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rang chủ
  2. » Tất cả

06_%EB%B6%84%EC%84%9D%28%ED%95%9C%EC%A0%95%EB%AF%BC%29

10 3 0

Đang tải... (xem toàn văn)

THÔNG TIN TÀI LIỆU

Thông tin cơ bản

Định dạng
Số trang 10
Dung lượng 1,53 MB

Nội dung

1인 가구 증가가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산업경제분석 KIET 1인 가구 증가가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요 약 가구는 정부, 기업과 더불어 주요 경제주체일 뿐만 아니라 소비 주체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최근 국내 가구구조 변 화에서 주목해야 될 특징이‘가구주의 고령화’와‘가구규모의 소형화’이다 특히 고령화, 저출산, 만혼 등의 영향으로 소가족 화 흐름에 따라 1인 가구는 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6.4%라는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통계청은 1인 가구의 증가추세가 지 속되어 2030년에는 전체 가구의 1/3이나 차지할 것으로 전망 했다 최근에는 솔로이코노미(Solo Economy)라는 신조어가 생 길만큼 1인 가구는 새로운 소비주체로 급부상하였고 이들을 위 한 맞춤형 상품의 출시가 줄을 잇고 있다 1인당 소비지출 규모 를 주요 소비지출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1인 가구는 다인 가구 에 비해 개인화·간편화·다양화한 특성을 지닌 소비행태를 보 였다 다만 1인 가구의 가구주 연령도 점차 고령화됨에 따라 연 령별 소비성향과 패턴을 분석하여 소비주체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이·미용서비스업, 오락·문 화산업, 우편·통신서비스업의 성장이 예상되며, 고령층은 보 건·의료서비스업, 복지시설이용 산업에 대한 지출을 늘릴 것 으로 보인다 그 외 가공식품 및 외식산업, 방범 및 치안 서비스 업의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22 KIET 산업경제 산 업 경 제 분 석 머리말 가구(家口)는“현실적으로 주거 및 생계를 같 만큼 1인 가구는 새로운 소비주체로 급부상하였 이하는 사람의 집단”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진 고 이들을 위한 맞춤형 상품의 출시가 줄을 잇고 다 가구는 정부, 기업과 더불어 주요 경제주체일 있다 뿐만 아니라 소비주체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1인 가구는 주거비용 및 기본생활용품 소비 등 왔다 최근 주목할 가구구조 변화는 1인 가구의 고정비용의 지출규모가 다인 가구보다 크다 개 증가이다 1인 가구는 기존 다인(多人) 가구 중심 인을 중시하는 생활방식은 세부 항목별 소비지출 의 소비시장에 새로운 형태의 소비주체로 등장하 구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세가 며 소비구조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솔 지속됨에 따라 소비주체로서의 영향력은 확대될 1) 로이코노미(Solo Economy) 라는 신조어가 생길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인 가구를 중심으로 가 구구조의 변화 추이 및 전망과 주요 증가 요인을 1) 2012년 2월 Eric Klinenberg의“Going Solo”가 출판되면서‘솔로 이코 노미(Solo Economy)’용어가 등장하기 시작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기 업들이 이들을 겨냥한 제품을 집중적으로 판매하는 현상을 의미 살펴보고, 1인 가구의 부상이 향후 소비지출에 어 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가구구조 분석 : 1인 가구를 중심으로 (1) 가구구조 변화 추이 및 전망 증가를 들 수 있다 20대 이하와 30~50대 가구주 의 가구수는 변화가 미미한 반면, 빠른 속도로 고 우리나라의 총 가구수는 2000년 1,431만 가구 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60대 이상 가구주의 가구수 에서 2010년 1,734만 가구로 연평균 1.9% 증가하 는 2000년 277만 가구에서 2010년 440만 가구로 였다 이러한 증가세는 소폭 둔화되지만 앞으로도 연평균 4.7%가량 증가하였다 이는 총 가구수의 지속되어 2030년에는 2,172만 가구로 늘어날 전망 연평균 증가율(1.9%)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이 이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인구증가율이 감소한다 러한 증가세는 2030년까지 지속되어 2030년에는 고 알려진 것과 반대로 총 가구수가 증가하는 것 2가구 중 1가구꼴로 60대 이상이 가장(家長)일 것 은 가구구조가 1~2인 가구 중심으로 소형화됨에 으로 예상된다 기인한다 가구구조의 연령별 특징으로 노년층 가구주의 한편, 가구원수별 가구구조에서 눈에 띄는 변화 는 1인 가구의 증가이다 1인 가구수는 2000년 222 23 1인 가구 증가가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가구주 연령별, 가구원수별 가구수 추이 및 전망 만 가구에서 2010년 414만 가구로 단위 : 1만 가구, % 불과 10년 동안 2배 가까이 증가 하였다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 가 차지하는 비중도 2000년 15.5% 에서 2010년 23.9%까지 확대되었 다 이러한 증가세는 2030년까지 지속되어 2030년에는 전체 가구 의 1/3이 1인 가구일 전망이다 반 면 5인 이상 가구수는 대가족의 해 체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2000년부 터 2010년까지 연평균 3.1%의 감 소세를 기록하였고, 이러한 감소 세는 2030년까지 지속되어 2030 년에는 전체 가구에서 5인 이상 가 가구수(비중) 2010 2020 137 148 (7.9) (7.4) 1,157 1,141 (66.7) (57.4) 440 699 (25.4) (35.2) 414 588 (23.9) (29.6) 421 576 (24.3) (29.0) 759 731 (43.8) (36.8) 140 93 (8.1) (4.7) 1,734 1,988 2000 144 20대 이하 (10.0) 1,011 30~50대 (70.6) 277 60대 이상 (19.4) 222 1인 가구 (15.5) 273 2인 가구 (19.1) 744 3~4인 가구 (51.9) 192 5인 이상 가구 (13.4) 계 1,431 연평균 증가율 2030 2001~10 2011~20 2021~30 116 -0.5 0.8 -2.4 (5.3) 1,038 1.4 -0.1 -0.9 (47.8) 1,018 4.7 4.7 3.8 (46.9) 709 6.4 3.6 1.9 (32.7) 716 4.4 3.2 2.2 (33.0) 683 0.2 -0.4 -0.7 (31.4) 64 -3.1 -4.0 -3.7 (2.9) 2,172 1.9 1.4 0.9 자료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2) 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2.9%로 축 소될 것으로 예상된다.2) 차 정점을 이루는 쌍봉 패턴을 보인다 이는 혼인 과 사별에 의한 것으로 짐작된다 (2) 1인 가구 현황 및 특성 1인 가구의 교육정도는 대학 졸업 이상이 154 만 가구(37.2%)로 가장 많고, 고등학교 졸업 110 1인 가구는 지난 10년 동안 가장 높은 연평균 증 만 가구(26.6%), 초등학교 졸업 64만 가구(15.4%) 가율을 기록하며 새로운 소비주체로 급부상하고 순으로 나타났다 혼인상태는 미혼이 184만 가구 있다 따라서 이들의 소비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44.5%)로 가장 많고, 사별 121만 가구(29.2%), 이 는 1인 가구의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연령별 1인 가구 분포(2010년) 1인 가구의 가구주를 성별로 살펴보면, 2010년 기준 414만 1인 가구 중 남성은 192만 가구, 여성 은 222만 가구로 여자의 비중이 다소 높다 연령별 30 로는 남성은 28세에서 정점을 이루다가 점차 감소 20 하고, 여성은 26세에 1차 정점에 달한 후, 79세에 10 2) 가  구추계방법은 대상 인구 중에서 가구주가 되는 비율인 가구주율의 장 래 변동 수준을 추계한 후 장래추계인구에 적용하여 장래 가구를 산출 하는 가구주율법(Headship Rate Method)을 활용 24 KIET 산업경제 (%) 40 79세 28세 26세 11 21 31 41 51 남성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61 여성 71 81 91 산 업 경 제 분 석 1인 가구 가구주 연령별 가구수 추이 혼 56만 가구(13.4%), 배우자 있음 단위 : 1만 가구, % 53만 가구(12.9%) 순으로 나타났 가구수(비중) 다.3) 하지만 현재 1인 가구의 특징도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가 예상된다 20대는 2010년 78만 가구에서 2020 2000 10대 이하 20대 년 98만 가구로 늘어난 뒤 2030년에 는 오히려 82만 가구로 줄어들 것 으로 예상된다 이는 저출산의 영향 30대 40대 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30~50대는 2000년 96만 가구에서 2010년 201 만 가구로 2배나 증가하였고, 2020 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나 이후에는 증가세가 현저히 둔화될 것으로 보 50대 60대 이상 계 2010 2020 연평균 증가율 2030 2001~10 2011~20 2021~30 5 5 (2.1) (1.2) (0.9) (0.7) 51 78 98 82 (23.1) (18.7) (16.7) (11.5) 42 80 88 94 (18.7) (19.3) (14.9) (13.3) 30 63 78 81 (13.3) (15.2) (13.4) (11.4) 25 59 93 103 (11.1) (14.1) (15.8) (14.5) 71 131 225 345 (31.8) (31.5) (38.3) (48.6) 222 414 588 709 0.6 0.4 0.0 4.2 2.4 -1.8 6.8 0.9 0.7 7.9 2.2 0.3 9.1 4.7 1.0 6.4 5.6 4.4 6.4 3.5 1.9 자료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인다 60대 이상 가구주의 경우 1인 가구에서도 크게 증가하여 앞으로도 2030년까지 가하여 전체 1인 가구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할 것 연평균 5% 내외의 높은 증가율을 지속할 것으로 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현재 1인 가구는 젊은 층의 예상된다 비중으로 살펴보면, 2000년 32.0%를 차 비중이 높지만, 점차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 것 지하던 60대 이상 가구주가 2030년 48.6%까지 증 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산업계에서는 1인 가구를 전체로 묶어 파악하기보다 연령별 소비성향과 패 3)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에서 나타난 1인 가구 현황 및 특성”, 2012.12 턴을 분석하여 소비주체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1인 가구 증가 요인 1인 가구의 증가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주요 국 까? 우선, 개인주의와 자아실현의 욕구가 커지면 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우리나라 서 전통적인 결혼관이 퇴색하였고, 취업률 감소 의 경우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1인 에 따른 경제적 불안감 확대가 젊은 세대의 만혼 가구 증가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이다 을 증가시키고 있다 여성의 학력수준이 높아지 1인 가구가 급격하게 증가한 이유는 무엇일 고 경제활동 참여가 많아진 것도 초혼연령 상승에 25 1인 가구 증가가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초혼연령 및 혼인·이혼건수 추이 (세) 35 39.9 (만건) 39.8 33.2 25 20 27.8 25.3 6.8 24.8 4.6 1990 29.3 26.5 11.9 28.4 1995 2000 혼인건수 남성 초혼연령 (세) 40 32.6 31.4 30 평균수명 추이 31.8 30.9 28.9 27.7 12.8 30 20 11.7 10 2005 2010 85 79.6 80 75.5 75 70 70.7 55 67.2 58.6 1970 이혼건수 여성 초혼연령 자료 : 통계청, 가계금융조사 77.2 72.2 65.5 65 60 84 61.7 1980 1990 남성 평균수명 2000 2010 여성 평균수명 자료 : 통계청, 가계금융조사 영향을 미쳤다 우리나라의 초혼연령은 1990년 남 은 1인 가구 중 이혼 가구는 2011년 63만 가구이며, 자 27.8세, 여자 24.8세에서 꾸준히 상승하여 2010 2030년에는 2배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년 남자 31.8세, 여자 28.9세로 4세나 올라갔으며, 그 외에도 1인 가구 증가 요인으로는 고령화에 의 혼인건수는 1990년 39만 9,000건에서 2010년에는 한 평균수명 상승을 들 수 있다 앞서 60대 이상 가 32만 6,000건으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부 구주의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모세대로부터 독립한 젊은 층의 1인 가구가 늘어 는데, 이는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사별에 따른 난 것을 알 수 있다 독거 노인 가구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중·장년층의 경우 경제적 여건이나 자녀 교육 현재 한국은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 을 이유로 아내·자녀와 떨어져 혼자 사는 1인 가 른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여성의 평균수명 구와 이혼에 의한 1인 가구가 대표적인 형태이다 이 84세, 남성의 평균수명이 77.2세로 성별 수명 이혼건수의 경우 1990년 4만 6,000건에서 2010년 차이가 결국 노년층 1인 가구 증가의 또 다른 요인 도 11만 7,000건으로 급격하게 늘어났는데, 통계청 으로 분석된다 가구구조 변화와 소비지출 (1) 해외사례 동안 미국의 1인 가구 비중은 26~27%, 영국의 인 가구 비중은 29~30% 수준이며, 증가속도는 다 1인 가구 비중의 증가는 한국뿐만 아니라 주요 소 정체되고 있다 반면 독일의 1인 가구 비중은 선진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2000년 이후 10년 2010년 40% 가량을 점유하여 비교적 높은 수준의 26 KIET 산업경제 산 업 경 제 분 석 주요국 1인 가구 증가 추세 1인 가구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미국과 유럽국가 들의 경우 1인 가구의 증가는 주요 대도시권에 집 중되어 있다 뉴욕 맨하탄, 워싱턴 D.C 등의 1인 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의 50% 수준에 육박하며, (%) 타나고 있다.4) 독일 24 23 28 25 26 미국 영국 한 미국과 유럽국가들은 1인 가구에 대한 경제적 16 일본 런던, 프랑스 등에서도 미국 대도시 수준으로 나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1인 가구의 비중이 증가 한국 27 29 30 29 10 20 1990년 30 2000년 32 34 36 40 40 50 2010년 자료 : 통계청, Euromonitor 중요성을 일찌감치 인식하고 관련 산업들 역시 인 가구 증가에 대응해가고 있다 기존 다인 가족 임대의 대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1인 가구에 중심의 시장에서 1인 가구의 증가는 사람이 살아 적합한 소형 제품의 수요는 가전 및 생활용품 시장 가는 데 필요한 것들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요구 을 소형 제품과 대형 제품 시장으로 분리시켰다 했다 특히, 1인 가구의 의식주와 관련된 산업들 한국, 일본 등의 국가들은 비교적 오랜 시간에 이 새로운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1인 걸쳐 1인 가구 증가를 경험한 미국, 유럽 국가들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주택 건설 산업과 주거 관 에 비해 단기간에 빠른 증가 속도를 보이고 있다 련 서비스시장이 생성되어 소형화·고급화된 주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1인 가구의 비중이 가장 택시장이 등장하였다 고소득 1인 가구를 대상으 높은 일본은 2010년 32%나 차지하고 있으며 고 로 한 고급 주택시장이 형성되었고, 독립적인 개인 령화, 저출산, 만혼 등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였 공간을 보장하고 부엌, 거실 등을 공유하는 형태의 다 인구고령화 및 인구 규모 감소는 소비시장에 코하우징(co-housing)이 등장하였다.5) 또한 조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시간을 단축하고 간편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인 가구의 증가는 새로운 소비주체로서 소비시장 가공식품 시장이 성장하였다 더불어 소포장 형태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된다 일본 의 가공식품을 근거리에서 구매할 수 있는 편의점 은 1인 가구에 대해 재조명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 형식의 소규모 유통 체인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 는 위축된 소비시장에 생기를 불어넣을 새로운 소 다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매점 형태의 유통구조 비주체에 대한 기대감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이 성장은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식품수요의 다양화 러한 배경에는 1인 가구의 소비지출 규모 크기와 와 고급화 등에 대응하여 질적 성장도 동반하고 있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소비행태의 구조적 변화 다 그리고 가전 및 생활용품을 구매의 대상에서 가 자리하고 있다 4) CNN Money,“Solo nation: American consumers stay single”, 2012.1.25 5) KB 연구보고서(2013),“솔로 이코노미(Solo Economy) 성장과 금융산 업”,pp.6~8 참조 기본적으로 1인 가구는 주택관리 비용, 가전 및 가정용품 등의 하드웨어적 비용 측면에서 볼 때 다인 가구보다 높은 수준의 소비지출을 필요로 한 27 1인 가구 증가가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가구원수별 소비지출 규모 추이 및 전망(실질) 다 일본은 2011년 말 기준으로 1인 가구의 단위 : 조원, % 월평균 소비 규모는 다인 가구의 월평균 1인 당 소비 규모에 비해 약 1.7배 높게 나타났 다 이러한 규모의 차이는 고정비용 측면을 1인 가구 고려하여도 소비재 시장에서 부각되고 있는 2인 1인 가구의 중요성을 뒷받침하기에 모자람 3인 이 없어 보인다 또한 일본의 1인 가구는 크 4인 게 고령층과 구매력을 보유한 30~40대로 양 분되어 있어, 1인 가구의 증가는 소비행태의 구조적 변화를 이끌고 있다 고령층 독거노 인의 증가가 실버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것 이라는 예측이 어긋나면서 소비측면에서 영 향력은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경 5인 이상 민간소비 2006 16 (3.3) 45 (9.3) 90 (18.4) 165 (33.9) 171 (35.0) 487 2010 60 (11.1) 106 (19.5) 135 (24.9) 174 (32.1) 67 (12.4) 542 2015 86 (13.6) 144 (22.7) 167 (26.3) 175 (27.6) 62 (9.8) 636 2020 120 (15.9) 192 (25.4) 204 (27.0) 181 (23.9) 60 (7.9) 757 2025 156 (17.9) 244 (27.9) 238 (27.2) 181 (20.7) 56 (6.4) 874 2030 194 (19.6) 296 (29.9) 268 (27.1) 178 (18.0) 53 (5.4) 989 주 : 1) 가구원수별 소비지출자료(2006~2012)의 변화율을 이용하여 개별 가구의 소비지출 규모 추세 연장 2) 개별 가구의 소비지출액×가구수(통계청 가구전망)=전체 가구 지출액 3) 전  망자료의 통계적 정합성을 위해 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민간소비지출액 을 이용해 전체 가구의 지출액 보정 제력을 갖춘 젊은 세대의 1인 가구들은 문 가구원수별 월평균 1인당 소비지출 규모 추이 및 전망 화생활 향유, 이·미용 서비스 이용 증가 등 단위 : 천원 자신에 대한 투자에 관대하며, 의식주 측면 에서도 다양하지만 소규모의 구매행태를 보 1인 가구 a) 2006 2010 2015 2020 2025 2030 837.5 888.5 957.9 1,032.2 1,112.2 1,198.4 2인 가구 764.4 766.5 814.0 843.0 873.0 904.1 이면서 새로운 소비시장 주체로서 인식되고 3인 가구 727.0 742.3 785.9 820.7 857.1 895.0 있다.6) 1990년 이후 한국의 1인 가구 증가속 4인 가구b) 648.8 681.3 700.4 730.9 762.6 795.7 1.30 1.37 1.41 1.46 1.51 도는 미국, 일본의 경우보다 빠르게 나타나 고 있으며 향후 2030년까지 지속될 전망이 a/b 1.29 자료 : 통계청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전국, 실질) 다 이러한 급격한 증가와 선진국의 사례는 한국 유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4인과 5인 이상 가구의 의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비구조 변화의 가늠자 소비지출 규모는 각각 165조원(33.9%), 171조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35.0%)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2006년 이후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지출 (2) 가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지출 규모 및 유망 산업 전망 증가율로 인해 2010년 1인 가구의 소비지출 규모 는 60조원, 비중은 11.1%로 증가하였다 향후 1인 가구 증가가 소비측면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 1인 가구 전체의 소비지출 규모는 을 파악하기 위해, 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민간 2006년 16조원으로 전체 민간소비의 3.3%를 점 소비지출 전망치7)와 통계청에서 발표한 가구원 6)  삼성증권 보고서(2012),“가구유형변화와 소비재산업”,pp.13~14 참조 7)  이진면 외(2012) 「고령화를 고려한 중장기 산업구조전망」 참조 28 KIET 산업경제 산 업 경 제 분 석 수별 소비지출 자료 및 가구전망 자료를 이용하 할 전망이다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 규모는 여 소비지출 규모를 전망하였다.8) 전망결과에 따 2006년 84만원에서 2007년 92만원으로 증가했으 르면 2020년 1인 가구의 소비지출 규모는 120조 나,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국내 소비시장 불황 원, 전체 민간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9% 의 여파로 감소한 후, 2012년 92만원 수준으로 다 에 이를 전망이다 1인 가구의 증가추세가 지속되 시 복귀하였다 향후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 는 2030년까지 1인 가구가 민간소비에서 차지하 출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 103만원 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규모면에서 194 에서 2030년 120만원원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이 조원(19.6%)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 다 4인 가구의 1인당 소비지출 규모와 비교해보 지출 측면에서 1인 가구의 비중 증가는 1인 가구 면 2010년 1.3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2020 수의 급격한 증가와 다인 가구에 비해 비교적 높 년 1.4배, 2030년 1.5배 수준까지 증가할 전망이 은 수준의 소비지출 증가율에 기인하며, 2030년 다 1인 가구는 가구 수 증가에 따른 소비시장에 전체 민간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인(18.0%) 서의 비중 증가뿐만 아니라 개별 1인 가구의 소비 과 5인 이상(5.4%) 가구의 비중을 추월하며 20% 지출 규모 역시 증가하는 추세로 전망되어 소비시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향후 민간소비에서 1인 가 장에서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구를 포함한 소형가구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 주요 항목별 소비지출의 비중을 보면 1인 가구 이며 4인 이상 가구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감소 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항목은 주거·수 도·광열비용으로 2012년 19.0%를 차지하고 있 8)  자세한 전망방법은 의 주를 참고 으며 식료품·비주류음료, 음식·숙박 등의 항 29 1인 가구 증가가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세부항목별 소비지출 규모 비중 및 변화율 비교 목이 높은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단위 : % 반면 4인 이상 가구에서 가장 높 1인 가구 은 비중을 차지한 항목은 교육으 로 16.5%를 점유하고 있으며, 식료 품·비주류음료, 음식·숙박 등은 4인 이상 가구 2006 2012 01.식료품·비주류음료 16.0 15.0 연평균 변화율 0.5 02.주류·담배 2.0 1.8 -0.3 2006 2012 14.8 12.8 연평균 변화율 -1.5 1.3 1.0 -2.6 1인 가구와 마찬가지로 지출이 큰 03.의류·신발 5.6 6.5 3.9 6.1 6.6 2.1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통, 통 04.주거·수도·광열 18.4 19.0 2.0 8.8 9.0 1.3 05.가정용품·가사서비스 3.0 4.2 7.5 3.3 3.4 1.5 06.보건 : 의료용소모품 7.9 9.2 4.2 5.2 5.8 2.9 07.교통 11.0 9.7 -0.6 11.8 11.8 중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1인 08.통신 : 우편서비스 5.7 5.7 1.4 5.7 7.0 가구의 소비지출 규모가 주로 주거 09.오락·문화 4.3 신 등에서 4인 이상 가구의 비중이 높고 보건, 가정용품, 기타상품· 서비스 등의 지출에 1인 가구의 비 및 생활용품 등과 관련된 고정비용 항목의 지출에 따른 것으로 나타나 고 있지만, 4인 가구의 교육 관련 항목의 비중이 높은 것을 감안하면 소비시장에서 1인 가구가 점유하 -1.6 5.8 8.1 5.5 6.0 1.0 4.5 -0.7 4.9 5.7 3.3 : 영상음향기기 23.0 14.9 : 오락문화내구재 27.4 -0.7 : 장난감 및 취미용품 24.0 9.8 : 문구 -8.5 3.0 10.교육 2.0 1.2 -6.5 15.6 16.5 2.0 11.음식·숙박 15.0 12.5 -1.4 13.4 12.4 -0.4 12.기타상품·서비스 8.8 9.7 3.0 9.5 8.8 -0.1 는 중요성은 무시할 수 없을 것이 : 이·미용서비스 1.4 -5.4 다 1인 가구는 지속적인 소비지출 : 복지시설 : 기타서비스 28.2 6.5 6.6 -6.1 규모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소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 악된다 특히 오락문화내구재, 장난감 및 취미용 중은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품, 영상음향기기 등에 대한 소비지출 증가율이 소비지출 세부항목별 1인 가구와 4인 이상 가 높아 여가 및 취미활동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 구의 연평균 증감률 비교를 통해 성장가능성이 는 성향을 짐작할 수 있다 고령층의 1인 가구는 풍부한 산업분야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1인 가 기타의료서비스업, 복지시설 이용, 기타서비스업 구 안에서도 연령별 소비성향과 패턴을 파악할 등에 소비지출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 주 수 있다 젊은 층의 1인 가구는 오락·문화서비 거관련 항목의 경우 연령과 상관없이 높은 소비지 스업, 이·미용서비스업,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 출 증가세를 보여 주거와 관련된 고정비용 항목의 스업, 우편서비스업 등에서 4인 이상 가구에 비해 지출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월등히 높은 수준의 증가율을 보이는 것으로 파 30 KIET 산업경제 반면 4인 가구의 경우 교육, 문구, 의료용 소모 산 업 경 제 분 석 품 등의 지출에서 1인 가구의 증가율을 앞서는 것 태는 의식주 측면에서 개인화·간편화·다양화 으로 나타나 자녀교육 및 육아와 관련된 부분에 의 성격이 강하며 다인 가구와 확연한 차이가 있 가구의 소비지출이 지속되는 형태를 보인다 이 다 이러한 성향은 관련 산업들의 성장에도 직접 러한 세부항목별 차이를 볼 때 해외사례에서와 유 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1인 가구의 증가추세 사한 시사점에 도달할 수 있다 1인 가구 소비행 를 감안할 때 그 중요도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사점 한국 사회는 고령화, 저출산, 만혼, 혼인율 감소 공식품 및 외식산업과 여성 및 노약자를 위한 방 및 이혼율 증가 등으로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를 범 및 치안 서비스업의 수요도 확대될 가능성이 경험하고 있다 한국의 1인 가구 증가 속도는 미 크다 1인 가구 증가와 관련 산업 간의 관계를 바 국, 일본 등과 같이 일찍부터 1인 가구의 비중이 라보는 시각은 과거 다인 가구 중심의 소비구조 증가한 국가들에 비해 월등히 빠른 모습을 보이 를 바라보는 시각과는 분명히 차이가 있으며, 한 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소비주체로 국의 1인 가구의 증가가 유래 없이 빠른 속도로 진 서의 1인 가구에 대한 이해 정도는 1인 가구의 증 행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보다 신속한 이해와 대 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 응이 요구된다 만 유사한 성장과정을 경험한 선진국의 사례에 비 추어 볼 때 한국의 1인 가구 증가에 대한 분석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특히, 소 비구조 측면에서 1인 가구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 되고 있다 구매력을 갖추고 있는 젊은 1인 가구 를 중심으로 자기 홍보 및 관리를 위한 이·미용 서비스업, 자기 계발 및 여가활용을 위한 오락· 문화산업, 소비 및 구매과정 간소화 및 효율화를 위한 우편·통신서비스업 등의 성장이 예상된다 또한 고령층 1인 가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 건·의료 서비스업과 안정적인 노년 생활을 위한 복지시설 이용 등은 한층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 된다 그리고 간편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가 한정민 이용호 연구원 동향분석실 jmhan@kiet.re.kr 연구원 동향분석실 gonlee77@kiet.re.kr 31

Ngày đăng: 30/10/2020, 06:25

TÀI LIỆU CÙNG NGƯỜI DÙ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