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of a korean 1 for english

108 186 0
life of a korean 1 for english

Đang tải... (xem toàn văn)

Tài liệu hạn chế xem trước, để xem đầy đủ mời bạn chọn Tải xuống

Thông tin tài liệu

kor ˛(¿ ) 1–˙ ( ”æ-‚æ´ ) 2007.1.13 11:11 AM ˘ `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재외국민용 〔영어판〕 한국인의 생활 Ⅰ 윤리∙민속∙예절편 kor ˛(¿ ) 1–˙ ( ”æ-‚æ´ ) 2007.1.13 11:11 AM ˘ `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차 례 Ⅰ 윤 리 대한 민국 …………………………………………………………………………………… 2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 ⑴ 태 극 기 …………………………… ⑶ 무 궁 화 ……………………………… ⑵ 애 국 가 …………………………… 나는 한국인 ……………………………………………………………………………… 10 ⑴ 한 핏줄 …………………………… 10 ⑵ 우리말, 우리글 …………………… 11 한국의 윤리 사상 ……………………………………………………………………… 14 ⑴ 한국 윤리 사상의 원류 ………… 14 ⑶ 한국 윤리 사상의 특징 ………… 36 ⑵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 19 Ⅱ 가족 제도와 가정 의례 바른 예의 범절 ………………………………………………………………………… 42 가족 제도와 가정 생활의 규범 …………………………………………………… 44 ⑴ 가족의 형태와 가족 구성 ……… 44 ⑵ 가정 생활의 규범 ………………… 48 분가와 재산 상속 ……………………………………………………………………… 52 ⑴ 분 가 …………………………… 52 ⑵ 재산 상속 ………………………… 54 친족 제도 ………………………………………………………………………………… 57 ⑴ 친족의 종류 ……………………… 57 ⑶ 당내와 문중 ……………………… 62 ⑵ 친족의 범위와 계촌법…………… 58 ⑷ 족 보 ……………………………… 65 kor ˛(¿ ) 1–˙ ( ”æ-‚æ´ ) 2007.1.13 11:11 AM ˘ `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일생의 의례 ……………………………………………………………………………… 69 ⑴ 출 생 ……………………………… 69 ⑷ 회갑과 그 밖의 수연 …………… 78 ⑵ 백일과 돌 ………………………… 72 ⑸ 상 례 ……………………………… 80 ⑶ 혼 ⑹ 제 례 ……………………………… 83 례 ……………………………… 74 예절의 기본 태도 ……………………………………………………………………… 91 ⑴ 공 수 ……………………………… 92 ⑶ 절하는 법 ………………………… 93 ⑵ 읍과 의 …………………………… 93 ⑷ 절에 대한 예절 …………………… 97 ⑼ 줄다리기 ………………………… 158 ⑾ 고 싸 움 …………………………… 162 ⑽ 동채싸움 ………………………… 160 ⑿ 윷 놀 이 …………………………… 163 Ⅴ 의식주 생활 의 생 활 ………………………………………………………………………………… 170 ⑴ 남자 한복 ………………………… 170 Ⅲ 신앙과 종교 ⑵ 여자 한복 ………………………… 175 식 생 활 ………………………………………………………………………………… 184 ⑴ 일상 음식 ………………………… 185 ⑶ 별 식 ……………………………… 192 ⑵ 의례 음식 ………………………… 190 고유 신앙 ………………………………………………………………………………… 100 점복과 풍수 …………………………………………………………………………… 106 유∙불∙도 삼교 ………………………………………………………………………… 113 서학과 동학 …………………………………………………………………………… 119 신종교와 종교의 역할 ……………………………………………………………… 123 Ⅳ 세시 풍속과 민속 놀이 세시 풍속 ………………………………………………………………………………… 126 ⑴ 설 ………………………………… 128 ⑶ 단 오 …………………………… 138 ⑵ 한 ⑷ 추 석 …………………………… 139 식 …………………………… 136 민속 놀이 ………………………………………………………………………………… 145 ⑴ 널 뛰 기 ………………………… 146 ⑸ 팽이치기 ………………………… 152 ⑵ 그네뛰기 ………………………… 147 ⑹ 제기차기 ………………………… 153 ⑶ 놋다리밟기 ……………………… 149 ⑺ 연날리기 ………………………… 154 ⑷ 강강술래 ………………………… 150 ⑻ 씨 름 …………………………… 157 주 생 활 ………………………………………………………………………………… 195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Ⅰ 윤 리 대한 민국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나는 한국인 한국의 윤리 사상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후, 근 반만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유구한 역사를 이어 오면서 대한 민국 독특하고 찬란한 문화를 이룩해 왔다 일찍이 상고 시대에는 고 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한반도에서 세력을 다투었으나, 신라 사람은 누구에게나 조국이 있다 나의 조국은 대한 민국 (大韓民 가 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이후 고려, 조선의 왕조를 거쳐 오 國) 이다 대한 민국을 줄여서 한국이라고 하기도 한다 대한 민국 면서 단일 민족 국가로 발전해 왔다 20세기 초에 일본 제국주의 은 아시아 대륙의 동북부에 의 침략을 받아 국권을 강탈당하는 수난을 겪기도 하였으나, 끈 자리잡고 있는 한반도와 그 질긴 독립 투쟁으로 35 년간의 일제 식민지 통치에서 벗어나, 주변 섬들을 영토로 하고 1948년에 독립 국가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있으며, 한반도는 사계절 ‘대한 민국’은 일제의 침략에 반대하여 중국 상하이에 세운 임 이 뚜렷하고 산천이 아름다 시 정부의 국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며,‘ 대한’ 은 우리 나라의 고 워, 예로부터 금수 강산이 유한 이름이고,‘민국’ 은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 민주 공화국이란 라 일컬어져 왔다 뜻이다 우리 민족은 기원전 2333 년에, 시조이신 단군 (檀君) 아시아 대륙 동북아에 위치한 한국 우리는 우리의 조국인 대한 민국을 아끼고 사랑하여,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나라로 가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처음으로 나라를 세우신 Everyone has his own motherland Our motherland is Korea We call it Taehan Minguk, or simply Hanguk(Korea) Situated in the northeast of the Asian continent, Korea consists of a peninsula with surrounding islands The Korean peninsula has from ancient times been referred to as Ku ˘msu Kangsan or “land of embroidered rivers and mountains” for its four distinct seasons and beautiful scenery Tangun, the father of our nation, founded the country in 2333 B C Since then we have made creative and flamboyant culture achievements through nearly five thousand years of history In an ancient era, three kingdoms — Koguryo ˘, Paekche and Shilla — competed to dominate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time Shilla eventually succeeded in unifying the three kingdoms, our people have maintained a homogenous nation through the Koryo ˘ and Choso ˘n Dynasties In the early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we experienced the ordeal of having our sovereignty stolen and being occupied by Japan But in 1948, after 35 years of persistent struggle for independence from Japanese rule, we were reborn as a sovereign nation “Taehan Minguk(Republic of Korea)” was the new name of our country, inherited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which had opposed the Japanese occupation “Taehan” is a historical name for our country, while “Minguk” means a republic in which sovereignty resides with the people With love and sincerity, we strive to make our motherland one of the greatest countries in the world — 2— — 3— THE REPUBLIC OF KOREA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1) 태 극 기 대한 민국의 국기는 태극기이다 태극기는 흰 바탕 한가운데에 붉은색과 푸른색의 태극 (太極) 이 있고, 네 귀퉁 이에는 검은색 줄무늬의 괘 (卦) 가 대각선으로 마 주 보게 그려진, 아름다 국기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제 경기에서 한 운 모양을 하고 있으며, 국 선수들은 태극기를 앞세우고 나가 힘껏 싸우며, 응원하는 동 평화와 광명, 창조와 무 포들도 태극기를 흔들며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함성을 지른다 궁을 염원하는 우리 겨 레의 마음이 담겨 있다 태 극 기 태극기를 앞세우고 경기장에 입장하는 선수단 태극기가 우리의 국기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00여 년 전 조선 말부터이며, 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겼을 때에는 독립 운동의 상징 ˘KKI, NATIONAL ANTHEM, TAEGU THE ROSE OF SHARON (1 ) Taegu ˘kki The national flag of Korea is called the Taegu ˘k flag The Taegu ˘k flag has a white background, with two comma-shaped figures colored red and blue in the central area In the four corners, four black symmetrical lines are drawn The Taegu ˘k flag represents the mind of our people, symbolizing peace, light creativity and eternity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our athletes follow the flag and strive with all their ability, while our compatriots wave the flag and cheer out in united support The Taegu ˘k flag has been used as a national flag for over one hundred years since the end of the Choso ˘n Dynasty Serving as a symbol to our people’s independence — 4— — 5—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 되기도 하면서, 그 동안 겨레와 더불 어 기쁨과 슬픔을 함 께 해 왔다 ‘국기에 대한 맹세’를 낭송하는 모습 (2) 애 국 가 애국가는 대한 민국의 국 대 국경일인 삼 전을 기원하는 국민들의 뜻 일절, 제헌절, 광복 이 담겨 있기 때문에, 우리 절, 개천절에는 집 는 의식을 행할 때마다 애 집마다 대문에 태극 국가를 부르며 나라 사랑하 기를 달고 경축하 는 마음을 되새긴다 며, 이 밖에 설날, 한글날, 국군의 날에도 국기를 게양하고, 현충 애 국 가 가이다 나라의 무궁한 발 동 남 가 이 애국가도 태극기와 마찬 해 산 을 기 물과 위에 하늘 상과 백 저 공 이 두 소 활 맘 산이 나무 한데 으로 하 바 밝 괴 느님 이 람서 리 은달 은 로우 나 보 우-하 불 변-함 우 리-가 즐 거-우 무 -궁 화 삼 사 은 슴 나 마 르고닳 철 갑을두 높 고구름 충 성을다 우 우 일 나 도 른 없 하 리나라만 리기상일 편단심일 라사랑하 록, 듯, 이, 여, 세 세 세 세 가지로, 지금으로부터 100 일에는 조기를 단다 또, 어떤 모임에서나 의식을 행할 때에는 국기에 대한 경례로 여 년 전에 만들어져 불리 부터 시작한다 이 때, 참가자들은 오른손을 왼쪽 가슴 위에 얹 기 시작하였다 지금의 곡 고, 사회자는‘국기에 대한 맹세’를 낭송한다 은 안익태 선생이 작곡한 후 렴 대 한사 람 -천 리 대 한-으 로 화려강 - 산, 길 이보전하 세 곡으로, 간결하면서도 장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aegu ˘k flag together with our race has shared great joy and sorrow During our four main festivals — March First Holiday, Chehonjo ˘l(constitution day), Kwangbokcho ˘l(liberation day), Kaech’o ˘njo ˘l(national founding day) — we celebrate by hoisting the Taegu ˘k flag onto the gate of each house In addition, the flag is hoisted on So ˘llal(New Year’s day), Hangu ˘llal (the Korean alphabet day) and Armed Forces Day On memorial Day(Hyo ˘nch’ungil), we hoist a mourning flag to give homage to the deceased Certain events and rituals also are begun with the hoisting of the flag In these cases, participants place their right hands over their heart as the presider reads “a pledge to the national flag.” Aegukka, literally meaning the song of patriotism, is the national anthem of Korea It is sung with spirit and blesses the nation’s everlasting glory Whenever we perform ceremonies, we pledge our love to the country The Aegukka as well as the Taegu ˘k flag were created about one century ago Composed by An Ik-t’ae, its melody is simple and grandiose — 6— — 7— (2) National Anthem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중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나 보랏빛, 흰색으로 피어나는 아름다운 꽃이기 때문에, 수많은 올림픽 경기에서 한국 선수가 금메달을 땄을 때, 태극기가 올 라가면서 울려 퍼지는 애국가의 장엄한 곡조는 우리에게 가슴 벅 찬 감동과 함께,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절로 우러나게 한다 시련을 겪으면서도 꿋꿋하게 살아 온 우리 민족의 정기를 나타낸 다고 생각되어, 우리 겨레의 오랜 사랑을 받아 왔다 태극기를 다는 깃대의 깃봉도 무궁화 꽃봉오리 모양으로 되어 있고, 정부와 국회, 법원의 표장도 무궁화 모양으로 되어 있다 (3) 무 궁 화 그리고 한국의 최고 훈장도 무궁화라는 이름이 붙은 무궁화 대훈 무궁화는 대한 민국의 나라꽃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연분홍이 무 궁 화 장이다 국회 표장 When our athletes won gold medals at the Olympics, it was truly a moving experience to see our national flag hoisted and to hear the grandiose melody of the national anthem (3) The Rose of Sharon The Rose of Sharon is the national flower It can be found in colors of pink, violet — 8— and white and blooms from spring until autumn Because it represents the righteousness of our people who have overcome repeated difficulties and hardships, we loved the Rose of Sharon from days of old The top of the flag pole bearing the Taegu ˘k flag is in the shape of the Rose of Sharon, and the emblems of the Government, National Assembly, and the courts of law are all modelled on the Rose of Sharon — 9—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것을 보면 수치심으로 얼굴이 화끈해진다 왜 그럴까? 그것은 우 나는 한국인 리가 모두 한 핏줄을 이어받은 한 겨레이기 때문이다 (2) 우리말, 우리글 (1) 한 핏줄 세계에는 자기 나라 말과 글을 가지고 있지 못한 나라도 많지 나는 한국인의 핏줄을 이어받아 이 세상에 태어났다 같은 핏 줄을 이어받았으면 사는 곳이 어디이든 한 동포요 한 겨레이다 한반도에는 우리 동포가 6000만이나 살고 있고, 세계 여러 나라 에 흩어져 살고 있는 동포도 500만이나 된다 만, 우리는 자랑스럽게도 말하기 쉽고 쓰기 쉬운 우리말, 우리글 을 가지고 있다 우리말은 몽골 어, 터키 어 와 함께 알타이 어계에 속하 우리는 어느 나라에서 살든지 간에 우리 동포를 만나면 그렇게 며, 말하는 상대에 따라 높임 반가울 수가 없다 서로 인사를 나누며 고향을 묻다가 보면 한 말, 예사말, 낮춤말이 있고, 형제 같은 따뜻한 정이 오가고,“피는 물보다 진하다.”라는 말을 사람의 감정이나 느낌을 나타 실감하게 된다 내는 말이 다양하고 풍부하 국제 경기에서 한국 선수가 이기면 솟구쳐 오르는 쾌감과 흥분 여, 다른 나라 말로는 표현하 을 억누를 수 없고, 한국 사람이 외국인 앞에서 잘못을 저지르는 기 힘든 것도 잘 나타낼 수 I AM A KOREAN (1 ) Consanguinity 즐거운 대화 press our excitement and joy But, in the cases when we see Koreans make mistakes in front of foreigners, we become red faced in disgrace Why is this so? Because we are an ethn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nation (2) Korean Language and Alphabet Koreans are ethn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The number of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number nearly 60 million and Koreans living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mount to another five million When we Koreans meet other Koreans in foreign countries, we become most excited After greeting one another and asking about each other’ s hometowns, we feel close to one another, truly experiencing the meaning of the idiom, “blood is thicker than water.” When Koreans emerge victorious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we cannot sup- All over the world there are countries which not have their own language or alphabet We take pride in our easily spoken and conveniently written alphabet Our language, along with Mongolian and Turkish, belongs to the Altaic language group It has honorific forms, usual expressions, and humbel expressions which vary according to the speaker’s relationship with the addressee The Korean language contains a wide variety of expressions which represent the emotions and feelings of people, and can express that which may be difficult to indicate in other languages — 10— — 11— kor ˛(¿ ) 1–˙1(001-040) 2007.1.13 11:12 AM ˘ ` 1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고, 쓰기에 편할뿐더러 모양이 아름답다 말과 글에는 그 민족의 혼이 깃들여 있다고 한다 우리는 어디 에서 살든지 우리말, 우리글을 잊지 않도록 노력하여, 우리 민족 의 혼을 잘 간직해야 할 것이다 훈민정음의 자모와 동국정운 있다 우리는 고유한 말을 가지고 있는 것을 자랑으로 여기지만, 이 것을 적을 수 있는 고유한 글을 가지고 있는 것을 더욱 자랑스럽 게 생각한다 우리글은 한글이라고 부르며, 지금부터 약 550 년 전 세종 대왕 께서 만드신 소리 글자로서, 펴낼 당시는 자모가 28 자였으나, 지 금은 24자로 되어 있다 한글은 짜임이 과학적이어서 배우기 쉽 불굴의 한국인상 While taking pride in our language, we are even more proud of our own alphabet We call our characters “Hangu ˘l” — an alphabet invented by the great King Sejong The 28 vowels and consonants which were first promulgated 550 years ago have now been reduced to 24 Due to the scientific structure of Hangu ˘l they are easy to learn and write and, moreover, they are aesthetically pleasing It is often said that the spirit of a nation can be found in its language and alphabet Thus, wherever we live, we should cherish the spirit of the nation by endeavouring not to forget either our language or our alphabet — 12— — 13—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예 복 ˘ ` 17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우예를 갖추어야 할 때에 입는 예복에는 평례복과 대례복이 있고, 상례 때에 입는 옷에는 상복이 있 다 평례복은 평상복에 두루마기를 갖추어 입고, 머리에는 갓을 썼으나, 근래에는 갓은 쓰지 않게 되었다 대례복은 전통적인 혼례를 올릴 때에 입는 옷으로, 단령을 입 고 관대를 두르며, 사모를 쓰고 목화를 신는다 상례 때에는, 상주는 바지저고리에 중단과 제복을 입고, 머리 에는 굴건을 썼다 이것을 굴건 제복이라고도 한다 속 옷 부 속 품 우속저고리, 속적삼, 속바지, 속고의 등이 있었으 나, 근래에는 메리야스 내의를 입는다 우버선, 대님, 허리띠, 사모와 목이 올라온 신 등의 부속품을 사용하였다 근래에는 모두 양말을 신고 대님을 매며, 허리에는 허리띠 또는 혁대를 매고 구두를 목 화 사 모 신는다 남자의 한복 입는 순서 는 다음과 같다 ① 속옷을 입는다 남자의 대례복(관복) 굴건 제복 ② 바지를 입고 허리의 허 리 띠 Koreans were required to wear special clothes on such occasions as banqute, festive days and funerals Ceremonial dresses were divided into ordinar y and grand ritual outfits When it came to going out, they wore “Turumagi(overcoat)”and“Kat (a horse-hair hat).”These were ordinary outfits in the past but today none of Korean youngsters wears the Kat The grand ceremonial dresses were intended for traditional wedding ceremonies They consisted of a set of formal dresses for a civil official, a hat, belt and a pair of deer-skin boots At the funeral ritual, the eldest son of he bereaved family wore a funeral robe and a mourning hat made of hemp cloth, together called“Kulgo ˘njebok.” Undergarments Each outfit entails its respective underwear, including undershirt, under-trouser and so forth It was indeed redundant to wear the prescribed outfits and their under-garments in old days As time passed, the redundant wears have fallen out of use Wears have been simplified into a common style and today cotton-made wears are used widely Accessories The accessories for the traditional costume included“Po ˘so ˘n (traditional Korean socks).” “Taenim(ankle bands),”a belt, a horse-hair hat and high-neck shoes It was only in recent years that Koreans began to wear regular socks, leather belts and leather shoes It was not only that Koreans were fastidious about the kinds of wears and accessories to be used on ceremonial occasions ; they paid as much attention to the way they were worn — 172— — 173— Ceremonial Costumes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7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앞 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 둘레를 조절 (2) 여자 한복 하고 허리띠를 맨다 ③ 저고리를 입고, 동정니가 잘 맞게 여며 고름을 맨다 ④ 버선이나 양말을 신고 대님을 친다 대님을 칠 때에는, 먼 평 상 복 우여자의 한복은 옷맵시가 풍성 하면서도 선이 곱고 침착하여 저 마루폭의 솔기를 발목 안쪽 복사뼈에 댄 다음, 발목을 싼 정적인 아름다움을 잘 나타내 준다 한복을 끝이 복사뼈에 닿도록 해서 대님을 발목에 대고 두 번 돌린 입으면 저절로 몸짓이 다소곳해지고 조용해 후, 안쪽 복사뼈에서 한 번 묶고, 나머지로 고를 만들어 맨 지며, 걸음걸이 또한 천천히, 조용하게 걷게 뒤에 바지 끝을 내려 마무리한다 되어, 우아한 품위를 드러내게 된다 ⑤ 조끼를 입는다 이 때,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 평상복으로는 치마저고리가 기본이 되는 데, 나이가 어렸을 때에는 다홍 치마에 회장 록 한다 ⑥ 마고자를 입는다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 을 단 노랑 또는 연두색 저고리를 입는다 중년이 되면 남치마에 노랑 또는 연두색 저 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고리에 회장을 달아 입고, 노년으로 접어들 ⑦ 두루마기를 입는다 남자의 두루마기는 의례적인 옷이므로, 외출을 하거나 예 를 갖추어야 할 때에는 반드시 입어야 한다 In general, Hanbok is put on in the following sequence ; ① Wear underwear ② Wear a trouser, tighten the baggy trousers by folding at a point giving a slight grip around the waist and fasten a belt ③ Wear an inner jacket and tie coat strings at the point giving a line-up of two collars around the neck ④ Wear Po ˘so ˘n or socks and tie ankle bands ⑤ Wear a vest At this time, be careful not to let the jaket slip out of the vest ⑥ Wear a“Magoja.”Make sure that the jacket’ s sleeves not slip out of the Magoja ⑦ Wear“Turumagi”when attending ritual or ceremony — 174— 면 옥색이나 연회색 치마에 옥색 저고리, 또 는 옥색 저고리에 회장을 달아 입는다 젊은 여자의 평상복 차림 (2) Women’s Hanbok Women’s Hanbok was made to cover as much of the woman’s body as possible The dexterously curving line along the sleeve gave a touch of elegance and serenity The baggy skirt, which extended down to the floor led its wearer to take careful steps, producing a dignified look The women’s basic clothes consiste of a“Ch’ima(high crimson skirt)”and “Cho ˘gori(a yellow or light soft green jacket with colorful strings).” The middle-aged women often wore a blue skirt and a yellow or light green jacket with colorful strings The elderly women wore a light bule or a light grey skirt and jade green jacket, with colorful strings Ordinar y Clothes — 175—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7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 넓게 퍼지게 만들어 진 긴 치마를 입는다 예 복 우우리 나 라 여자의 예복으로는 적의, 원삼, 활옷, 당의가 있다 혼례 때 신부는 노랑 삼회장 저고리에 다홍 치 마, 초록 당의를 입고, 중년 여자의 평상복 차림 노년 여자의 평상복 차림 현대적 감각의 한복 그 위에 원삼이나 활옷을 겨울에는 솜저고리, 누비저고리를 입고, 봄, 가을에는 겹저고 입으며, 화관이나 족두 리, 박이저고리를 입으며, 여름에는 깨끼저고리나 적삼을 입는 리를 쓰고, 노리개로 장 다 현재에는 겨울에도 솜옷을 거의 입지 않고 겹옷이나 깨끼옷 식한다 적의는 왕비의 대례복이다 적 의 활 옷(혼례복) 그러나 편한 서양 의복을 입고 사는 요즈음에는 한복 그 자체 을 입는다 또, 활동복으로 짧은 통치마가 있고, 행사 때나 파티에서는 폭 가 예복화되어 가고 있으며, 한복도 새로운 디자인이 많이 개발, Women’s wears showed seasonal changes ; cotton“Cho˘ gori”and quilted “Cho ˘gori”in winter ; a double-layered“Cho ˘gori”in spring and autumn ; and a silk“Cho ˘gori”or an inner vest-typed skirt in summer Nowadays, women hardly wear quilted clothes Double-layered or silk clothes are favored over traditional types A short-seamless skirt is quite popular, for it is designed to give free action and mobility Long skirts are used for ceremonial and festive purposes The ceremonial clothes for Korean women break down into various kinds, depending on the purposes for which they are intended, To name a few ;“Cho ˘gui(queen’ s grand ceremonial outfit),” “Wonsam(a ceremonial costume with red stripes on the sleeves on a background of light green),” “Hwarot(a grand ceremonial costume for princesses),”Tangu ˘i(a full dress with soft green on the outside and pink on the inside),” etc For wedding ceremonies, the bride wore these ceremonial clothes including a yellow“Cho ˘gori,”a red“Ch’ ima,”and“Chokturi(a black crown).” — 176— — 177— Ceremonial Clothes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7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었다 대슘속치마와 무지기는 예복용 속옷이다 요즈음에는 한복용 속바지를 입고 그 위에 속치마를 입는다 속치마는 겉치마보다 약간 짧게 입으며, 파티용 폭넓은 치마에는 페티코트를 입어 실루엣을 살린다 속적삼이나 속저고리는 연한 색의 얇은 옷감으로, 겉저고리보 여러 가지 혜 나 막 신 유행되고 있어, 옷의 형태나 색채, 무늬, 옷감의 재질도 차츰 현 다는 전체적으로 조금 짧게 하여 여름에도 입는다 장 신 구 대적 감각이 가미되어 변하고 있다 상복이나 문상복으로는 흰 옷이나 검은 옷을 입는다 여자가 사용한 장 신발에는 비단에 꽃 무늬를 수놓아 만든 당혜, 가죽으로 만든 신구로는, 옷고름에 가죽신, 비 올 때에 신는 나막신, 짚으로 만든 짚신이 있었다 지 다는 노리개가 있고, 금은 대부분 고무신을 신으며, 구두를 신기도 한다 쪽진 머리에 꽂는 여 우겉옷은 속옷을 제대로 입어야 맵시가 난다 전통 러 가지의 뒤꽂이가 적인 옷차림에서, 여자 속옷으로는 다리속곳, 속속 있다 비녀도 일종의 곳, 단속곳을 입고, 외출할 때에는 단속곳 위에 너른 바지를 입 장신구로 여겨져, 값 속 옷 여러 가지 장신구 As Koreans have begun to favor Western style clothes, the use of Hanbok has been reduced to ceremonial occasions The color and style of Hanbok have also begun to mix with modern fashions On the occasion of mourning and offering condelence, Koreans wear white or black dresses and robes The traditional shoes divide up into“Tanghye(emberoided flowers on silk),” “Chipshin(shoes woven with straws),”leather shoes and“Namakshin(clogs for rainy weather).”Today Koreans wear rubber and leather shoes Undergarments The elegance of traditional outfits is displayed when they are put over proper undergarments Korean women wore lingerie, a slip and underpants in the traditional attire When they went out, they wore a panty bloomer over these underwears The inner skirt and inner bloomer were the underwear put on for ceremonies Nowadays, men wear inner pants for the Hanbok, and women inner skirts The women’s inner skirt is a little shorter than the outer skirt At banquets, the broad skirt is covered by a petti-coat An undershirt and inner jacket are made of thin cloth with light colors and, by and large, they are shorter than jackets and are worn even in the summer Ornaments and Accessories Women were fond of“Norigae(trinkets)”which were fastened on the strings of coats and various hair pins which were inserted in their plaited hair They also regarded“Pinyo˘ (an ornamental hairpin)”as a precious asset indicative of one’s social standing Today Korean women no longer wear Pinyo ˘ Therefore, Pinyo ˘ and other ornaments which were used in combination with Pinyo ˘ have disappeared except for a — 178— — 179—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8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지고 좋은 비녀를 갖기를 소망했다 현재는 쪽진 머리를 거의 하지 않아 비녀와 뒤꽂이는 차츰 사 라져 가고 있으나, 노리개는 많이 착용하기도 한다 시 있고 품위 있게 보인다 ⑦ 진동선의 구김을 정리하고, 깃고대와 어깨 솔기가 뒤로 넘 어가지 않게 약간 앞으로 숙여 입는다 치마허리가 저고리 여자의 한복 입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하고, 치마 끝으로 버선이 보이지 ① 기본 속옷을 입고 속바지를 입는다 않도록 정리한다 ② 속치마를 입는다 폭넓은 치마일 경우, 페티코트를 입는다 ③ 치마를 입는다 뒤가 트이는 풀치마일 경우에는 뒷중심에서 양쪽으로 7cm쯤 겹쳐지게 입는다 치맛자락을 여미는 방법 은 일반적으로 겉자락인 오른쪽 자락이 위가 되도록 여며서 왼쪽이 트이게 입는다 ⑧ 노리개를 달 때에는 저고리의 긴 고름에 노리개의 고리를 끼 워 놓고 고름을 맨다 또는, 치마허리 끈에 끼워 달기도 한 다 ⑨ 두루마기를 입는다 외출할 때에는 두루마기 위에 목도리를 단정하게 맨다 ④ 속적삼을 입는다 한복의 미는 저고리의 깃이 구부러지는 곡선과 버선코를 세우 ⑤ 버선을 신는다 버선 솔기가 중앙을 마주 보도록 기울어지 게 신는다 는 수눅선에 있다 한복의 이러한 곡선미를 건축과 대비하여, 저고리의 깃과 버선 ⑥ 저고리를 입는다 먼저 동정니를 맞추어 안고름을 매고, 다 의 선은 기와집 추녀 끝이 위로 솟아오른 모습이고, 치마의 주름 음에 겉고름을 맨다 고름을 바르게 매야 고름 맨 모습이 맵 은 기왓골을 반영한 것이라고 한다 말하자면, 한국인이 지닌 심 few trinkets Women wear Hanbok in the following order ; ① Wear inner underwears and an inner bloomer ② Wear an inner skirt In the case of a baggy skirt, wear a pettycoat ③ Wear a skirt In the case of a long skirt which is split in the back, tighten the skirt by having the right hem over the left one It is proper to have the right hem overlap the left one ④ Wear an inner lingerie ⑤ Wear“Po ˘so ˘n(the socks),”with its curving nose pointed upward ⑥ Wear“Cho ˘gori (a jacket)”and make sure that one collar lines up with the other before fastening the strings The way of fastening strings adds elegance and a dignity to the look of the Hanbok ⑦ Ensure a proper setting of Chogori so that it covers the white (upper) seam of a skirt The long skirt should be allowed to go down its full length to cover Po ˘so ˘n, since Po ˘so ˘ns are not supposed to be visible ⑧ When it comes to wearing trinkets, fasten a loop of trinkets on a coat string before fastening it with another string It is also proper to fix trinkets to a waist string of the skirt ⑨ Wear“Turumagi(overcoat)” When it comes to going out, it is proper to wear a muffler neatly around the neck The beauty of the Hanbok consists in the cur ving lines of the collars on the jacket and the pointed nose of Po ˘so ˘n The Hanbok is comparable to a traditinal tile house — 180— — 181—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8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미감이 옷으로 표현된 것이 한복이 뿐만 아니라, 키가 크고 작음도 주름의 좁고 넓음으로 잘 조절하 고, 가옥으로 표현된 것이 기와집이 게 된다 라는 것이다 곱게 빗어 쪽진 머리에 옥비녀를 꽂고, 하얀 모시 치마저고리 한복 저고리의 동정은 옷 전체의 를 입은 젊은 여인의 모습은 백의 민족인 한국 여인의 고전미의 균형을 바르게 잡아 주면서, 옷이 전형이다 여기에 태극선 부채라도 살짝 곁들여 들면, 시원한 한 비로소 옷답게 눈부신 아름다움을 폭의 미인도 (美人圖) 가 된다 발휘하게 만드는 부분이다 만약, 한복 저고리에서 이 동정이 없다면, 그야말로 굴레 벗은 말의 꼴이 되고 말 것이다 특히, 여자의 한복은 유려한 곡선 미의 극치라 할 만한 것이다 날렵 한 저고리의 도련선 아래로 풍신한 주름이 잡힌 긴 치마는, 뚱뚱하거나 미 인 도 여윈 몸집의 흠을 모두 잘 가려 줄 The collar of“Chogori”and the pointed nose of poson resembles the upwardly curving eaves of a tile-roofed house, and the pressed lines of chima corresponds to the concave lines of the tile roof In this sense, one can say that the Hanbok and the tile-roofed house are a subject for aesthetic appreciation in Korean culture By the way in which the two white collars on the jacket dovetai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jacket is put on with balance Apart from its usefulness in determining proper wearing of attire, the white collar illustrates the beauty of the curving line in the Hanbok Ch’ ima with its pressed lines is designed to fit the fat and the slim by allowing itself to expand or shrink to cover the body, defying physical differences A young woman dressed in Hanbok made of white ramie, with a jade hairpin locking the hair knot in the back, is an ideal profile of a Korean woman Holding a fan in her hands, she might have become an object for oriental painting — 182— — 183—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8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고 말할 수 있다 식 생 활 한국은 삼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음식에 사용되는 재료로 어패 류, 해조류 등 해산물이 많으며, 산이 많아 산채류도 많다 우리의 식생활은 쌀을 주식으로 하면서도 계절, 지역에 따라 재료가 다양한 것 못지않게 조리법 또한 우리 겨레 특유의 것 많은 종류의 음식이 발달하였다 상차림과 취사에 쓰이는 기구는 을 많이 발전시켰다 발효법을 창안하여 간장과 된장을 만들고, 그 종류가 많아, 가내 도구의 대부분이 식생활과 관계되어 있다 이어 식품을 저장하는 방법으로 포와 젓갈을 만들게 되었다 또, 채소를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키는 김치법을 창안하였는데, 김치 는 우리 겨레 특유의 갖가지 양념을 넣고 담근, 독특한 맛과 색 조미를 가진 한국의 고유 음식으로, 지금은 외국인들까지도 즐겨 먹는 음식이 되고 있다 (1) 일상 음식 우리 나라는 쌀로 밥을 지어 주식으로 하고, 여러 가지 식품을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하여 반찬으로 만들어 먹는다 밥은 쌀을 여러 가지 김치 김치광(오가리) FOOD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알맞게 물을 붓고 가열하여 짓는다 밥 Due to the presence of many unique ingredients for food, Korea has developed its own way of cooking distinct from those of its neighbor countries Most of Korean dishes are fermented Soy bean sauce, bean paste and Kimch’i are the products of having explored ways to keep foods fresh Dried and salted fish illustrate another way to preserve foods Kimch’i pickled with salt, red pepper, garlic, spring onion and condiments is the most common food in Korea and is gaining popularity in other countries (1 ) Diet Rice is the staple grain and there are many varieties of subsidiary dishes, which change with season and locality There are so many kitchen utensils that they constitute a large part of a household’ s belongings Since Korea is a peninsula, it has an abundance of seafoods such as fish, clam and seaweeds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side dishes made of herbs Steamed rice is served with various siede dishes altogether on one table Having been washed in water two or three times, the rice is put into a water-filled pot and heated To make a tasty“Pap.”it requires a specific skill of adjusting a fire torch and the time heating — 184— — 185—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8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 제맛을 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뜸을 잘 들여야 하며, 따라서 에 담는다 더운 음식으로, 밥을 잘 짓는 데는 기술이 필요하다 찜은 합에 담고, 국수는 반병 반찬은 산채, 야채, 민물고기, 꿩, 닭, 돼지, 쇠고기, 달걀 등 두리, 김치는 보시기에 담으 의 식품으로 만든다 반찬의 맛을 며, 찌개는 조치보, 장류는 내는 데는 소금, 간장, 된장, 고 종지에 담는다 추장, 젓국 등이 쓰이며, 깨소금, 음식을 그릇에 담고, 그 위 참기름, 들기름, 꿀, 식초, 후추, 에 시각적으로 식욕을 돋굴 파, 마늘, 생강, 계피, 겨자 등 수 있게 장식을 하는데, 이를 향신료를 양념으로 첨가하여 갖가 지 특이한 맛을 내게 된다 또, 음식을 담는 그릇은 그 모 여러 가지 모양의 주발과 대접 고명 얹은 음식(대합 구이) ‘웃기’또는‘고명’ 이라 한다 이 장식은 음양 오행설(陰陽五行說) 에 따라 백(白), 황(黃), 홍(紅), 흑(黑), 청(靑∙�)의 다섯 가지 색깔로 장식한다 양과 크기에 따라 알맞은 음식을 또, 날로 먹는 생식(生食)과 익혀 먹는 숙식(熟食)이 있는데, 담게 된다 밥은 바리, 주발에, 예를 들면 생채(生菜)와 숙채(熟菜), 육회(肉膾)와 수육(수육∙편 국은 갱기, 탕기에, 숭늉은 대접 육) 등이다 조리하는 방법에 따라 국(탕), 찌개, 찜, 선, 조림, 에, 반찬은 쟁첩이나 또는 평접시 볶음, 구이, 저냐, 나물, 생채, 쌈, 생회, 수육, 김치, 장아찌, The side dishes are made of vegetables, fresh-water fish, pheasants, chicken, pork, beef, eggs, and almost anything edible To make the side dishes more tasty, Koreans use such seasonings as salt, soy sauce, 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pickled fish Condiments are prepared with a varying assortment of spices, sesame, sesame oil, perilla oil, honey, vinegar, pepper, scallion, garlic, ginger, cinnamon, mustard, etc Containers of foods vary depending on the kinds of dishes as follows : Rice : a brass rice bowl Soup : a flat bottomed brass soup bowl Water : a large bowl Steamed food : a brass bowl with a lid Side dishes : small flat plates Kimch’i : a small brass or porcelain bowl Noodle : a flat bottomedlarge platter Stew : a small low brass bowl Red pepper paste : a small brass bowl To raise the visual effect of foods, Koreans put a decoration on the top of dish, the so-called“Ukki or Komyo ˘ng.”This decoration has five colors, viz., white, yellow, red, black and blue, in accordance with the five forces of the cosmic matrix Koreans usually eat vegetables raw, though there are special vegetables which need to be cooked Most foods other than vegetables are cooked The regular diet of Koreans consists of“Pap,” “Kuk(soup)”and a varying assortment of pot stews called“Tchige,” “Tchim(boiled food),” “Chorim(hard‐boiled food),” “Pokku ˘m (parched food),” “Kui(broiled meat),” “Cho ˘nya(fried food),” “Namul(herbs),” “Suyuk(boiled meat),” “Saengch’ ae(raw vegetables),” “Ssam(lettuce),” “Saenghoe(sliced raw fish),” “Kimch’ i(pickled vegetables),” “Changatchi(slices of radish dried and seasoned with soy sauce),” “Cho ˘kkal(pickled fish),” “P’o(slice of dried — 186— — 187—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8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젓갈, 포, 자반, 족편, 묵 등 여러 가지 음식이 있다 첩으로 차렸다 한국 음식에는 김치류, 장류, 젓갈류 등 발효 식품이 발달되었 현재는 식생활 개 으며, 그 밖에 술담그기도 일찍부터 개발되어 양조법이 발달하였 선 등 생활 양식의 다 술 담그는 재료는 오곡이 다 사용되고, 계절에 따라 나는 꽃 변화로 그런 격식이 잎이나 열매, 과일, 뿌리 등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봄에 진 많이 간소화되어 가 달래 꽃잎으로 담그는 진달래술(두견주), 가을에 국화 꽃잎으로 고 있다 담그는 국화주도 유명하거니와 앵두술, 딸기술, 매실주, 솔잎으 밥상에는 오른쪽 로 담근 송엽주, 인삼주, 더 에 수저를 놓고, 앞 덕주 등 풍류면에서도 매우 면 왼쪽에 밥그릇, 오른쪽에 국그릇을 놓는다 구이나 조림, 나 낭만적이었다 물 등 기타의 반찬은 제2열에 놓는다 그리고 간장 종지는 밥상 한국의 밥상 차림에는 밥, 첩 반상 수 라 상 가운데에 놓는다 국, 김치, 간장을 꼭 놓는다 하루 세 끼 식사를 하되, 점심은 간단히 먹고, 아침과 저녁은 그 밖에 반찬의 종류에 따라 제대로 갖추어 차려 먹는다 식사를 할 때에는 집안의 제일 웃어 첩 반상, 첩 반상 등이 있 른이 밥상을 받고 앉아 먼저 수저를 들어 식사를 시작하면, 어 는데, 임금님의 수라상은 12 른, 아이의 순서로 수저를 들게 된다 fish),” “Chaban(salted fish),” “Chokp’yo ˘n(squeezed pork),” “Muk(jelly of acorn or buckwheet),”etc Koreans have also developed ways of brewing grains to make wine Popular materials for brewing are the five grains (rice, barley, wheat, millet and bean), flower petals, fruits and roots, etc Each season different varieties are produced from materials then available Koreans prefer wines which reflect seasonal change, like wine made from azalea’s petals in spring and chrysanthemun wine in autumn There are cherr y wines, strawberr y wines, apricot brandies, pine tree wines, jinseng wines and so forth On the dinner table, Pab(boiled rice) and Kuk(soup), Kimch’i and Kanjang(soy sauce) are essential ingredients The status of the dinner table is identified by the number of side dishes; the dinner table for commoners consists of three or five side dishes while the king’s dinner table included 12 side dishes The stipulated fromalities relating to diet and table decorum have been simplified due to changes in life style and the improvement of dieting patterns Koreans regularly set the dinner table by placing dishes from left to right in the front row in the order of rice, soup and spoon The broiled meat, hard-boiled food and various herbs are placed in the second row and the small bowls of soy sauce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table The breakfast and dinner tables are heavy with many side dishes Lunch is light In the presence of senior members of th family, juniors are reserved about beginning the meal It is normal for them to wait until the senior takes a spoon It is important to observe table manners — 188— — 189—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9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밥을 먹을 때에는 필요 없는 말을 삼가며, 젓가락으로 반찬을 뒤적거리거나 맛있는 반찬만 고르지 말고, 입 안의 음식이 보이 지 않게 천천히 잘 씹어 먹는다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잡아 서는 안 되며, 식사 후 숭늉을 마실 때 이외에는 그릇을 상에서 들어올려서는 안 되는 것이 식사하는 예절이다 반찬을 잘 장만하여 차려 드린다 혼례를 마치고 신부가 처음으로 시댁 식구에게 인사를 올리는 폐백상에는 편포 또는 육포와 대추를 차린다 회갑 때에는, 큰상에 음식을 높게 괴어 쌓아 담는 고배상을 차 린다 제사상 차림은 집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밤, 대추, 곶 (2) 의례 음식 아기의 백일, 돌, 어른의 생신, 결혼, 회갑, 제사 등 가정의 의 례 때에는 의례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음식을 차린다 백일 때에는, 무병 장수를 빌고 잡귀를 막는 뜻에서 백설기와 수수 경단을 만들어 이웃과 나누어 먹는다 돌 때에는, 무병 장수와 부귀, 다복을 비는 뜻에서 돌상을 차 린다 돌상에는 백설기, 송편, 수수 경단, 찹쌀 경단 등의 떡과 쌀, 국수, 돈, 대추, 실, 붓, 책, 무명, 활 등을 올려놓는다 어른의 생신 때에는, 어른을 봉양하는 뜻에서 전래의 격식대로 While dining specially in the presence of a senior, one is not supposed to talk a lot Absence of conversation is considered an appropriate attitude Neither is one supposed to stir the neatly arranged foods with chopsticks While taking a meal, attention should be taken lest foods within the mouth are visible Koreans seldom hold spoon and chopsticks at the same time Finally, one is not permitted to raise the bowl over the table except when one is drinking scorched-rice water 폐 백 상 고 배 상 Ceremonial foods prepared on special occasions are different from the everyday diet, for their varieties are stipulated for each occasion On the 100th day after the birth of a baby, Koreans prepare rice and millet cakes to share with neighbors and to wish the baby a healthy growth free from illness On the first anniverssary of baby’s birth, the boby receives a table full of a great variety of foods as a prayer for future good health The varieties placed on the table include rice cakes, Songp’yo ˘n (half-moon shaped rice cake), millet cakes, rolled-rice cakes, glutnious rice cakes, Pap(steamed rice), noodles, money, jujubes, needle and thread, brushes(or pencils), books, cotton cloths, etc As such, non-food stuffs are displayed on the table together with foods for the child to choose By what is taken by the child, people guess what he or she will become in the future On the birthday of a senior within the family, offspring offer a dinner table loaded with a great variety of foods as a token of their continuous filial piety to their elders The wedding ceremony is followed by a ritual where the bride salutes her immediate in-laws by offering a table containing“P’yo ˘np’o(sliced dried beef)”or “Yukp’o(slices of dried meat)”and jujube On the 60th birthday, a sumptuous food table is prepared to celebrate the — 190— — 191— (2) Ceremonial Foods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92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감, 배 등의 과일, 약과, 다식 등의 과자를 괴어 담고, 탕, 적, 온 진달래꽃잎을 얹어 화전을 편, 포, 나물, 전 등을 차린다 부쳐 먹는 ‘화전놀이’는, 공 동체끼리 친선을 꾀하는 운치 (3) 별 식 있는 풍류 놀이로서도 유명한 의례시에 만드는 떡, 계절에 따라 먹는 절식(節食), 지방마다 특별한 음식을 만드는 등 여러 가지 별식이 있다 것이다 여름에는 콩국이나 냉면 등 계절에 따른 음식으로, 봄에는 햇쑥을 넣어 만든 쑥떡, 쑥버무 이 있다 냉면은 차게 하여 리가 있고, 진달래 꽃잎을 넣 주로 더운 계절에 먹지만, 평 어 부친 화전이 있다 안도에서는 추운 겨울 뜨거운 방에서 얼음이 든 냉면을 별식으로 진달래꽃이 온 산을 붉게 삼복 때의 냉면상 먹는다고 한다 물들일 때, 일가 친척 또는 가을에는 추석에 빚어 먹는 송편이 있고, 겨울에는 동지에 쑤 가까운 친구들이나 이웃들과 어 이웃 간에 서로 나누어 먹는 팥죽이 있다 그리고 정월 대보 같이 산에 올라가 준비해 온 름에는 오곡밥과 여러 가지 나물을 만들어 먹는데, 아홉 가지 나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동글납 물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작하게 빚어, 산에서 갓 따 호두, 잣, 밤, 은행 등 부럼을 이로 깨물어 치아의 튼튼함을 시험 auspicious occasion The offspring offer drinks to their parents who turn 60 While the immediate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offer drinks, guests indulge in foods on the table For the ritual of ancestor worship, a table is prepared with various fruits (chestnuts, jujubes, dried-persimmons and peaches), rice cakes(sweet spiced cooky), T’ang(hot soup), Cho ˘k(skewered boiled beef), P’yo ˘n(rice cake), P’o(slices of dried meat), Namul(herbs), Cho ˘n(fried flour), etc While rice is the staple grain, side dishes vary widely according to season and region Among seasonal foods, mugwort cake mixed with flour and“Hwajo ˘n(azalea’s petals)”is quite common is spring In the past when the mountains were tinted with red azaleas, inhabitants of a village went out on an excursion They made glutinous rice powder into oval and flat dough shapes and put azalea’s petals on the cut dough These were then baked in oil and shared among friends and neighbors who assembled for the outing This was the so-called“Hwajo ˘nnori,”a traditional outing which purportly nurtured the sense of solidarity among the villagers In summer,“K’ongguk(cold bean soup)”and“Naengmyo ˘n(cold noodle)”are favorite foods among Koreans The cold noodles are not only a popular food for a hot season : the people in the Pyo ˘ngan Province in North Korea enjoy the cold noodles as a special food in winter Songp’yo ˘n(half-moon shaped rice cake) is made from the new rice harvest in the autumn Red bean porridege is shared with neighbors in winter On the 15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called“Taeboru ˘ m”a table of five‐grain“Pap”is prepared — 192— — 193— 화 전(진달래꽃전) (3) Special Foods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94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하기도 한다 이 날 새벽에 청주를 한 잔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 주 생 활 고 하여, 귀밝이술을 마시기도 하였다 이 밖에, 지방에 따른 음식으로 평양의 냉면과 전주의 비빔밥 을 들 수 있고, 일상적인 별식으로는 수정과와 식혜(감주) 등이 우리 나라는 전통적으로 지붕에 기와를 얹은 기와집과 볏짚을 얹은 초가집을 많이 짓고 살았다 있다 이들 별식을 보면, 특히 우리 조상들의 음식 문화에 깃들인 지 혜를 엿볼 수 있다 곡물이나 채소, 과일 등은 제철에 가장 맛이 좋고, 영양가가 최고로 높다 이러한 음식을 제때에 충분히 먹게 하여, 자칫 잃기 쉬운 식욕을 돋우며, 더위와 추위를 이길 수 있 도록 하였던 것이다 기 와 집 초 가 집 with side dishes made of foods believed to help people stand the heat of the coming summer They also demonstrate the strength of their teeth by biting various nuts (walnuts, pine nuts, chestnuts, peanuts) In the early morning on Taeboru ˘m Koreans drink a special rice wine called“Ch’o ˘ngju”in the belief that the Ch’o ˘ngju will improve one’s hearing Naengmyo ˘n which originated from Pyo ˘ngyang(the capital of North Korea) and “Pibimbap(rice mixed with herbs and spices)”are renowned local foods Koreans enjoy“Sujo˘ nggwa(a punch made of honey, dried persimmons, pinenuts and cinnamon)” “Shik’ye(sweet , rice drink)”as a special deserts after meals The cereals, vegetables and fruits keep their nutrients and unique tastes special in their seasons Through a varying assortment of foods available in each season, Koreans developed ways of overcoming hot and cold weather The most typical Korean house is made of wood and clay, with its roof made of straws or tiles — 194— — 195— Housing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96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이러한 집이 모여 이룬 마을은 산이 많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풍경을 이루었다 한국의 정원은 창덕궁 의 정원인 비원처럼 자연 기와집의 지붕은 마치 새가 날개를 펴고 나는 듯이 완만한 곡 의 지형을 잘 다듬어 꾸 선을 이루고 있고, 초가집은 작은 동산처럼 둥글둥글하다 기와 며 자연스런 풍경을 재현 집 울타리는 토담으로 두르고, 그 위에 둥글둥글한 기와를 덮었 하는 형식이며, 양반 집 으며, 초가집은 싸리나무나 개나리 등으로 생울타리를 하였다 주택에 맞는 독특한 정원 일반 서민의 주택에는 대개 이 있기도 하지만, 지붕 앞마당이 있고, 안채 뒤꼍 양 의 모양, 울타리, 뜰 등 지바른 곳에 장독대가 있다 이 모두 자연과 조화되도록 꾸몄다는 것은 공통된 특징이다 장독대에는 간장, 된장, 고추 한국의 기후는 계절에 따라 그 차이가 매우 심하다 여름에는 장 등이 담긴 항아리가 놓여 30。C가 넘는 더위가 있고, 겨울에는 영하 20。C 이하의 추위가 있고, 그 둘레나 마당 가장자 있다 그러므로 우리 전통 가옥의 구조는 계절에 따라 기온이나 리에 봉선화나 맨드라미 같은 습도의 변화에 맞도록 되어 있다 꽃을 심어 정원다운 운치를 장 독 대 비원의 부용정 자아낸다 주택의 생활 공간으로는 방과 마루가 있다 방바닥은 온돌로 하여,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열이 구들을 데우고, 그 열기로 방 Such houses are perched on escalated terrains, making a good match with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pastoral scenery The ridges of tiled roofs slowly slope upward like the wings of a bird flying into the sky The straw-thatched roofs of peasants’ houses look like earthen mounds or hills The fences of tile-roofed houses are made of round tiles stuck on a mud wall alongside thickets of forsythias and bush clovers Nearly every Korean house has an inner yard and a back yard, with a terrace placed in the latter to keep jars and countainers of bean and red-pepper pastes and other fermented foods The terrace, surrounded by balsam and cockscomb, creates an air of a little garden The Korean’s garden characteristically represents a miniature version of nature, as can be seen in the Piwon(Secret Garden) of Ch’angdo˘k Palace It is hardly distinguishable from its surrounding, since it is designed to be in perfect harmony with nature Korea is known for wide fluctuations in temperature Summer is almost unbearable, reaching temperatures as high as 35� C In winter, the temperature plummets to a freezing 20�C below zero Korean houses are designed so as to protect its inhabitants from hot and cold weathers — 196— — 197—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198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안의 공기를 따뜻하게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였으며, 알맞은 햇빛을 방에 들이게 하였 한다 계절에 따라 불 때 다 는 일을 조절함으로써 방 안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마루에는 대체로 남쪽 겨울에는 문 사이로 들어오는 찬바람을 막기 위하여 창호지를 길게 오려 문풍지를 붙였다 특히 평면상 구조를 보면, 기후에 따라 그에 적응하는 독특한 구조를 하고 있다 과 북쪽에 창이나 문을 내어, 여름에는 활짝 열 어서 시원한 바람이 잘 누마루가 있는 한옥 통하도록 하여 습기를 제거하고 더위도 막는다 방이나 마루의 문은 두 겹으로 만들어서, 추운 겨울이나 밤에는 덧문까지 닫아 실내 온도를 조절한다 또, 벽은 흙을 이겨서 붙여 만들었는데, 흙벽은 추운 때는 따 뜻하고 더운 때는 서늘하며, 문은 격자창으로 하여 여닫이나 미 닫이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문에는 창호지를 발라서 자연적인 중부 지방의 가옥 A common prototype of the Korean house consists of a living room, another room and a kictchen, with a toilet set apart and away from the living quarters Each room has an ondol floor which is heated via sub-floor level flues by burning firewood from the kitchen stove or an outdoor hearth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burning firelogs Koreans placed paper windows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sides of the“Maru (a wooden floored room).”By opening the windows wide, cool air blows away humidity and heat The doors to rooms were made in two layers-the inner and outer doors The walls were made of mud due to its effectiveness for insulating against cold and heat The doors were of a sliding of a pull/push type The Ch’anghoji(Korean window paper) is pasted on the lattrices of windows to allow the ventilation of air and the penetration of sunlight Koreans in the past did not attempt to seal off crevices between a window and its frame: more often, they covered them with flimsy strips of window paper, which trembled and rumbled with the blow of cold winds For Koreans who had been away from their home towns in the countryside, nostalgia for old days was triggered by this rumbling of windows But today, this scene has become a distant memory of elderly people The Korean house has a structural feature that facilitates its adaptation to fluctuating weather Climatic characteristics are also manifest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s of houses — 198— — 199— kor ˛(¿ ) 1–˙5(169-200) 2007.1.13 11:19 AM ˘ ` 200 (1,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추운 북쪽 지방의 주택은 찬바람이 들어오지 않게 방이 모여 붙어 있는 밭전 (田) 자 모양의 구조로 밀폐성이 강조되고 있다 더운 남쪽 지방의 주택은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한일 (一) 자 모양 으로 되어 있어서 개방성이 강조되고 있다 중부 지방의 주택은 ㄱ자나 ㄷ자 모양으로 되어, 개방과 밀폐 의 중간 형태를 취하고 있다 Korean houses in northern provinces have their rooms densely clustered, as if they were huddled against unseasonable climates On the other hand, those in southern provinces have their rooms lined up straight to allow for a free passage of air across the house Those in the middle part of Korea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styles : they are ㄱ or ㄷ shaped — 200— ... the Government, National Assembly, and the courts of law are all modelled on the Rose of Sharon — 9— kor ˛(¿ ) 1 1( 0 01- 040) 2007 .1. 13 11 :12 AM ˘ ` 10 (1, 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Because we are an ethn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nation (2) Korean Language and Alphabet Koreans are ethnically and culturally homogeneous The number of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number... ancestors revered Heaven the most This was — 14 — — 15 — (1 ) The Origins of Korean Ethical Ideals kor ˛(¿ ) 1 1( 0 01- 040) 2007 .1. 13 11 :12 AM ˘ ` 16 (1, 1) Happy n Co - Kcom HP- A3 600DPI 60LPI W

Ngày đăng: 13/05/2018, 22:13

Tài liệu cùng người dùng

Tài liệu liên qu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