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rang chủ
  2. » Luận Văn - Báo Cáo

The fluidity of street dance in snack culture

15 4 0

Đang tải... (xem toàn văn)

Tài liệu hạn chế xem trước, để xem đầy đủ mời bạn chọn Tải xuống

THÔNG TIN TÀI LIỆU

Thông tin cơ bản

Định dạng
Số trang 15
Dung lượng 342,83 KB

Nội dung

In the past, the media were just perceived the innovative technology that could make individuals’ lives more convenient and abundant. Now, the media are creating, connecting, and converging everything in the world, which means transcending the principle of technology and capital that has been developed by humans’ labor. The media are involved in everything of the world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individuals’ daily level. The media are showing the remarkable growth to meet humans’ instinct to pursue the quickness and convenience

논문 Snack culture 에서 street dance 의 유동성 *  이주영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스낵 컬쳐의 특징 Ⅲ 스낵 퍼포먼스로서의 street dance Ⅳ 결론 참고문헌 * 대구가톨릭대학교 무용학과 시간강사 논문투고일 : 2020.07.30 논문심사일 : 2020.08.03 게재확정일 : 2020.09.15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31집 제3호(통권 68호) 129 Abstract The fluidity of street dance in snack culture Lee, Joo-young · Daegu Catholic University In the past, the media were just perceived the innovative technology that could make individuals’ lives more convenient and abundant Now, the media are creating, connecting, and converging everything in the world, which means transcending the principle of technology and capital that has been developed by humans’ labor The media are involved in everything of the world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individuals’ daily level The media are showing the remarkable growth to meet humans’ instinct to pursue the quickness and convenience In the recent world of daily life, the phenomenon of snack culture is noticeably shown With the explosive public popularity of webtoons and web-dramas based on the mass media, various media platforms such as YouTube, Netflix, and Instagram have been formed, and also the culture & arts-related content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users’ needs have been newly formed The core of snack culture is the occurrenc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t a rapid pace with no boundary of roles Also, the participation and sharing are occurred promptly Because there are no limitations on place, time, and language of this phenomenon, everyone who has a communication device in the whole world could enjoy the snack culture in the horizontal relationships, and the access and out could be done according to users’ active attitude The street dance could elaborately expresses various musics and rhythms with each joint and muscle of body by pursuing the active revelation of oneself through free and individual movements Also, as a dance culture originated from street, the dance could be shown anytime and anywhere such as park, club, square, school, auditorium, and theater, so that it could be viewed and participated by everyone as well The street dance that has been developed targeting the unspecified public was hard to obtain the objective evaluation due to its characteristics like placeness and movement, and the scale or standard was also ambiguous Thus, it was the most important to draw the active responses, needs, and cheers from the public, to exchange the energy together, and to enjoy together In other words, how much the public enjoys, cheers, and recognizes the diversity through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and exchanging through dance is the cultural essence of street dance and also the value of community(street scene) This street dance is settled down as important pop-cult contents in the phenomenon of snack culture based on the 130 Snack culture에서 street dance의 유동성 progress of new media Especially, the application TikTok that is accessed by 100 million people is the representative snack culture video platform, actively utilizing various movements of street dance including K-pop dance As a participatory culture that could be enjoyed with anyone, anytime and anywhere, the street dance is an arts in dance mixed with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that could fully show the freedom, openness, and creativity The street dance aims to enjoy and feel the happiness and well-being through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into snack performance, and also to express individual uniqueness through dance In other words, the street dance as snack performance does not pursue the external expression of body or techniques with no messages The essence of street dance that should be expanded through building relations and sharing instead of unidirectional performance becomes the media as it is Just as the arts is not the exclusive property of artists, the snack performance formed through the collaborative process between street dance and media, is creating the synergy effects through the convergent promotion, beyond the dichotomous perspective on technology and arts Also, the complementary action is giving various cultural phenomena and new artistic values, and designing the look of meaningful life through the sincerity The street dance is standing on the turning point of underlying perception of the roles and nature of dance arts, media, and the public street dance, snack culture, snack performance, hiphop dance, new media, fluidity 스  트릿 댄스, 스낵 컬쳐, 스낵 퍼포먼스, 힙합 댄스, 뉴 미디어, 유동성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31집 제3호(통권 68호) 131 Ⅰ 서론 본 연구는 스낵 컬쳐 현상에 따른 스트릿 댄스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하 나의 거대한 공동체가 된 초연결 사회에서 이질적인 문화의 융합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곳이 예술 분야라면 스트릿 댄스는 그 과정을 적극적으로 즐기고 일상세 계로의 퍼포먼스로 영역을 확대한다 새로운 음악의 변화를 수용하고 창조적인 움 직임을 생성하며 음악, 미술, 패션, 문화, 전통, 등 삶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험들 을 자신만의 개성으로 체화한다 또한 주체와 객체의 역할 전복에 대해 열린 태도 를 보이기 때문에 수평적 관계를 토대로 문화적 다양성을 아우른다 즉 스트릿 댄 스는 대중들의 취향과 요구로부터 독립적이고 고립될 수 없으며 변화 수용적 태도 와 유연한 개방성이 바탕이 된다 살아있는 문화의 산물로 존재하는 스트릿 댄스는 예술가 중심의 행위-감상-평가 체계가 아닌 감상자 중심의 연결-공유-확장 체계 를 추구한다 스트릿 댄스는 대중과의 상호 교감과 정서적 지지를 통해 연결되는 정신적 차원 을 추구한다 이러한 연결성은 모든 과정과 결과를 자신만의 경험으로 남겨두는 것 이 아닌 타인과의 공유를 통해 지속 가능한 생명을 부여받게 된다 스트릿 댄스는 대중들과 자신의 춤 세계를 함께 나누고 상호피드백을 주고받음으로 깊은 정서적 관계로 발전한다 깊은 연대감, 정서적 교감, 소속감은 곧 스트릿 댄스에서 새로운 에너지를 생성시키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동력을 통해 스트릿 댄스 는 끊임없이 대중들의 주목과 시선을 사로잡는 새로운 예술 형식과 문화적 현상을 발생 시킨한다 즉 스트릿 댄스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중의 평가가 척도와 기준이 되기 때문에 능동적인 참여와 주체적인 개별 의식 지향성을 동반하고 있다 이러한 스트릿 댄스의 특성은 미디어의 생태계의 특성과도 부합한다 미디어의 세계에 사는 현대사회에서 신체적, 정신적 만족감으로 발전되어왔던 스트릿 댄스는 뉴 미디어의 진보적 과정과도 융합하면서 가상현실을 뛰어넘는 문화 적 파급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스낵 컬쳐는 대중들의 요구와 생활양식을 빠르게 수용하며 무한복제와 대량생산이 아닌 진정성을 기반으로 한 개인적 차원으로의 발 전을 추구한다 스트릿 댄스는 스낵 컬쳐 현상의 질적 발전을 꾀함으로써 무한한 경 험세계를 예술화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 스트릿 댄스는 역동적인 움직임과 에너지 분출, 새롭고도 창조적인 문화공동체 132 Snack culture에서 street dance의 유동성 형성, 예술적 특성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생태계를 풍부화한다 최근 미디어 생태계 에 큰 이슈는 단연 동영상 플랫폼이며 인스타그램instagram, 페이스북facebook, 유튜브youtube, 틱톡tiktok 등이 문화의 시류에 따라 세계적으로 급부상하고 있 다 k-pop 댄스 동영상, 밈 현상, 패러디 현상, 커버댄스, 배틀문화, 콜라보레이션, 코레오그래피 비디오 활성화가 구체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재가공, 동시다발적 공유, 다원적 가치를 넘어 스트릿 댄스는 대중문화의 융합 을 선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디어 생태계의 즐거운 우발사건을 현상을 확장 시 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즐거운 우발사건이란 미디어에서의 가상적 만남과 소통 된 여러 화젯거리와 이야기들이 일상세계로 실천되면서 발생하는 예측 불가한 상 황을 의미한다 스트릿 댄스는 기존의 스낵 컬쳐 콘텐츠의 방향성을 그대로 답습하 는 것이 아닌 삶에서의 적극적인 실천을 통해 구체적으로 매개되거나 새로운 재매 개의 장을 지속해서 구성하고 능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예술과 미디어의 융합을 넘어서 삶의 미디어화는 우리의 일상을 편리하게 바꾸 고 있으나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과 소통은 점차 어려워지고, 실패와 성공만 존재하 는 인간의 경험은 소극적이며 수동적인 행위를 지속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춤은 인 간의 본성이며 관계를 맺는 소통의 가장 본능적인 수단이자 자신을 드러내는 깊은 성찰을 토대로 한다 스트릿 댄스는 새로운 과정과 다양성을 즐기고 의미 지향적인 태도를 겸비한 미 래사회의 대중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에 알맞은 태도를 보이고자 한다 스낵 컬 쳐에 관한 선행연구는 소비문화 패턴을 탐색하는 경영학, 애니메이션, 기업 브랜딩 전략을 제시하는 마케팅 연구에 치중되어 있으며 무용학 논문으로는 전현주, 백정 희(2016)의 논문이 유일하며 스트릿 댄스 분야에서는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낵 컬쳐 현상을 탐구하고 스낵 컬쳐의 생태계 속에서도 문화적, 예 술적 본질을 잃지 않는 스트릿 댄스의 특징을 고찰하여 향후 스트릿 댄스의 활성화 와 더불어 관련된 후속 연구에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31집 제3호(통권 68호) 133 Ⅱ 스낵 컬쳐의 특징 스낵 컬쳐의 대중문화적 특성 스낵 컬쳐란 과자, 간단한 음식을 의미하는 스낵과 문화의 합성어로서 가볍 게 즐기며 소비되는 한입 사이즈(bite-size)를 의미하는 미디어 형식으로 미국 잡지 ‘Wired’에서 이 단어를 처음 사용하면서 점차 대중들에게 알려졌다 즉 일상을 영 위하는 삶 속에서 부담 없는 가벼운 태도로 소비할 수 있는 몇 초에서 몇 분 내외의 온라인상에서 유통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빠른 속도를 중심으로 삶의 모습이 바 뀌는 현대인들에게 스낵 컬쳐 콘텐츠들은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 달되며 언제 어디서나 즐거움과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감성을 자극하고 우리의 일상세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스낵 컬쳐화 현상은 그림, 음악, 춤, 문학, 영화에서부터 드라마, 광고, 방송프 로그램, 기업 브랜딩 등 문화에서 경제까지 전반에 걸쳐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미디어의 생태계 변화뿐만 아니라 실재적인 삶의 경제·문화·사회적 부가가 치까지 발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안세화(2016)의 연구에 따르면 통신 디바이스 이용 시간이 많은 사람일수록 스낵 컬쳐에 더 만족하고 그에 중독되며 대체재로 높게 인 식한다고 하고 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스낵 컬쳐는 움직임, 자극성, 에 너지성, 독특성을 기반으로 연출된다 또한 스낵 컬쳐의 부흥은 k-culture의 세계 화 현상에도 영향을 끼치며 또 다른 대중예술의 가치와 위상을 높이고 있다 “스낵 컬쳐는 기존의 영상콘텐츠와는 구분되는 미학적 원리와 제작방식을 요구하고 있 다”(김현숙, 문재철, 2018:247) 스낵 컬쳐가 기성 미디어인 TV, 라디오보다 가장 다른 특징으로 불연속적이고 파편적인 시간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영상의 맥시멀리즘의 섬세하고 화려한 움직임이 아닌 제한된 프레임과 시간 내에서 단순함 을 통해 행동의 핵심(key)들만 인지하도록 하여 단순성으로 환원하여 빠른 전개에서 도 움직임을 쉽게 파악하도록 하게 해준다”(김현숙, 2019:78) 스낵 컬쳐는 깊고 심오한 작품세계를 분석하거나 탐구하는 과정보다 본능적이 고 즉각적인 감각을 바탕으로 표현되는 반응을 추구한다 즉 인지를 통한 행위 프 로세스가 불과 몇 초에서 몇 분 안에 끝나는 것이다 이러한 스낵 컬쳐는 예술을 감 134 Snack culture에서 street dance의 유동성 상하기 위한 태도나 시간이 전제되지 않은 채로 언제든지 일상의 순간에 유의미하 게 스며들고 있다 이혜정(2012)의 연구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한 인터넷 광고의 브랜 딩 효과 및 사용자 반응 분석’에 따르면 광고 몰입도의 표현기법, 브랜딩 효과는 동 영상 형이 가장 높았고 이미지 중에서도 동작형 이미지가 정지형 이미지보다 높았 다 이러한 흥미로운 결과는 화려한 그래픽, 프로그래밍 표현 기법보다도 움직임, 특히 인간의 신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행위가 수용자들의 집중과 몰입을 유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스낵 컬쳐란 인간 고유의 본능과 동화되면서도 독특하고 강한 에너지를 발산하여 시지각을 끊임없이 자극하는 미디어의 새로운 형태인 것이 다 Mcluhan, M.은 미디어란 우리 존재의 확장이거나 우리의 일부를 다양한 재료 를 이용해 변환시킨 것이며 기술은 우리의 자신의 신체와 감각의 확장물이라 하였 다 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우리의 몸은 과학 기술과 동떨어진 이분법적 관계가 아닌 다양한 외부적 요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무한히 확장한다 즉, 인간의 움직임은 의 식과 무의식을 바탕으로 표현될 때 자유로워지며 자기존재를 감각한다 과거와 달 리 유연하고 능동적인 대중들은 스낵 컬쳐 콘텐츠가 동시다발적 공유되기를 원하며 그에 따라 확장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새로운 커뮤니티의 참여 동기를 지속화한다 시각적 상상력, 새로운 이미지 창출, 스토리텔링 등의 요소가 함께 맞물리면서 짜 임새 있는 스낵 컬쳐 콘텐츠의 연출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대중들은 직접적인 경험과 실제적인 감각에 기초하여 적극적인 수용자에서 창조적인 수용자로 발전된 다 왜냐하면 미디어에서는 실재적 신체의 위치나 장소가 탈영토화 되기 때문에 원 격현전(telepresence)이 가능하다 즉 미디어에서 몸은 유기체적 몸을 자각하게 함으 로써 디지털화되는 신체는 사이보그적인 몸으로 강화된다 스낵 컬쳐는 각자의 취 향이 반영한 다수의 플랫폼이 무한정 생성되거나 중복되며 촘촘하고 체계적인 네트 워크 구조로 변화한다 신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무용예술은 이러한 진화된 미 디어와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 “미디어의 성격에 따른 시간적 개방성은 무용의 관계 형성에 있어 목적, 방식, 질적 기대 등의 영역에서 무용이 콘텐츠인 – 이념, 지식, 의 지, 정서, 의사소통을 전제로 한- dance performance의 형태로 무용의 유통체제 를 형성 하였다”(한혜리, 2020:150) 주체적이면서도 개별적인 의식지향성 “정보기술수용 과정에 있는 사용자는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측면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닌 주관적 판단, 감성적 정서와 같은 개인적 특성 때문에 미디어의 사용 여 부를 결정하기도 한다”(유염, 2018:29) 인간의 개인적 특성에 의해 선별된 스낵 컬쳐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31집 제3호(통권 68호) 135 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하고 발전되기 때문에 다수 이용자의 행위를 매 개로 한다 즉, 스낵 컬쳐의 시작과 끝은 대중들의 참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대중 문화적 속성을 그대로 드러낸다 스낵 컬쳐 현상을 가장 발 빠르게 수용하고 있는 예 술은 대중예술이다 대중예술은 미디어를 통해 더 많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며 짧은 시간에 시·청각을 자극한다 또한, 무한복제, 다발적 공유, 자유변형 등을 추구하는 스낵 컬쳐는 기성적 예술에 대한 개념과 작품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있다 즉 스낵 컬쳐는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문화의 변화를 예민하게 감각하는 대중들의 관심과 에 너지,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발전되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인간이 스낵컬쳐를 통 해 관계를 맺고 소통하며 의미 있는 결과물을 획득한다면 스낵 컬쳐 역시 실재적인 인간의 신체적 행위의 참여를 통해 그 가치가 가상에서 현실로 구현화 된다는 점이 다 가상에서 현실로, 현실에서 다시금 가상으로 세계를 가로지르는 스낵 컬쳐에 내 재된 트랜스trans성은 “총체적이며 메타적인 공동체, 소셜 네트워크 등을 상정하며 그 안의 요소들이 서로 깊숙이 연결된 상호 영향을 미치며 구체적인 움직임들의 ‘다 양성’을 포괄하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장동련, 장대련, 권승경, 2013:440) 진화된 스낵 컬쳐 생태계에서 인간의 신체는 세계의 부속물이 아닌 세계와의 상 호작용적 관계에 놓여 있으며 세계를 구성해 내가는 존재이다 삶과 가상이라는 전 혀 다른 두 세계는 인간의 신체를 통해 중첩되며 구조적인 관계를 넘어서 그 자체가 된다 이때 인간은 주체적이며 개별적인 존재로 “물리적인 세계에서 인간이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매개는 인간의 신체였으나 미디어 시대에서 인간의 신체적 역할은 미 디어가 담당하고 있다”(신별, 2005:1758) 실존하는 미디어의 주체자와 수용자의 역할 전복이 자연스러운 스낵 컬쳐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기 위해 이용자는 자신의 취향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주체가 의미화된 활동을 통해 미디어를 능동적으 로 다루고자 한다 스낵 컬쳐를 통해 다양한 감정과 정서를 느끼고, 상호매체성을 통 해 실질적인 의미를 담지한다 스낵컬쳐의 본질은 휘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감각 적인 판단으로 자신이 어떻게 행위를 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다 이 러한 주체적이면서도 개별적인 움직임은 곧 퍼포먼스에서 예술을 지나 자신의 삶에 도달한다 “매체가 몸의 확장임을 고려하면, 매체적인 표현 내용 즉 매체인 메시지 는 몸 자신의 표현 내용과 함께 확장된 몸 자신의 표현 내용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조광제, 2003:362) “대중들은 미디어를 수동적으로 선택하던 모습과는 달리 주 체적인 태도로 참여문화를 확산하고 있으며 콘텐츠와 콘텐츠의 어떠한 관계가 형성 되면서 k-pop 패러디나 커버 문화 버전업version up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김현진, 2018:29) 이러한 변화는 적극적 참여와 표현하기를 넘어 스스로 제작과 생산 과정에 참여하는 크리슈머cresumer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스낵 컬쳐는 주체적 136 Snack culture에서 street dance의 유동성 이면서도 의식 지향적인 움직임이 미디어화 되는 장소이자 공간이다 스낵 컬쳐를 통해 더욱 쉽게 예술을 즐기고 느끼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온라인 네트워크가 오프 라인으로 구현화 되는 것도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었다 주체적이고 개별적인 의식 의 체화는 이러한 과정에서 유의미한 가치를 추구 발현되는 예술적 총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술과 미디어가 근본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본질적 목표와도 부합된다 Ⅲ 스낵 퍼포먼스로서의 street dance 직관적 유희성 김현숙, 문재철의 연구(2018)에서는 스낵컬쳐로서의 가장 효과적인 전달방식은 복잡하지 않고 간결한 선(line of action)동작, 정확한 ‘포즈 투 포즈’의 효과성을 제시 하였다 즉 스낵 컬쳐화 될수록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추구하며 미니멀리즘한 초 기 영상 연출기법이 더 효과적이라는 뜻이다 스트릿 댄스는 지식에 기초한 학습 보 다는 신체 외부의 자극과 내면의 발현성에 의해 행위로 확장된다 추론이나 판단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아닌 대상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며 진솔한 표현을 추구한다 스 트릿 댄스의 가장 큰 특성인 배틀문화는 상대방과 직접적으로 춤실력을 겨루는 형 태로 음악, 공간, 분위기 등이 조화로워야 하며 본능적인 움직임을 발현하는 과정에 서 생생한 ‘쾌’를 함께 나눈다 또한 스트릿 댄스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창조하는 프 리스타일 역시 내면으로부터 순수한 의지와 동기가 내재된 움직임을 추구한다 추 론적 전개를 개재시키지 않은 채 개인의 경험에 따라 생성되는 독립적인 개념이 직 관이라면, 스트릿 댄스는 신체를 통한 직관적 유희성으로까지 범위를 확대한다 스 트릿 댄스가 직관적 유희성을 추구하는 것은 적극적인 대중 수용성에 기초하기 때 문이다 적극적인 대중 수용성이란 대중들의 역할이 한정되어있는 것이 아닌 언제 든지 역할과 위치가 전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매우 밀접한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스트릿 댄스 관람 형태는 역할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시작점이자 대중을 만족시키고 자 하는 인정 욕구가 발현되는 곳이기도 하다 비체계적인 스트릿 댄스의 초기형태 는 보편적 잣대나 기준으로 판단하기 불가능하였으므로 대중들이 곧 심사자이자 평 가자였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스트릿 댄스의 배틀문화, 프리스타일, 잼, 버스킹 등의 형태와 구조는 댄서와 관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31집 제3호(통권 68호) 137 객의 보이지 않는 긴장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참여 문화이자 소속감, 연대감을 느낄 수 있는 의식적인 교류의 장임을 의미한다 그들은 관객과 즉석에 서 에너지를 주고받고 환호하며 분위기를 과열시키기도 한다 즉 스트릿 댄스에서 감상-평가의 체계는 원인과 결과가 아닌 함께 놀며 즐기는 과정에서 개인에게 의 미 있고 가치 있는 직관적 유희성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릿 댄스의 직관적 유희성은 세계의 유일한 자기존재를 드러내고, 인정받고, 소통하며 다름을 존중하 는 관계를 통해 신뢰를 쌓아간다 스트릿 댄스는 천재적 패러다임 속에서 남다른 누 군가의 예술적 행위를 바라보는 것이 아닌 그 자체를 함께 즐기며 삶의 유희성을 찾 고자 하는 것이며 삶의 유희성이란 나의 존재 가치를 깨닫고 타인의 존중 하며 공동 체성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낵 컬쳐의 대중화가 인간의 본능적, 정서적, 인 지적 사고를 자극 시킨다면 스트릿 댄스는 융합적 요소로서의 직관적 움직임을 통 해 유희성을 증대 시킨다 직관적 움직임은 인간의 본능이자 언어나 문자로 환원되지 않는 본질적인 신체 에너지이다 근대적 관점에서의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모방과 복제, 훼손일 것이다 매우 오랜 시간 동안 제작되는 무, 유형의 예술 품들은 새롭고 창조적인 세계와 연결해주는 매개이자 새로운 창구로 그 역할을 해 왔기 때문에 “무용작품의 저작권과 무용 작품의 작가로서의 정체성이 곧 무용 예술 정신의 징표였고 그때는 유일성과 독창성이 주 요소로 작용했으나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의 복제는 ‘퍼나르기’라는 행위 용어로 저작의 행위를 가로채거나 도용하 는 것이 아니라 저작품에 대한 그리고 작가의 정체성(혹은 작품세계)에 대한 좋고, 싫 음의 표현 행위로 그 의미가 변화되었다”(한혜리, 2020:157) 스낵 컬쳐 생태계에서 스 낵 퍼포먼스화 된 스트릿 댄스는 재가공, 복제, 모방을 경외 시 하는 것이 아니라 오 히려 대중들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척도이자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축시키는 문화현 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끊임없이 대중들과 연결되어 자유롭게 공유 되고자 한다 적극적인 대중수용성과 다채로운 변화성을 추구하는 스트릿 댄스는 발생 지역, 문화, 음악 등과의 융합되는 복합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세부 춤 장르라 할 수 있 는 비보이, 팝핀, 락킹, 힙합, 왁킹, 하우스, 크럼프 등의 춤들은 각각 움직임과 장르 들이 매우 다른 형태를 띄고 있다 예컨대 스트릿 댄스의 세부 장르인 팝핀과 락킹 은 순간적인 에너지로 근육과 관절을 멈추는 동작이 인상적이며 하우스 댄스는 일 렉트로닉 음악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스텝과 발의 여러 부위를 이용하여 음악을 화려함을 표현한다 또한, 블록을 쌓는 게임을 연상시키는 손동작인 킹텃king-tut, 달을 걷는 듯한 착시효과를 일으키는 문워크moon-walk, 물결과 파동의 모습을 138 Snack culture에서 street dance의 유동성 신체를 통해 표현하는 웨이브wave 등의 움직임은 흥미와 즐거움을 선사하고 신체 의 관절 범위와 가동 범위를 넘어서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기도 한다 시각적 자극 과 짧고 간결한 에너지들을 추구하는 동작들은 스낵 퍼포먼스로서 개인의 독자적 인 매력과 시선을 끄는 움직임과 그에 알맞은 음악과의 조화로움을 가미하고 공간 과 장소를 연출하기도 한다 스트릿 댄스의 직관적 유희성은 스낵 컬쳐화 현상과 융합 되면서 그 특징을 더 욱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며 창조적이고 새로운 미디어의 형태를 통해 다양한 아이 디어를 기반으로 스낵 퍼포먼스로 연출된다 스낵 퍼포먼스의 실천화 스낵 컬쳐의 질적 발전은 그 특성상 직관적이고 단순한 느낌을 추구하는 초기 콘텐츠 형태에서 점차 새로움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도전성과 가치 있는 경험형식을 탐닉하는 방식을 택하게 되었다 “다양하고 복잡한 혼돈의 미디어 상황 속에서 기존 의 전통적 기계론에 입각한 선형적 논리의 정태적 형태에서 시공간을 아우르는 불 확정적 방향으로 변화하고 항상 새로운 성질이나 형태, 패턴 등을 통해 유동적인 형 태로 확장하고 있다”(장동련, 장대련, 권승경, 2013:439) 스낵 퍼포먼스는 스트릿 댄스의 개방적 참여추구성과 적극적인 변화 수용성을 바탕으로 소비에서 구체적 실천으로 변화한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 자체에 대해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 인 미디어로써 서로에 대해 대체, 평가, 재생산의 과정을 통해 완전해진다”(박수연, 2018:9) 스낵 퍼포먼스는 적극적으로 모방하고 타인에게 표현함으로써 다양한 스낵 컬쳐 콘텐츠간의 공존과 융합을 만들어 내고 하나의 방향으로 수렴되는 결과를 통 해 실재적 현실세계를 바꾸게 된다 이때 스낵 퍼포먼스는 미디어의 트랜스적인 속 성과 신체 예술의 특성이 동시에 추구하며 의미를 중첩화 한다 Manovich, L.는 다 양한 조합을 통해 기존의 것과 새로운 것, 그리고 서로 다른 것을 병치하는 욕구는 단순히 뉴 미디어의 현상만이 아닌 현대문화 전반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 러한 현상은 우리에게 지나칠 수 없는 새로움 예술, 이용자 구성, 실천 문화를 추구 하게 된다 스낵 퍼포먼스는 이러한 인간의 행위에 중점을 두고 구체적인 삶과 세계 를 이어주는 가교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인간 군상을 이해할 수 있는 문화 적 시각과 안목을 넓힌다 즉 동시대를 반영하고 문화로 연결되는 퍼포먼스로 우리 에게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고 미학적 태도를 인지시킨다 스트릿 댄스는 음악의 발달과 깊은 상호작용성 속에서 발달 돼 왔으므로 다양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31집 제3호(통권 68호) 139 음악적 구성요소를 온몸과 각 신체를 이용해 특색 있게 표현하는 것을 하나의 기술 이나 댄서의 예술적 감각으로 이해한다 스트릿 댄스는 이질적인 느낌의 개별 요소 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하나의 총체성과 새로운 의미를 구현하고 있다 창 조자, 제작자의 형태대로 움직임을 구조화되는 스트릿 댄스의 특성은 무엇보다도 강렬한 에너지를 뿜어내는 움직임과 그에 따른 창조적인 연출을 중요시 한다 스낵 퍼포먼스로서의 스트릿 댄스는 문화로 연결되는 개인 차원에서 공동체 차원으로의 공존에 대한 예술적 방식들을 사유한다 스트릿 댄스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개인적 선호도와 취향을 넘어 춤이라는 하나의 인류의 본능을 발현시킬 뿐만 아니라 스스로 미디어를 주도하는 주체자로서 역할로 확대되는 것이다 댄스 챌린지dance challenge, 커버 댄스cover dance라 는 이색적인 현상을 나타나게 했으며 이러한 현상은 국경과 인종, 나이와 성별을 넘 어 하나의 문화로까지 발전되었다 현대 대중문화는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고 만족하기 위해 신체 경험을 통 한 적극적인 실천을 추구한다 이러한 스트릿 댄스를 통한 스낵 컬쳐의 실천은 미 디어와 실존 세계의 매개와 재매개를 이루어 새로운 세계를 열고, 문화 다양성과 자기표현에 입각한 입체성을 띄고자 한다 스낵 컬쳐의 입체성은 인간의 본능과 강 렬한 에너지를 미디어 밖 이용자와 이용자에게 충분히 전달되면서 감성적인 경험 을 겪게 한다 정보가 많아질수록 우리는 자신의 요구에 더 알맞은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탐색 하게 한다 주변의 콘텐츠와 경험으로부터 비롯된 욕망 또한 증가되는 것이다 진화 된 미디어일수록 예술 고유의 특성과 본질에 집중하게 되는데 스트릿 댄스는 이러 한 미디어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유의 미디어성을 발현한다 예컨대 스 트릿 댄스는 미세한 음악의 박자와 크기, 세기 등에 대해 신체 모든 부분을 사용하여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으며 움직임의 원리 또한 고정화, 정형화되어있지 않다 즉 창 작자,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움직임을 다양하게 연출함으로 직관적 유희성과 동시 에 개인적 만족도까지 향상된다 스트릿 댄스는 다양한 대중들의 요구로부터 퍼포 먼스를 간결화와 더불어 핵심적인 동작과 속도성의 표현이 가능하다 스낵 퍼포먼스는 미디어를 통한 춤의 확대가 아닌 새로운 정체성에서 비롯된 문 화적 실천으로 바라봐야 한다 스낵 퍼포먼스로서의 스트릿 댄스는 하나의 스타일 혹은 고립된 예술이 아닌, 시대와 함께 유동하고 변화하는 춤으로 폐쇄적인 유형 구 별의 시각 대신 다 문화 수용적인 시각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140 Snack culture에서 street dance의 유동성 Ⅳ 결론 과거 미디어가 개인의 삶을 좀 더 편리하고 풍요롭게 해주는 혁신적 기술 정도 로 인식했다면 이제는 미디어가 세계의 모든 것들을 창조하고 연결하게 하며 융합 시키고 있다 근대 이데올로기적 관념에서 기술과 자본의 기초 원리였던 인간의 노 동력을 초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디어는 이제 국가적 차원에서 개인의 일상적 차원으로까지 세계 모든 것에 관여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는 빠르고 편리함을 추 구하는 인간의 본능을 만족시켜주기 위해 눈부신 성장을 보인다 웹툰, 웹 드라마 등이 대중으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스타그램instagram, 페이스북facebook, 유튜브youtube, 틱톡tiktok 등 미디어 플랫폼들이 형 성되고 이용자들의 요구와 미디어의 특성에 맞춘 문화예술 관련 콘텐츠 등도 새롭 게 생겨나고 있다 스낵컬쳐의 핵심은 아주 빠른 속도로 생산과 소비가 일어나며 그 에 따른 역할에 대한 경계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참여와 공유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에 장소, 시간, 언어에 제한이 없으므로 통신 디바이스를 가 지고 있는 전 세계인들은 수평적 관계에서 스낵 컬쳐를 즐길 수 있으며 이용자의 능 동적 태도에 따라 접속과 아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스트릿 댄스는 자유롭고 개성 있는 움직임을 통해 자신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추구하며 다양한 음악과 리듬을 신체의 각 관절과 근육 등으로 세밀하게 표현 할 수 있다 또한, 거리로부터 발생한 춤 문화이므로 공원, 클럽, 광장, 학교, 강당, 극장 등 언제 어디서나 춤을 보여줄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관람과 참여 역시 누구나 가능하다 불특정 다수의 대중을 대상으로 발전되어온 스트릿 댄스는 장소적, 움직 임의 특성으로 인해 객관적인 평가가 어려웠으며 그에 따른 척도나 기준이 모호했 기 때문에 대중들의 환호와 요구 적극적인 반응을 끌어내고 함께 에너지를 교류하 며 즐기는 것이 가장 중요 하였다 즉 대중들이 얼마나 즐거워하고 환호하며 다양성 을 인정하고 춤을 통해 소통하고 교류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것이 스트릿 댄스의 문 화적 본질이자 스트릿 댄스 공동체의 가치인 것이다 이러한 스트릿 댄스는 뉴 미디 어의 진보로 인한 스낵 컬쳐화 현상에서 중요한 대중문화적 콘텐츠로 자리매김하 고 있다 특히 1억명이 접속하는 틱톡은 대표적인 스낵 컬쳐 비디오 플랫폼으로 kpop 댄스를 비롯하여 스트릿 댄스의 다양한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스트릿 댄스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참여문화로 또 그 가운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31집 제3호(통권 68호) 141 데서도 자유성, 개방성, 창조성을 충분히 발현될 수 있는 예술적 특성이 복합된 춤 예술로 스낵 퍼포먼스화로 발전, 변형을 통해 일상세계 속에서의 행복함과 즐거움 을 느끼는 개인적 고유성을 춤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다 스낵 퍼포먼스로서의 스트릿 댄스는 메시지가 상실된 기술적 기교만을 뽐내거 나 신체의 외적 표현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며 일방행적인 퍼포먼스가 아닌 관계 맺 기와 공유되기를 통해 확장되는 미디어성을 가지는 것이다 새로운 경험을 통해 지 식을 얻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과 결합한 미디어의 욕망은 자칫 감각의 마비를 초 래하고 나아가 자기단절, 자기인식까지 상실해버리고 말기 때문에 인간은 주체적 인 의식을 통제하고 스스로의 감각과 신체를 자각하여 기술의 존재를 인식해야 하 는 것이다 스트릿 댄스와 미디어의 협업적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스낵 퍼포먼스는 기술과 예술이라는 이분법적인 관점을 넘어서 융합적 도모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내고 있 다 또한, 그에 따른 상호보완적 작용은 다양한 문화현상과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고 있으며 대중으로부터 진정성을 통한 의미 있는 삶의 모습을 디자인하고 있다 춤 예술의 역할, 미디어의 역할, 대중들의 역할과 그 성질에 대한 근원적인 인 식의 전환점에 서 있는 스트릿 댄스는 시대와 문화예술의 변화와 별개로 고립적인 문화로 존재하여질 수 없으며 예민한 감수성으로 끊임없는 대중들과의 상호소통을 지향하는 열린 태도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142 Snack culture에서 street dance의 유동성 참고문헌 김현숙, 문재철 “스낵 영상 콘텐츠의 표현 방식”,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 14(3), (2018), 234-249 김현숙(2019), “스낵 영상의 영상 문법”,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김현진(2018),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케이팝(K-Pop)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유튜 브 콘텐츠 SNA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박수연(2018), “뉴미디어 공간에서 재매개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홍 익대학교 신별(2005), “디지털 미디어와 인간신체의 위상변화”, 한국HCI학회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1757-1762 안세화(2016), “스낵컬처 콘텐츠의 만족 및 중독징후에 대한 연구 : 이용양상과 활용능력을 중심 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이혜정(2012),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한 인터넷 광고의 브랜딩 효과 및 사용자 반응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유염(2019), “짧은 동영상 앱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 TIK TOK(DOU YIN)앱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장동련, 장대련, “미디어의 확장과 진화에 따른 트랜스브랜딩(Transbranding)”, 한국디자인학회, 권승경(2013), 디자인학연구 26(1), 435-463 전현주, 백정희 “스낵컬처 시대의 무용콘텐츠 가능성 탐색-문화예술콘텐츠 전문가를 통한 웹 동영 (2016), 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34(3), 127-149 조광제(2003), “몸의 매체성과 매체의 몸성 : 맥루언의 매체론에 대한 존재론적인 고찰”, 한국철 학사상연구회, 시대와 철학 14(1), 353-371 한혜리(2020), “무용의 접근성과 유통 미디어와의 관계”, 한국무용교육학회, 한국무용교육학회 지 31(2), 145-159 Manovich, L (2002), McLuhan, M (1994), The Language of New Media, 서정신(역, 2014), 뉴 미디어의 언어, 커뮤니케 이션북스 Understanding media :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역, 1999), 미디어의 이 해, 커뮤니케이션북스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31집 제3호(통권 68호) 143

Ngày đăng: 19/10/2022, 11:48

TÀI LIỆU CÙNG NGƯỜI DÙNG

TÀI LIỆU LIÊN QUAN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