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rang chủ
  2. » Luận Văn - Báo Cáo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의 특징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87 277 7

Đang tải... (xem toàn văn)

Tài liệu hạn chế xem trước, để xem đầy đủ mời bạn chọn Tải xuống

THÔNG TIN TÀI LIỆU

Nội dung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TRẦN THỊ NAM TRÂN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의 특징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NGHIÊN CỨU ĐẶC TRƯNG CỦA UYỂN NGỮ TIẾNG HÀN DIỄN ĐẠT CÁI CHẾT (LIÊN HỆ VỚI TIẾNG VIỆT)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하노이- 2021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대학원 TRẦN THỊ NAM TRÂN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의 특징 연구 (베트남어와 비교) NGHIÊN CỨU ĐẶC TRƯNG CỦA UYỂN NGỮ TIẾNG HÀN DIỄN ĐẠT CÁI CHẾT (LIÊN HỆ VỚI TIẾNG VIỆT)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지도교수: NGUYỄN LỆ THU 하노이- 2021 연구 윤리 서약서 이 논문은 본인 개인의 연구 결과물임을 밝힙니다 논문에서 제시된 자료, 인용은 정확한 것이며, 결과는 다른 연구에서 게시된 적이 없습니다 연구 윤리에 대한 위반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대학 위원회의 결정 에 따릅니다 논문 작성자 Trần Thị Nam Trân i 감사의 말씀 어느 새 년의 석사과정을 마치고 학위 논문을 제출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년의 시간 동안 저에게 도움을 주신 분들이 많습니다 미흡하지만 학위 논문을 마치면서 그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누구보다도 많은 도움을 주시고, 부족한 점을 언제나 세심하고 꼼꼼한 손길로 지적해주신 Nguyễn Lệ Thu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석사 학위논문을 무사히 마칠수 있도록 항상 성심성의껏 지도 해주시고, 인생에 있어서도 많은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또한 바쁘신 와중에도 따뜻한 격려와 조언을 해주신 하노이 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Trần Thị Hường 교수님, Lã Thị Thanh Mai 교수님, Đỗ Phương Thùy 교수님, Hoàng Thị Yến 교수님, 하노이대학교 한국어과 Nghiêm Thị Thu Hương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외에도 여기에 미처 적지 못한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이 있어 제가 있었고, 저도 여러분께 힘이 될 수 있는 존재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지은이: 쩐 티 남 쩐 ii 초록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들을 조사하여, 그와 관련된 베트남어와 비교하며 양국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밝히기 위해 제1장에서는 먼저 연구의 사유 및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와 베트남어 선행 연구를 고찰한 후에 연구 밥법 및 연구 범위, 논문의 이론적, 논문의 의의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구성을 정리하였다 다음에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으로 나눠서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이 논문의 문헌 연구를 통하고 한국어 완곡어에 대한 선행 연구의 개념 정의를 검토해 보고 민족성, 시대성, 금기어와 관련성 등과 같은 완곡어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완곡어는 세계의 각 나라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언어 현상이다 완곡어의 기원은 원시시대 ‘금기’ 문화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한국어 완곡어의 흐름 속에서 죽음, 배설, 성, 질병, 신성, 범죄 등과 같은 완곡어의 영역을 파악하였다 제3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의 양상을 분석한다 먼저, 죽음과 언어의 관계를 논의하며 ‘죽음’에 대한 완곡어의 발생 요인, 개념적 은유와 환유의 방식에 의해 완곡어의 사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장에서 완곡어를 ‘신분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종교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사망 원인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장례 풍속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등 네 가지 양상으로 나눠서 분석한다 이상의 분류에 따라 한국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완곡어를 나열하여 쓰임의 예문들을 제시하겠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죽음’에 대한 완곡어가 사용된 구체적인 표를 만들어보고 양국 언어 완곡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완곡어 교수·학습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혔다 제5장에서는 이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여 맺음말을 도출하였다 지금까지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 연구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지만 iii 베트남어와 비교에 관련된 연구는 아직도 없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두 언어의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도록 추진하고 향후 한국어를 공부하는 베트남인에게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 ‘죽음’에 관한 완곡어를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고 교수·합습에 유용한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이바지하는 것을 바란다 핵심어: 죽음, 완곡어, 금기어, 한국어, 베트남어 iv TÓM TẮT LUẬN VĂN Uyển ngữ thuật ngữ bắt nguồn từ tiếng Hy Lạp có nghĩa nói cho tốt đẹp, nói cho hay Trong tiếng Việt, tùy theo quan điểm phạm vi nghiên cứu mà thuật ngữ gọi nhiều tên gọi khác nói giảm nói tránh, khinh từ, nhã ngữ Có thể nói uyển ngữ phản ánh văn hóa, đạo đức ứng xử cá nhân xã hội vật, tượng tự nhiên có đời sống người Chính thế, mục đích nghiên cứu khảo sát uyển ngữ diễn đạt chết tiếng Hàn liên hệ chúng với uyển ngữ tiếng Việt nhằm làm rõ điểm giống khác hai ngơn ngữ Với mục đích đó, chương 1, đưa lý nghiên cứu, khảo sát cơng trình nghiên cứu trước tác giả Hàn Quốc Việt Nam, trình bày phương pháp nghiên cứu, phạm vi nghiên cứu, ý nghĩa luận văn, cấu trúc luận văn Ở chương 2, tham khảo quan điểm tác giả hệ thống lại cách khái quát khái niệm, đặc trưng uyển ngữ tiếng Hàn Khi giao tiếp, người tham gia giao tiếp nhiều phải đối mặt với tình mà họ khơng thể trực tiếp nói ra, nói trực tiếp làm cho người nghe chí người nói cảm thấy lúng túng, khó xử Uyển ngữ đời vào đời sống theo cách Trong chương này, lĩnh vực thuộc uyển ngữ chết, tiết, giới tính, bệnh tật, thần thánh, nghề nghiệp, tội phạm Ở chương 3, chúng tơi phân tích cụ thể loại hình uyển ngữ liên quan đến „cái chết‟ tiếng Hàn Trước hết, mối quan hệ chết ngôn ngữ, „cái chết‟ chủ để kiêng kị phổ biến nhất, có hầu khắp văn hóa, chủ đề nhạy cảm gây đau buồn gợi lên sợ hãi, người ta thường tránh đề cập đến cách trực tiếp, thay vào người ta thường sử dụng đa dạng uyển ngữ thuật ngữ giàu hình ảnh để giảm nhẹ u buồn, thê lương, sợ hãi mà chết mang lại Vì vậy, nghiên cứu này, chúng tơi lý giải q trình tạo lập uyển ngữ diễn đạt chết tiếng Hàn dựa phương thức tu từ ẩn dụ hoán dụ Cũng chương này, chúng tơi phân tích uyển ngữ diễn đạt chết góc độ ngơn ngữ học xã hội chia chúng thành loại, bao gồm „uyển ngữ chết theo thân phận người‟, „uyển ngữ chết theo tôn giáo‟, „uyển ngữ chết theo nguyên nhân tử vong‟, „uyển ngữ v chết theo phong tục tang lễ‟ Dựa theo phân loại trên, nghiên cứu thống kê uyển ngữ sử dụng thực tế đưa ví dụ cách sử dụng chúng từ ngữ liệu giáo trình tiếng Hàn, báo chí, từ điển Ở chương 4, lập bảng tiến hành nghiên cứu phân tích điểm giống khác uyển ngữ diễn đạt „cái chết‟ sử dụng tiếng Hàn tiếng Việt, thông qua kết nghiên cứu, viết trình bày phương án giảng dạy học tập uyển ngữ chết tiếng Hàn cho đối tượng người học người Việt Nam Chương phần kết luận, trình bày tóm tắt kết nghiên cứu Cho tới chưa có nhiều cơng trình nghiên cứu liên quan đến chết tiếng Hàn liên hệ với tiếng Việt, thơng qua kết nghiên cứu, nghiên cứu hy vọng đóng góp vào thúc đẩy trao đổi hai ngơn ngữ, đồng thời giúp cho người Việt học tiếng Hàn giao tiếp linh hoạt hơn, hiểu sử dụng xác uyển ngữ chết tiếng Hàn trở thành tài liệu hữu ích việc giảng dạy học tập Từ khóa: chết, uyển ngữ, kiêng kỵ, Hàn Quốc, Việt Nam vi 목차 연구 리 서약서 i 감사의 말씀 ii 초록 iii TÓM TẮT LUẬN VĂN v 표 목차 ix 그림 목차 ix 제 장 서론 1 연구의 사유 및 목적 선행연구 검토 연구의 방법 및 범위 연구의 의의 논문의 구성 제 장 완곡어의 이해 10 2.1 완곡어의 개념 10 2.2 완곡어의 특징 13 2.3 완곡어의 영역 16 제 장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 실현 양상 19 3.1 죽음에 관한 언어적 이해 19 3.2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발생 요인 21 3.3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수사 방식 23 3.3.1 은유 23 3.3.2 환유 27 3.4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실현 양상 29 3.4.1 신분에 따른 완곡어 30 3.4.2 종교에 따른 완곡어 37 3.4.3 사망 원인에 따른 완곡어 41 vii 3.4.4 장례 풍속에 따른 완곡어 45 제 장 죽음에 관한 베트남어 완곡어와 비교 48 4.1 공통점 49 4.2 차이점 57 4.3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완곡어 교수·학습에서의 활용 방안 60 제 장 결론 66 참고문헌 69 부록 I viii 발표하게 한다 이러한 완곡어들은 학습자에게 쉬운 것부터 어려운 것까지 활용해 볼 수도 있다 한국어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의미 번호 완곡어 붕어하다 눈을 감다 의미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내려 앉다‟는 뜻이고 임금이 세상을 떠난 것으로 사용된다 눈을 감는 동작의 은유로 죽음을 나타내서 슬픔과 공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세상에서 예수를 믿은 사람이 죽은 후에 갈 수 있다는 천당에 가다 영혼이 축복받은 나라, 즉 하나님이 지배하는 나라라고 본다 자재하다 자기 몸을 스스로 다치게 하는 것이다 투강하다 목숨을 끊기 위해 몸을 강에 던지는 것이다 눈에 흙으로 들어가다 매장의 과정 중에서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인데 사람이 사망한 후에 흙이 눈이나 손톱에 들어간다는 점을 이용해 죽음을 완곡하게 표현하는 말이다 도교에 따라 „죽음‟을 표현하고 넋이 하늘로 돌아간다는 귀천하다 헌신하다 몸과 마음을 바쳐 있는 힘을 다함이라는 뜻이다 요절하다 젊은 나이에 일찍 죽다‟는 뜻이다 10 잘못되다 뜻이다 심층적으로 „사람이 사고나 병 따위로 불행하게 죽다‟는 뜻이다 활동1에 대한 피드백을 한다 활동1에서 나타난 완곡어를 사용한 응답과 완곡어를 사용하지 않은 응답을 비교하게 한다 각 표현에서 청자가 어떤 느낌을 받는지에 대해서 제시한다 또 활동1에서 나타난 완곡어의 실제 사용 사례들을 제시할 수 있다  : ‘죽음’ 관련 적절한 완곡어와 연결 활동2는 다양한 완곡어들에 대한 이해를 하며 학습자들의 활용을 돕고 각 완곡어의 62 사용 상황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들로 하여금 비슷한 문장을 만드는 연습을 시킨다 이는 학습한 표현을 학습자 스스로 판단하여 사용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죽음’ 관련 적절한 완곡어와 연결 예문 완곡어 (1) 그 소방관은 지난 화재사건에서 아이를 구하려다 죽고  (ㄱ) 요절하다 말았다 (2) 거꾸로  (ㄴ) 입적하다 다른 쪽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영양실조로  (ㄷ) 객사하다 굶어죽고 있다  (ㄹ) 아사하다 (3) 그는 젊은 나이에 술 때문에 죽었다  (ㅁ) 순직하다 (4) 그 스님은 나이 74 세, 법랍 36 년으로 죽었다 (5) 고국에서 추방당한 그 정치가는 평생을 이방인으로 살다 타국에서 죽었다 이 같은 관계와 상황에 따라 완곡하게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한 눈에 읽기 쉬운 예문으로 제시하여 설명하고 연습하는 것으로 학습자들은 각 어휘들을 상황에 따라 완곡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각 표현별 개념 정리 후 예문 설명하기로 연습을 하여 학습자들에게 완곡어의 뜻을 확실히 알 수 있게 해 준다 위와 같은 적절한 완곡어를 찾아 내용과 연결하는 것을 활용한 활동은 학습이 완료된 후 해당 대상과 상황에 맞는 완곡어를 떠올리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대상과 상황에 맞는 문장을 만들어 보기도 할 수도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어 학자들에게 완곡어의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 : 한국어·베트남어 번역에서의 활용 제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한국어 완곡어의 분류에 따라 각 완곡어 유형의 영역에 완곡어가 매우 많다 사람들은 한국어를 공부할 때 주로 한국어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관련 공부하고 배워서 일상생활에 공식적으로 쓰이는 표현에 대해서만 잘 알고 있다 그래서 특수한 상황에 관한 것을 번역할 때 부족한 것이다 한국어에서 63 어떤 사람의 죽음에 대한 ‘죽다’는 말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대체한다 그 방식은 완곡어라고 하며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나 번역자12)는 한국 사람이 왜, 어떻게 완곡어를 사용하는지 이해하도록 이 연구를 검토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어는 유의어가 많아서 번역자에게 대상과 상황에 적절히 선택하여 활용하는 것이 어렵다 이 연구에서 ‘죽음’에 관한 완곡어를 분석하며 한·베 양국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번역자가 ‘죽음’에 관한 완곡어 함축의미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특수 상황에 완곡어를 활용하여 죽음 관련 한국어와 베트남어 간의 제대로 번역할 수도 있다 한국어에 ‘죽음’에 관한 완곡어는 단어뿐만 아니라 관용구도 많이 있다 본고의 2장에서 완곡어의 형성 방식과 실현 양상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관용구 속에 담긴 의미를 베트남어의 관용구와 비교하여 설명함으로써 죽음 과련 한국어 완곡어를 이해하고 해당 관용구에 대한 기억을 오래도록 유지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특히 한국어 담화 구조에서 상황과 맥락은 여러 사회언어학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래서 초, 중급 단계의 학습자의 경우, 관용구의 번역만을 알고 전체 문맥을 해석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어 관용구 ‘눈을 감다’는 일반적으로 어떤 사람이 눈을 감는 행동하는 것을 표현하지만 특수 상황이나 구체적인 문맥에서 죽음을 직설적으로 말하지 않아 대신하여 ‘눈을 감다’를 사용한다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한국어·베트남어 번역 예시는 다음과 같다 12) 정호정(2016)에서는 번역자는 전문적 직업적 자격을 갖추지 않은 사람이 부수적 업무의 일부로서 혹은 외국어학습 등의 목적을 갖고 번역을 수행하는 경우, 번역사는 전문적 훈련과정을 거쳐 고유 업무로 직업적으로 번역하는 경우, 번역가는 직업적 훈련 여부에 관계없이 번역에 매우 능하여 결과적으로 사회적 합의에 의해 일정 수준 이상의 번역능력을 가진 것으로 인정받는 경우다 본고는 논문의 내용에 적절하기 위해 „번역자‟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64 ‘죽음’ 관련 한국어 완곡어를 베트남어로 번역하는 것 원문 그는 한국에서 치료를 받으면서도 수단의 어려운 사정을 알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하지만 이태석 신부는 톤즈에 돌아가지 못하고 48 세의 젊은 나이에 눈을 감았다 뒤늦게 그의 죽음을 알게 된 톤즈 사람들은 장례식, 대신 이태석 신부의 사진을 가슴에 품고 마을을 행진하며 슬퍼했다 톤즈의 아버지였으며 의사, 선생님, 지휘자였던 이태석 신부는 그렇게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그는 톤즈 사람들의 마음속에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다 (경희 한국어 읽기 4) ‘죽음’ 관련 베트남어 완곡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 원문 Mặc dù bạn đọc Dân trí quan tâm, ủng hộ giúp đỡ, bác sỹ cứu chữa nhiên bé Hà Thiện Nhân nhân vật viết “Tiếng khóc xé lịng cháu bé tuổi có đơi mắt “nổ tung” cõi vĩnh Ngày 20/10, sau thời gian dài điều trị bệnh ung thư, cháu Hà Thiện Nhân trút thở cuối quê nhà huyện Nam Đàn, Nghệ An (Báo Dân trí, 24/10/2014) 65 제 장 결론 본 논문에서는 ‘죽음’에 관하여 한국어 완곡어를 고찰하고 베트남어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와 비교하여 한·베 양국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죽음’에 대한 완곡어의 발생 요인을 통하여 수사 방식의 은유와 환유 방식으로 금기어 대신 완곡어를 분석하고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죽음’에 관한 한국어의 완곡어 실현 양상 특징을 드러나게 하였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논문은 서론, 결론 외에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서술되었다 제2장에서는 학자들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에 대한 선행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한국의 완곡어에 대한 사전적 개념 또한 각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고 완곡어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민족성, 시대성, 금기어와 관련성 등과 같은 완곡어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들을 검토하여 한국어 완곡어를 사회적 요인에 의한 완곡어와 금기적 요인에 의한 완곡어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요인에 의한 완곡어에서 직업, 신체장애, 개인평가, 범죄 행위 네 영역이며 금기적 요인에 의한 완곡어에서 신성함, 죽음, 질병, 배설과 성 다섯 영역으로 분류한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에 기초가 되는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발생 요인과, ‘죽음’이라는 추상적 개념에 대한 이해 및 한국어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베트남 ‘죽음’에 관한 완곡어를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고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보도록 하였다 제5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본고는 한국어 교수·학습에서와 한국어-베트남어 번역에서의 활용 등 ‘죽음’에 관한 완곡어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죽음에 대한 공포와 금기 심리에 의하여 한국에서 금기어 대신에 발생한 완곡어가 많이 존재하고 있다 즉, 죽음 관련 금기어를 회피하고 있으며 이를 대신하여 66 표현하기 위해 완곡어를 사용하는데 은유와 환유의 기제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개념적 은유에서 ‘죽음’은 ‘하늘이 무너짐, 수면, 출발, 숭고’과 연상에 있는 것으로 파악하며 개념적 환유에서 ‘장례 절차와 신체적 반응’으로 죽음을 완곡하게 나타내기도 한다 죽음과 관련된 완곡어는 ‘신분’, ‘종교’, ‘사망원인’, ‘장례 풍속’ 네 가지로 세분화하고 각각 분석을 진행하였다 신분에 따라서 수많은 ‘죽음’ 관련 완곡어를 살펴보면 토착적이고 엄격한 봉건 등급 관념이 잘 드러나 있는 표현을 많이 발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등급별로 죽음을 묘사하기 위한 용어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봉건 제도의 영향으로 각 계층에 속한 인물들의 사망에 대해서는 각각 특정한 완곡 표현들이 있다 한국어에서 임금의 죽음은 모두 ‘붕’이라고 부르는데, 특히 왕의 죽음이 마치 산이 무너진 것처럼 나라의 제일 큰 비통함을 형용하는 것이다 또한 한국어에서는 일반사람들의 죽음을 완곡하게 표현하는 완곡어가 매우 많고 단어 측면뿐만 아니라 관용 표현의 활용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한국은 주요한 영향을 끼친 종교는 불교, 도교, 기독교를 들 수 있는데 이 종교들에서도 ‘죽음’ 관련 완곡어가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불교 또는 도교와 달리 기독교 문화에서 쓰이는 ‘죽음’ 관련 완곡어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사용될 뿐만 아니라 한국 사람들에게 깊게 뿌리를 내렸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기독교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어에서는 주관적인 사망원인에 대한 완곡어는 한자 ‘자(自’)’와 관련된 단어들은 자기 스스로 목숨을 끊다는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객관적이고 다른 사망원인에 대한 완곡어는 한자 ‘사(死)’와 관련된 단어들은 ‘죽음’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공포와 고통을 줄이도록 한다 한국의 민족풍속은 오래된 옛날부터 발원하여 복잡한 변화와 분화를 거쳐 현재에까지 계승되어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귀토, 눈에 흙이 들어가다’ 등의 죽음에 관한 완곡어들은 농업을 주업으로 삼았던 한국의 문화적 특성에서 67 발생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한국어에서 ‘죽음’과 관련된 완곡어에 분명히 나타낸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죽음’의 완곡어 실현 양상은 금기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았는데 그중에 도교, 불교, 기독교 관념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 종교 외에도 각 국가의 관습, 습관, 금기, 도덕적 개념 등의 영향을 받는다 베트남 완곡어의 구성을 분석할 때 한국어 완곡어와 달리 다른 품사와 ‘Không-없다/không thể-못’의 부정 형식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한국에 비해 베트남은 기독교가 보편적이지 않아서 ‘죽음’에 관련된 완곡어들이 대부분 그리스도인들에게만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사망 원인의 주관적인 부분을 살펴보면 양국의 언어가 비록 한자로 영향을 미치는데 ‘자결, 자재, 자폐, 자진, 투강, 투신, 불기, 병사’ 등과 같이 한국어 완곡어는 스스로 죽는 방식을 나타내는 어휘인 반면에 베트남어 완곡어는 관용구이다 그러나 객관적인 사망 원인과 다른 사망 원인을 살펴보면 한국어에서 죽음에 대한 완곡어는 대부분 한자어 ‘사(死)’로 파생된 어휘이지만 그들은 베트남어와 비교할 때는 완곡어가 아니다 각 민족의 문화 특색이 서로 달라서 베트남어에만 ‘đi gặp Các Mác-Lê Nin‟과 같은 말이 있는 반면에 한국어에는 비슷한 표현을 찾기가 어려웠다 ‘죽음’에 관한 완곡어를 분석하여 한·베 양국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한국어 교수·학습에서와 한국어베트남어 번역에서의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분적으로 분석 방법 중에서 은유, 환유로 ‘죽음’ 관련 완곡어에 대해 형성 방식을 규명해 보았다 그리고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실현 양상 분석을 통해 한·베 양국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한적, 피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진 데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 보다 다양한 측면과 대상을 동원하여 깊이 있게 분석한다면, 한·베 양국 언어의 완곡어에 대해 대조하여 더 많은 사실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이것이 앞으로 연구할 과제라 하겠다 68 참고문헌 한국어 1.강병창⋅안혁(2013), “죽음의 수사학-완곡어법을 중심으로”, 수사학, 18, 5-35쪽 2.강영웅(2014), 한국어와 영어의 금기.완곡 표현의 사용 양상 대조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국립국어원(2001), 표준국어대사전 1.0, 두산동아 4.권길호(2015), 한국어 완곡 표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김광해(1993),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서울 6.김교석(2014), 부정적 죽음인식에 대한 비평 연구-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김기선(2011), “고구려 ‘온달’과 몽골 산악신앙의 완곡어 ‘Ưndưr’ 와의 작명관 비교연구”, 동아시아고대학, 24, 441-472쪽 8.김미라(2006), 한.일 양 언어의 완곡 표현 대조.비교,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김미형(2000), “국어 완곡 표현의 유형과 언어심리 연구”, 한말연구, 7, 한말연구학회, 27-63쪽 10.김미형(2009), “한⋅영 완곡어의 대조 분석”, 한말연구, 25, 한말연구학회, 61112쪽 11.김억초(2019), “죽음을 나타내는 완곡어의 인지언어학적 해석”, 한민족어문학, 83(0), 한민족어문학회, 79-102쪽 12.김열규(1978), “금기의 사상: 부정의 금기를 중심으로”, 북악사학, 29, 210-216쪽 13.김영란(1998), 한국어 금지 표현의 형식과 기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김욱(2011), 한⋅중 완곡어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9 15.김정헌(2015), “거절장면에서의 완곡 표현 연구: 한.일 TV드라마를 중심으로”, 일본 근대학연구, 49, 123-138쪽 16.김홍석(2008), “국어 어휘 범주의 완곡어 고찰”, 한어문교육, 19, 한국언어문 학교육학회 20-37쪽 17.남기심(1982), “금기어와 언어의 변화”, 언어와 언어학, 8,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75-79쪽 18.마풍빈(2012), 한.중 완곡어의 비교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문금현(1999), 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태학사, 서울 20.박승혁(2007), “영어의 비속어와 완곡 표현에 대한 소고-및 가지 예를 중심으로”, 영미어문학, 84, 한국영미어문학회, 143-166쪽 21.박정열.최상진(2003), "금기어 분석을 통한 한국인 심층심리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22, 49-55쪽 22.박종호(1998), 국어와 영어의 완곡어 비곡어 표현, 사회과학연구, 6, 113-127 23.배성영(2012),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완곡 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왕뢰(2014), 한국어와 중국어의 금기어 비교 연구-죽음에 관한 금기어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왕소단(2011), 한국어와 중국어 완곡 표현의 대비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용요요(2010), 한국어와 중국어의 완곡 표현 대비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유관남(2019), 한.중 „죽음‟에 관한 완곡 표현의 대비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윤가현(2016), “노년기에 경험하는 죽음에 대한 불안의 이해”,한국노년학원구, 25, 한국노년학연구회, 131-151쪽 70 29.윤희주(2007), “완곡어법과 위악어법의 번역원인 및 번역방법”, 번역학연구, 8(1), 193-220쪽 30.이갑남(2017), “중.한 금기어와 완곡 표현 대조 연구-죽음과 질병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44, 동아인문학회, 1-35쪽 31.이용주(1959), “완곡어법 소고”, 국어교육, 2, 33-45쪽 32.이정민 외(1987), 언어학 사전, 박영사 33.이종능(2003), 영어에서의 완곡어법에 관한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이혁진(1990), 완곡어법의 연구-영어와 우리말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이효신(1997), 완곡 표현의 일한 대조 고찰,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이희진(2006), 금기 체계의 사례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임지룡(1992),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서울 38.전지연(2013), 미국 신문과 한국신문의 사망 기사와 부고에서 사용되는 죽음에 대한 완곡 표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조미경(2005), 공손 전략으로서의 한국어 완곡 표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조항숙(2013), “금기어와 한국인의 감성”, 인간.환경.미래, 10 41.조현용(2017),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도서출판 42.조혜선(1999), “완곡어법의 화용론적 설명”, 한국커뮤니케이션학, 7, 한국커뮤니 케이션학회, 303-316쪽 43.조희숙(2005), “동의어로서의 완곡어와 위악어 연구: 몇 가지 예문을 기준으로”, 한국 슬라브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8-52쪽 71 44.조희숙(2006a), “동의어, 완곡어와 위악어의 이론적 개념화”, 한국슬라브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63-75쪽 45.조희숙(2006b), “러시아 동의어 시스템에서 완곡어와 위악어의 위치 연구”, 슬라브어 연구, 11, 91-106쪽 46.조희숙(2006c), “러시아어 완곡어/위악어와의 연관성 동의어 시스템에서 연구(신체부위를 긍정적/부정적 지칭하는 어휘를 뉘앙스와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18(3), 33-58쪽 47.조희숙(2009), “동의어 발생과 사회심리언어학적 현상-완곡어와 위악어의 상관관계고찰”, 노어노문학 21(2), 97-126쪽 48.조현용(2000),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박이정, 서울 49.종언선(2019), 한.중 완곡어 대조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진흔흔(2016), 한.중 완곡 표현의 비교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1.채춘옥(2013),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대조 분석”, 사회언어학, 22(1), 255-279쪽 52.채춘옥(2014), 한.중 대조를 통한 완곡 표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3.최현섭(2013), 한국 금기언 조사 연구, 민속원 54.췌이펑훼이(2009), 한․중 완곡어 구성 방식의 대조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5.한신(2019), 한·중 완곡 표현의 대조 연구 -완곡 표현의 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허재영(2000), “금기어의 구조 및 발생 용인”, 사회언어학, 9, 한국사회언어학회, 193-217쪽 72 베트남어 57 Đặng Trang Viễn Ngọc(2008), Uyển ngữ tiếng Việt – trường hợp uyển ngữ trạng thái chết (có so sánh với tiếng Anh), Luận văn Thạc sĩ ngôn ngữ học, Đại học Quốc gia thành phố Hồ Chí Minh, Hồ Chí Minh 58 Đồn Tiến Lực(2013), “Về phương thức cấu tạo uyển ngữ”, Tạp chí Ngơn ngữ, 2(285) 59 Hà Hội Tiên(2014), Đặc điểm uyển ngữ tiếng Hán (có liên hệ với tiếng Việt), Luận án Tiến sĩ ngôn ngữ học,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Hà Nội 60 Hoàng Phê(2010), Từ điển tiếng Việt, NXB Từ điển Bách khoa, Hà Nội 61 Nguyễn Thị Lan Hinh(2004), Khảo sát đặc điểm uyển ngữ tiếng Hán tiếng Việt tương đương (trên liệu hai nhóm uyển ngữ chết giới tính), Luận văn Thạc sĩ khoa học ngữ văn,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Hà Nội 62 Nguyễn Thiện Giáp(2010), 777 khái niệm ngôn ngữ học, NXB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tr 473-474 64 Nguyễn Viết Toàn(2007), “Uyển ngữ cụm từ diễn đạt chết tiếng Anh”, Tạp chí Ngơn ngữ & Đời sống, 11, tr 20-24 65 Trần Thị Vân Yên(2009), Uyển ngữ tiếng Hàn, Luận văn Thạc sĩ, Đại học Quốc gia thành phố Hồ Chí Minh, Hồ Chí Minh -인터넷 사이트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스포츠한국: https://sports.hankooki.com 연합뉴스: https://www.yna.co.kr 현대불교신문: https://www.hyunbulnews.com cine21 뉴스: http://www.cine21.com ohmynews: https://www.ohmynews.com Chosun뉴스: https://chosun.com Thanh Niên: https://thanhnien.vn/ Dân Trí: https://dantri.com.vn/ Tuổi Trẻ Online: https://tuoitre.vn/ 73 부록 한국어와 베트남어 ‘죽음’에 관한 완곡어 분류 신분 왕족 한국어 베트남어 붕하다, 붕어하다, 붕하다, Băng hà(붕), thiên thu vạn 예척하다, 척방하다, 등하하다, tuế(천추만세) 선어하다, 승하하다, 안가하다, 빈천하다, 조락하다, 용어하다, 상빈하다, 훙서하다, 훙어하다, 훙거하다(Băng hà) 만세천추 (thiên thu vạn tuế), 후만세(vạn tuế) 일반사람 가다(đi), 떠나다(ra đi), 돌아가다(ra Ra đi(떠나다), mất(잃다), qua đi), 뜨다(rời khỏi, đi), đời(인생을 떠나다), 넘어지다(ngã xuống, nằm xuống) ngủ(잠들다), yên giấc ngàn , 잘못되다, 장서하다, 원서허다, thu(영면하다), rời bỏ 사거하다, 운명하다, 몰하다, gian(세상을 떠나다), nhắm 잠들다, 누워계시다, 영면하다, mắt xuôi tay(눈을 감다), từ 궂기다, 잔디찰방, 세상을 떠나다, trần(서거하다), từ giã cõi 세상과 일별하다, 불귀객이 되다, đời(세상을 이별하다), từ biệt 세상 사람이 아니다, 저세상 사람이 trần thế(이승을 하직하다), 되다, 저승에 가다, 이승을 떠나다, vĩnh viễn đi(영원히 이승을 하직하다, 유명을 달리하다, 떠나다), sang giới bên 눈을 감다, 숨지다, 숨을 거두다, kia(저승에 가다), tắt 목숨을 잃다, 고동을 멈추다, 밥 thở(숨지다), ngừng thở(숨이 숟가락을 놓다, 생명이 끊어지다, 끊어지다), trút thở cuối 천수를 다하다, 여의다, 단현 cùng(숨을 거두다), không cịn nữa(없어지다), khơng qua khỏi(못 견디다), n nghỉ(편안히 쉬다), với tổ tiên(조상에게 돌아가다), kết thúc đời(삶을 마치다), mồ côi cha mẹ(여의다), gặp I Các Mác – Lê Nin(마르크스레닌을 만나러 가다) 신분 영웅 및 열사 희생하다, 헌신하다, 목숨을 바치다, Hy sinh(희생하다), hiến 순국하다, 순직하다, 산화하다, thân(헌신하다), xả thân(목숨을 순난하다, 연생하다, 연명하다, 바치다), ngã xuống(넘어지다), 사의하다, 의사하다 nằm xuống(누워 있다), nằm lại(누워 있다) 유명인사 하세하다, 기세하다, 별세하다, 작고하다, 타계하다, 서거하다, 물고하다, 유명을 달리하다, 졸하다 어린이나 무복지상, 요절하다, 요사하다, Yểu mệnh(요절하다), đoản 젊은이 요상하다, 요수하다, 요서하다, mệnh(단명하다), bạc 요찰하다, 요촉하다, 요함하다, mệnh(박명하다) 요졸하다, 단절하다, 단명하다, 절사하다, 조졸하다, 조서하다, 조세하다, 상상하다, 중상하다, 하상하다, 횡요하다,옥절하다 종교 불교 열반하다, 열반에 들다, 열반에 Về cõi niết bàn(열반에 들다), 이르다, 극락세계로 올라가다, miền cực lạc(극락세계로 타계로 가다, 입적하다, 입연하다, 가다), viên tịch(입적하다), 입멸하다, 원적에 들다, 적멸하다, xuống suối vàng(황금시내 좌화하다, 귀원하다 물속으로 떠나다), xuống hoàng tuyền(황천에 내려가다) 기독교 천당에 가다, 천국에 가다, Lên thiên đường(천당에 하늘나라로 올라가다, 신의 올라가다), với 부르심을 받다, 소천 Chúa(하느님께 돌아오다), Chúa gọi(하느님이 부르다), gặp Chúa(하느님을 만나러 가다), theo tiếng gọi Chúa(하느님이 부르는 소리에 따라 가다) 도교 등선하다, 귀천하다, 승천하다, II Thăng thiên(승천하다), quy 승하하다, 등천하다, 우화하다, tiên(귀천하다), cưỡi hạc 우화등선하다 trời(학을 타고 하늘나라로 가다) 사망 주관적 원인 스스로 목숨을 끊다, 자살하다, Tự sát(자살하다), tự kết 자처하다, 자재하다, 자결하다, liễu(자결하다) 자폐하다, 자진하다, 투강하다, 투신하다, 불기하다 객관적 병사하다, 전병사하다, 병몰하다, Bị sát hại(살해되다) 급사하다, 급살을 맞다, 돌연사하다, 역사하다, 살해되다, 소사하다, 질식사하다, 익사하다, 수사하다, 엄사하다, 동사하다, 종사하다, 폭사하다, 분사하다, 감전사하다,아사하다, 거꾸러지다, 사망하다, 괴사하다, 천수를 다하다 기타 옥사하다, 뇌사하다, 객사하다, 괴사하다, 원사하다, 즉사하다, 속사하다, 직사하다 장례 입관되다, 관렴되다, 매장되다, Nhập quan(입관되다), an 풍속 안치되다, 관에 들어가다, 골로 táng(안치되다), chôn 가다, 관속으로 들어가다, 눈에 cất(매장되다), trở với 흙이 들어가다, 흙으로 들어가다, đất(흙으로 들어가다) 손톱 밑에 흙이 들어가다, 귀토 III ...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30 종교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38 사망 원인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42 장례 풍속에 따른 죽음에 관한 완곡어 46 한·베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공통점 및 차이점 49 한국어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 관련 여러 방면의 연구? ?? 진행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일정한 정도의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의 연구 내용은 주로 완곡어의 개념, 구성 방식, 분류 등 포함한다 특히 ‘죽음’에 관한 한국어? ?? 다른 언어의 완곡어의 대조 연구? ??서 대부분 완곡어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석하는 연구? ??다 그러나 ‘죽음’에 관한 한국어 완곡어 연구? ??서 많은... 실현 양상 19 3.1 죽음에 관한 언어적 이해 19 3.2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발생 요인 21 3.3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수사 방식 23 3.3.1 은유 23 3.3.2 환유 27 3.4 죽음에 관한 완곡어의 실현 양상

Ngày đăng: 19/04/2021, 15:18

TÀI LIỆU CÙNG NGƯỜI DÙNG

TÀI LIỆU LIÊN QUAN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