山勢)의 웅장함을 이르는 말이다 두 성어에서 호랑이의 이미지는 용과 같이 산세의 웅장함을 상징한다

3) 훌륭함이나 비범함의 상징

한국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호생문병’이라는 성어가 있는데 호랑이는 나면서부터 훌륭한 무늬를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영재 (英材)는 어릴 적부터 기량이 비범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호랑이는 뛰어난 재능과 우월한 힘을 갖춘 동물로 여겨지며, 호랑이를 알아볼 수 있는 주된 식별 기준은 무늬이다 무늬를 보고서 호랑이인지를 알 수 있으며 여기서 호의 이미지는 비범함을 상징한다

베트남 성어 중에 ‘Hổ phụ lân nhi (아비는 호랑이 같고 아들은 기린 같다)’라는 성어가 있다 이 성어에서 아버지는 훌륭하며 비범한 호랑이에 비유되며 호랑이 이미지는 훌륭함이나 비범함의 상징이다 ‘호부견자’라는 성어에서도 저희는 호랑이의 이미지는 훌륭함의 상징을 사용되는 것을 발견하였었다 이종윤 (2011, p.1320)에 따르면 이 성어는 호랑이 같은 아비에 개 같은 아들이라는 뜻으로, 잘난 아버지에

비해 못난 자식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였다 이 성어는 부정적인 의미를 갖고 있지만, 등장하는 호랑이 이미지는 사람들이 호랑이를 재능 있고 비범한 동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4) 뛰어난 영웅의 상징

한국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서 호랑이의 이미지는 영웅 상징의 의미를 나타내는 성어가 적지 않은 편이다 ‘호소풍생’이라는 성어는 범이 큰 소리로 으르렁거려 바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영웅이 때를 얻어 분기 (奮起)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용호지자’라는 성어는 용과 범의 자태라는 뜻으로, 뛰어난 풍채 영웅의 바탕을 이르는 표현이다 위 성어들에 등장하는 호랑이 이미지는 모두 다 영웅의 상징이다 호랑이는 뛰어난 외모와 태도를 지닌 동물로, 그들의 외모부터 움직이나 전투하는 행동까지 모두 영웅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호랑이는 싸우지 않고 숨어

있을 때도 여전히 영웅적인 기질과 기질을 뽐낸다

호랑이의 부정적 상징

저희는 다음과 같이 동물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에 관한 7 개의 부정적인 상징을 찾았다

1) 위험한 짓, 딱한 형편, 그만둘 수 없는 상황의 상징

한국의 호랑이 사자성어 중에 ‘기호지세’가 있는데 이종윤 (2011, p.174)에 따르면 이 성어는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듯한 형세라는 뜻으로, 시작한 것을 중도에서 그만두려 해도 그만둘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이라고 해석하였다 사람들이 항상 호랑이를 위험하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이 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의 이미지는 위험을 상징이 되었다 ‘기호발수’라는 성어는 호랑이 등에 타고 그 수염을 뽑는다는 뜻으로,

매우 위험한 짓을 함을 이르는 말이다 ‘기호지세’와 마찬가지로 위험으로 여겨져온 호랑이를 타는 모습은 호랑이를 위험의 상징으로 나타낸다 ‘기호난하’라는 성어는 호랑이를 타고서는 내리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딱한 형편을 이르는 말인데 이 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 이미지도 위험한 상황을 상징한다

베트남 성어에서도 비슷한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이 있는데 그 성어는 ‘Cưỡi trên lưng hổ’ 또는 ‘Cưỡi trên lưng cọp’이다

2) 사나운 인심, 사나운 위세, 맹렬한 기세의 상징

한국과 베트남 사자성어 중에 인심이 사나운 것, 사나운 위세, 맹렬한 기세의 상징을 가진 성어가 많이 있다 ‘위랑위호’라는 성어는 이리가 되었다가 호랑이가 되었다가 한다는 뜻으로, 인심이 사나운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심산맹호’라는 성어는

깊은 산속의 사나운 범이라는 뜻으로, 매우 사나운 위세나 그런 위세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그리고 ‘신호지세’라는 성어는 새벽의 굶주린 호랑이와 같은 기세라는 뜻으로, 매우 맹렬한 기세를 비유하는 말이다

베트남 성어 중에 ‘Hùm thiêng rắn độc (사나운 호랑이와 독사)’라는 성어가 있는데 잔인하고 무섭고 사나운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다 ‘Gầm như hổ đói (배고픈

호랑이처럼 포효한다)’라는 성어는 사납게 비명을 지르는 뜻을 가진다

위정사 (2018, p.56)에서 옛날 호랑이는 사납고 잔인한 악한 세력을 상징하기도 한다고 언급하였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호랑이가 용맹스럽고 웅장한 성격이 있는 동시에 냉혈하고 잔인한 성격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호랑이는 약자를 동정하지

않고 착한 마음도 없는 동물이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호랑이로 자신의 장점을 내세워 약자를 괴롭히고 은혜를 갚을 줄 모르는 악한 세력을 비유 한다 그로 인해 많은 성어에서 호랑이는 사나운 인심, 사나운 위세, 맹렬한 기세의 상징인 것 같다

3) 잔인하고 욕심이 많음, 매우 맹렬한 기세, 무섭고 잔인함의 상징

한국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호문치목’이라는 성어가 있는데 범의 입술과 소리개의 눈이라는 뜻으로, 잔인하고 욕심이 많은 상 (相)을 이르는 말이다

‘신호지세’라는 성어는 새벽의 굶주린 호랑이와 같은 기세라는 뜻으로, 매우 맹렬한 기세를 비유하는 말이다 ‘치목호문’은 솔개의 눈매와 범의 입술이라는 뜻으로, 무섭고 잔인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그리고 ‘신호지세’라는 성어는 새벽의 굶주린 호랑이와

같은 기세라는 뜻으로, 매우 맹렬한 기세를 비유하는 말이다

베트남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Như hổ như báo (호랑이나 표범과 같다)’라는 성어가 있는데 Nguyễn Như Ý 외 (1993, p.488)에서 이 성어는 맹수처럼 잔인하고 사납다는 뜻을 가진다고 하였다 위 성어에 등장하는 호랑이 이미지는 모두

다 잔인하고 욕심이 많음이나 매우 맹렬한 기세나 무섭고 잔인함을 상징한다

4) 권위나 세력을 잃음의 상징

한국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맹호위서’라는 성어가 있다 이종윤 (2011, p.313)에서 이 성어는 쥐로 변하게 되듯이, 범도 위엄을 잃게 되면 쥐와 같이 된다는

말이며 군주도 권위를 잃게 되면 신하에게 제압을 당함을 비유하는 말이라고 하였다 베트남 호랑이에 관한 사자성어 중에 ‘Hùm thiêng xa lưới (그물에 걸린 맹호)'라는 성어도 있다 이 성어는 재능 있는 사람은 힘을 잃는다는 뜻을 가지며 ‘맹호위서’과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의 상징 대조

위에서 분석한 한국어와 베트남어 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의 상징은 표로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한ã베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 상징 대조

순서 상징 한국 베트남

용맹과 강한 힘 x x

2 산세의 웅장함 x x

3 훌륭함이나 비범함 x x

4 뛰어난 영웅 x

위험한 짓, 딱한 형편, 그만둘 수

없는 상황의 상징 x x

6 사나운 인심, 사나운 위세, 맹렬한

7 잔인하고 욕심이 많음, 매우 맹렬한

기세, 무섭고 잔인함 x x

8 권위나 세력을 잃음 x x

9 매우 위험한 곳 x x

11 탐욕스러운 나라 x

위의 표를 보면 한ã베 양국 사자성어에서 나타난 호랑이의 상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호랑이가 포함된 사자성어 중 부정적인 상징은

7개이며 긍정적인 상징은 4개이다

호랑이에 대한 긍정적인 상징 중 한국은 4 개가 있으며, 베트남은 3 개가 있다 한국과 베트남은 ‘용맹과 강한 힘’, ‘산세의 웅장함’, ‘훌륭함이나 비범함’이라는 유사한

상징이 3 개가 있다 한편 ‘뛰어난 영웅’이라는 상징은 한국에서만 볼 수 있지만 베트남에서는 찾을 수 없는 상징이다

호랑이에 대한 부정적인 상징 중 한국은 7 개, 베트남은 6 개가 있다 한국과 베트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상징은 ‘위험한 짓, 딱한 형편, 그만둘 수

없는 상황’, ‘잔인하고 욕심이 많음, 매우 맹렬한 기세, 무섭고 잔인함’, ‘권위나 세력을 잃음’, ‘매우 위험한 곳’, 그리고 ‘화근, 재난’이라는 상징이다 호랑이가 포함된 사자성어에서 ‘강한 탐욕스러운 나라’라는 상징을 찾았지만, 베트남어 사자성어에서는

이 상징을 찾을 수 없었다

이것은 두 나라에서 호랑이에 대한 관념이 거의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으로 인간은 호를 힘이 가지고 강한 존재로 숭배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호랑이의 야성과 위험 때문에 두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본 장에서는 개, 용, 호랑이 세 가지 동물에 관한 한ã베 사자성어의 상징을 분석하고 비교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저희가 수집한 성어 중 한ã베 개가 포함된 성어에 나타나는 상징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것은 성어로 표현되는 한국과 베트남 사람들의 문화 차이를 보여준다 대조 결과를 통해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용에

대한 관념에서 많은 유사점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베트남과 한국 모두가 용에 대해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베트남인과 한국인 모두 사자성어에 나타나는 호랑이의 긍정적 상징과 부정적 상징에 대한 상징은 상대적으로 유사하다 이것은 두 나라에서 호랑이에 대한 관념이 거의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으로 인간은 호를 힘이 가지고 강한 존재로 숭배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호랑이의 야성과

위험 때문에 두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 결과를 통해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인식 차이와 유사점을 명확히 볼 수 있으며, 두 민족의 문화에서 동물에 대한 관점과 시각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언어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 베트남 민족은 각각의 역사와 문화 발전 과정에서 뚜렷한 언어적 특성을 나타내는 독특한 사자성어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성어는 고정적이고 심오한 의미와 상징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공동체의 문화적 가치와 신념을 반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베트남에서의 개, 용, 호랑이와 관련된 동물 사자성어를 대상으로 한ã베 동물 사자성어의 의미특성을 대조하며 양국의 개, 용, 호랑이와 관련된

동물 사자성어의 상징도 자세히 살펴보았다

먼저,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과 베트남 두 나라의 사자성어와 동물 사자성어 비교 연구를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과 베트남의 사자성어 대조와 비교에 초점을 두는 연구가 전체 범위를 다루고 있지만 다수의 사자성어에 대한 연구는 주로 형태와 구조를 분석하며 동물에

관한 사자성어의 의미특성과 상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사자성어의 의미특성과 상징에 대한 연구가 있더라도 주로 의미적 측면을 설명하는 데 그치며 구체적인 비율 대조는 적은 편이다

제 2 장에서는 한국 사자성어와 베트남 사자성어의 개념을 설명하고 양국의 사자성어의 기원을 정리하였다 한ã베 양국 사자성어의 개념과 기원의 비교를 통하여

Ngày đăng: 28/10/2024, 14:23

TÀI LIỆU CÙNG NGƯỜI DÙNG

TÀI LIỆU LIÊN QUAN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