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rang chủ
  2. » Y Tế - Sức Khỏe

bản thảo y khoa chữa bẹnh

470 32 0

Đang tải... (xem toàn văn)

Tài liệu hạn chế xem trước, để xem đầy đủ mời bạn chọn Tải xuống

THÔNG TIN TÀI LIỆU

những căn bệnh hiểm nghèo mà cho đến nay sự tác động của y hạc tuy có nhiều tiến bộ, những căn bệnh hiểm nghèo mà cho đến nay sự tác động của y hạc tuy có nhiều tiến bộ, những căn bệnh hiểm nghèo mà cho đến nay sự tác động của y hạc tuy có nhiều tiến bộ, những căn bệnh hiểm nghèo mà cho đến nay sự tác động của y hạc tuy có nhiều tiến bộ, những căn bệnh hiểm nghèo mà cho đến nay sự tác động của y hạc tuy có nhiều tiến bộ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조 미 숙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서 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의 필요성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유네스코가 선정하는 세계적 가치가 있는 귀중한 기록유산인 세계기 록유산에 등재됨으로써 그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중요한 의학서이자, 전통 식재료의 향약성 즉 식이효과에 대한 중요한 정보원이다 자연의 질서와 원리인 음양오행을 인체에 적용하여 파악 하여 한약재 및 식품소재의 약리 작용과 기능적인 성분을 음식에 응용하는 식문화는 전래부터 내 려오는 우리의 고유 식문화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우리의 최고 의학서인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이용되었던 식문화를 찾는 연구는 그 어느 연구보다 필요하고 시 급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식생활은 과학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 양생음식(養生飮食)이 발달하여 약식동원(藥 食同原)의 식생활이 보급되었으며 「동의보감(東醫寶鑑)」 역시 전문적인 약물 보다는 우리 주변에 서 자생하며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 모든 향약성 재료들을 기록하고 한글이름까지 명시하여 향약 재가 널리 이용되고 보급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타난 식재료를 발굴하 고 그 이용방법을 찾아 식품산업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257 2012 -1.indd 257 2012-05-10 3:58:21 특히, 최근에는 만성적인 비전염성질병(chronic noncommunicable disease)이 증가함에 따라 건 강지향형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로컬푸드와 네츄럴푸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21세기 새로운 음식의 컨셉으로 건강에 관한 관심증대로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음식, 약선음식, 한방음 식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우리의 의학서에 기초한 전래 식재료의 향약성을 발굴하여 식품산 업에 적용하는 것은 전통음식문화를 기반으로 한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 이라 사료된다 즉, 우리음식의 근거와 바탕을 문헌을 통해 증명하고 제시함으로서 미래의 한국식품산업의 기반 이 되는 중요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고, 우리나라 전통, 전래 조리 음식류에 관한 역사적으로 귀중 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우리 음식문화의 세계화에 있어 중요한 연구이며 더불어 향후 한국 전 통음식을 산업화하고 세계 상품화하여 수출하기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과제임에 틀림이 없다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최고의 의학서인 「동의보감(東醫寶鑑)」의 분석적 연구를 통해 「동의보 감(東醫寶鑑)」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을 체계화 하고, 또한 전래 식문화의 하나인 전통음식 에서 베어난 예방, 치료의 식문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 장수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여러 유형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음식을 제공하는 약선 활용에 이용하는 가이드라인 을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타난 식재료의 종류와 특징을 분류하여 분석한다 「동의보감(東醫 寶鑑)」에 나타난 식재료의 이용을 종류별로 정리하고 분류화하여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타 난 식재료를 체계화한다 이때 이 식재료의 특성과 효능을 같이 분석한다 이 식재료를 바탕으로 제 시된 조리방법과 가공방법을 분석하고 정리한다 즉, 밥, 죽, 미음 등의 조리방법과 그 밖에 탕, 술 등의 이용방법 등 주식류와 부식류로 다양하게 이용된 식재료 이용방법에 대해 분석하고 정리한다 각 식재료와 그 이용가공품의 효능을 치료식, 예방식 장수식 등으로 정리하고 분류한다 258 2012 -1.indd 258 2012-05-10 3:58:21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의보감(東醫寶鑑)」을 통해 나타단 당시의 우리 음식문화의 흐름을 살펴 보고 이러한 식재료들이 이용된 조리서와 비교 연구하여 당시의 식문화의 현황에 대한 접근을 시 도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래 한국음식을 기반으로 하는 우리 식품산업의 발전과 세계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새로운 식품자원 개발과 마케팅 등 광범위한 범위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 로 사료된다 또한 예방과 치료를 바탕으로 21세기 새로운 음식의 컨셉으로 자리잡고 있는 약선음 식의 기초자료를 마련할 것이다 1.3 이론적 배경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중국 의학의 이론을 완전히 흡수하고 여기에 금(金)과 원(元)의 의학에 우리 의술과 약재를 합하여 만들었으며 특히 실용성을 중요하게 생각한 의서이다 그 내용은 내경 편(內景篇 ; 내과), 외형편(外形篇 ; 외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비뇨기과), 잡방편(雜病篇 ; 병 리학, 진단학, 대증료, 구급법, 전염병과, 부인병과, 소아과), 탕액편(湯液篇 ; 임상 약물학), 침구편 (鍼灸篇 ; 경혈부위와 침구요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적인 약물보다는 우리 주변에서 자생하 며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 향약성 재료들을 기록하고 한글이름까지 명시하여 향약재가 널리 이용 되고 보급되도록 하였다(대한한의사협회 1993) 한국 식생활의 규범정립기인 조선시대는 세조의 명으로 「농사직설(農事直設)」(1429년)이 편찬 되어 농업기술과 농가생활의 향상에 기여하게 되고, 지리서의 간행으로 각 지방의 산물과 풍토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의학과 약학의 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윤서석, 1992) 특히 선조는 임 진왜란이 끝난 후 질병의 치료 및 향약(鄕藥)연구와 보급을 위하여 국가사업으로 「동의보감(東醫 寶鑑)」을 저술하도록 하였다 허준(1546∼1615)이 「동의보감(東醫寶鑑)」저술에 착수한 것은 1596년이다 처음에는 정작(鄭 碏), 양예수(楊禮壽), 이명원(李命源), 김응탁(金應鐸), 정예남(鄭禮南) 등이 동참하도록 하였으나 1597년 왜적의 재 침략인 정유재란으로 인해 그들은 모두 흩어지고 허준 혼자서 15년간의 연구 끝 에 탄생한 것이 「동의보감(東醫寶鑑)」이다 이「동의보감(東醫寶鑑)」이 완성된 시기는 1610년이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259 2012 -1.indd 259 2012-05-10 3:58:21 며 1613년에는 이정구(李廷龜)가 서문을 쓰고 내의원에서 목활자로 간행하였다(봉성기, 2009) 선조 께서 허준(1546~1615)에게 책을 만들도록 하교할 때 한 대목을 인용하면 “대저 사람의 병이 다 조 섭을 잘못하여 생기는 것이나 수양이 먼저이고 그 다음이 약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향약이 많이 나 되 사람들이 알지 못하고 있으니 옳게 분류하고 약 이름에 우리나라 이름을 같이 써서 백성들로 하 여금 알기 쉽게 할 지어다”라고 하였다 한다 이 책은 내과에 관계되는 내경편(內經篇) 4권, 외과에 관한 외형편(外形篇) 4권, 유행성병·급성 병·부인과·소아과 등을 합한 잡병편(雜病篇) 11권, 약제학·약물학에 관한 탕액편(湯液篇) 3권, 침구편(鍼灸篇) 1권, 목차편 2권, 계 25권으로 되어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서지사항은 1613년(광해군 5) 내의원(內醫院)에서 훈련도감의 개주갑인자( 改鑄甲寅字)로 간행하였는데, 이밖에도 호남관찰영 전주장본(全州藏本), 영남관찰영 대구장본, 갑 술 내의원 교정 영영개간본(嶺營改刊本 : 순조 14, 1814), 갑술 내의원 교정 완영중간본(完營重刊本) 등이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 되어 있으며, 1986년에 태학사(太學社)에서 1613년의 활자본 및 그 이후의 중간본을 탕액편(湯液編) 만 모아 영인한 적이 있다 초간본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서지사항 표제/저작자사항 東醫寶鑑 / 許浚(朝鮮) 奉敎撰 판사항 木活字本(內醫院字) 발행사항 [漢城] : 內醫院, 光海君 5(1613) 冊1-25 / 內景篇4卷4冊, 外形篇4卷4冊, 雜病篇11卷11冊, 湯液篇3卷3冊, 鍼灸篇1 형태사항 卷1冊, 目錄上,下2冊, 共25冊 ; 四周雙邊 半郭 27.6 x 17.9 cm, 有界, 10行21字註 雙行, 內向3葉花紋魚尾 ; 36.6 x 22.0 cm 印出記 內賜記 序 萬曆四十一(1613)年十一月日內醫院奉敎刊行 萬曆四十二(1614)年二月日內賜東醫寶鑑一件五臺山上 左承旨臣李[手決] 萬曆三十九年辛亥(1611) 李廷龜 260 2012 -1.indd 260 2012-05-10 3:58:21 17세기 동아시아 의학을 집대성하여 지금까지 의학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계적 으로도 의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2009년 7월 31일 유네스코에서 「동의보감(東醫寶 鑑)」이 담은 시대정신과 독창성, 세계사적 중요성 등의 가치를 인정하여 1613년 허준이 간행에 직 접 관여한 초판 완질본(보물 제1085호·제1085-2호)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였다 한국의 7번 째 세계기록유산이며, 의학서적으로는 처음으로 등재되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이 출간된 지 근 400년이 되었으나,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아직도 우리의 현실 속에서 살아 숨 쉬고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의학사적 가치를 고찰해 보면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정(精), 기( 氣), 신(神)을 바탕으로 새로운 질병 분류의 체계를 세웠으며, 양생법(養生法)을 강조하여 질병의 치 료보다 예방을 중시하였고, 실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사람의 체질에 맞는 맞춤의학을 도입하였으 며, 또한 애민사상을 구현하여 의학의 범주를 서민들을 위한 민중의학으로 확대하였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정신 때문에 「동의보감(東醫寶鑑)」은 조선의 의학을 하나의 독립된 의학의 반열에 올 려 놓았으며 출간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한의학의 경전으로 추앙받고 있다(원진희, 2010) 「동의보감(東醫寶鑑)」에 관한 선행연구 가 한의학분야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선행연구 우리나라 최고 의서인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미 많은 분야에 걸쳐 이루어 져 왔다 특히 한의학에서는 본초의 방제에 관한 연구, 처방에 관한 통계학적 및 문헌적 연구, 분류 학적 연구 등 많은 학자들이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박양구 외 3인은 오미자가 주약으로 배오된 방제 47처방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해수·허로·상 한·옹저 외 11개의 병에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2005) 오미자가 주약으로 배오된 방제의 병 증·병리는 폐허, 폐위허, 비폐허, 신허, 방광허한, 허한, 심허, 위열, 상한, 상풍, 허로 등으로 조사 되었다 최용선·이장천은 천문동이 주약으로 배오된 처방에 대한 고찰을 통해 천문동이 허로문, 해수문 등 11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고, 해수를 비롯한 심폐질환, 허약질환 및 자윤청열지제로 가 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고 하였다(2006) 병인·병리로는 수화불제, 사려상심, 음허화동, 혈허, 심신 부족, 심비허열, 기혈 부족이 있다고 하였다 김창민·이장천은 오약이 주약으로 배오된 방제의 활 용에 대한 고찰에서 오약이 15개의 치료 영역에서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2005) 그 중 중풍문이 가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261 2012 -1.indd 261 2012-05-10 3:58:22 장 많았는데, 중혈맥, 중부, 중장증을 비롯한 31개 병증에서 활용하고 담음, 어혈, 부기, 부족의 병 리에 활용하였음을 연구하였다 이 밖에도 기호필이 동의보감 중 산약이 주약으로 배오된 방제의 활용에 대한 고찰(2008), 유승 훈은 동의보감 중 지각이 주약으로 배오된 방제의 활용에 대한 고찰(2006), 조내진의 동의보감 중 갈근이 주약으로 배오된 처방의 방제학적 고찰(2003), 이기옥·황기명·윤용갑의 향부자가 주약으 로 배오된 방제의 활용범위, 병리, 주치분류 및 구성내용 조사(2000), 임창경·윤용갑의 동의보감 에 수록된 홍화가 배오된 처방에 대한 방제학적 고찰(2000) 등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 기록된 방제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많이 행해져 왔다 강경화 외 3인은 땀에 대한 형상의학적 고찰을 「동의보감(東醫寶鑑)」 중심으로 연구하였는데 땀의 발생 원리와 증상 및 진단, 치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형상의학적 관점에서의 남녀, 정기신혈, 오장육부, 육경형, 담·방광체의 땀의 개념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2003) 이상원·김현정·김진숙은 「동의보감(東醫寶鑑)」과 제중신편에 기재된 처방중 수치대황의 종 류와 효능에 대한 고찰을 하였는데 21종류의 대황을 찾아 대황의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안 전하게 처방하는 것에 대해 제시하였다(2003) 강혜영은 「동의보감(東醫寶鑑)」 내에서 보중익기 탕의 활용에 대한 고찰에서 보중익기탕과 그 가감법을 찾아 이를 기혈운화, 소화작용, 하초 등에 활 용되는 예로 분류하여 활용되는 것을 연구하였다(1992) 이 밖에도 치료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는데, 이주혜·이용범의 동의보감의 소양병에 대한 고찰(2006), 김지윤의 동의보감에 근거한 두통 환자에 관한 임상적 고찰(2006), 이준무·지준환의 동의보감의 복통분류에 따른 침구치료의 문헌연구 등의 많은 연구가 행해졌다(2005) 박경련은 동 의보감의 서지학적 연구에서 허준의 생애를 재조명하고 대표적 의서 동의보감의 다양한 판본들을 서지학적인 관점에서 조사·분석하였다(2009) 권학철·박찬국은 동의보감을 통한 허준의 의학사상에 관한 고찰에서 허준의 의학사상과 도교 의 철리를 원용하였고 질병의 치료에 있어서는 내경의 본지에 근간을 둔 동의보감의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1993) 또한 동의보감에 인용되어 있는 서적의 종류 외 빈도수를 조사·연구하였다 허 진·홍원식은 동의보감의 변증에 관한 연구에서 변증논치사상의 발전 과정을 알기 위해 「동의보 감(東醫寶鑑)」의 잡방편과 민족의학사상 중요한 위치에 있는 「향약집성방」을 비교·연구하였 다(1990) 주영승은 동의보감에 수록된 한약재에 대한 연구에서 수록된 한약물을 조사하였는데 총 666종으 262 2012 -1.indd 262 2012-05-10 3:58:22 로 식물 414종, 동물 174종, 광물 49종, 기타 29종이었다고 한다 약물의 이용부위 및 방법 등에 따 른 증가로 식물 657류, 동물 426류, 광물 49류, 수류 18종, 주류 34종, 인부 24류, 기타 25종으로 총 1233류이었다고 한다(1990) 이 밖에 지명순·윤창열의 「동의보감(東醫寶鑑)」 단방처방 중 식재 료 활용에 관한 양념류 중심의 연구(2010), 노주희 등의 동의보감을 통한 식적에 대한 고찰(2009), 이병욱 등의 인터넷상 동의보감 방제의 약물구성 계보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2008), 박석준에 의해 동아시아 전근대 의학과 동의보감의 역사적 성격 등에 관한 연구가 행해졌다(2005) 나 식품영양학분야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선행연구 식문화에 있어 「동의보감(東醫寶鑑)」과 관련된 연구는 199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하여 동아시 아식생활학회지와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를 통해 발표되어 오고 있다 매우 제한된 범위 내에서 연 구되고 있다 이정숙은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의 오미자의 효능을 고찰하였다(1995) 신민자·최영진은 임원십육지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전통음료의 향약성 효과에 관한 고찰에서 임원십육지 음청류의 종류와 재료, 특징을 살펴보고 여기에 사용된 재료와 향약성 효과를 조선시대의 대표적 의학서인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록된 효능과 이용형태를 비교하면서 음청류의 향약성 효과를 살펴보 았다(1998) 신민자·최영진은 「규합총서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향약성 효과에 관한 고찰」에서 규합총서의 한국 전통음식 중 주·부식류의 종류, 음식명, 재료 및 사용빈도를 살펴보고 여기에 사 용된 재료의 향약성 효과를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의학서인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록된 효능 과 이용형태를 비교하면서 주·부식류의 향약성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1999) 최영진(1998)은 「동의보감을 통해서 본 어류의 향약성 효과에 관한 문헌적 고찰」에서 동의보감 에 수록된 효능과 이용형태를 살펴보고 그 시대의 조리서에 수록된 어패류를 이용한 요리형태를 비 교하면서 어패류의 향약성 식이효과를 살펴보았다 신민자 등 2인은 「동의보감(東醫寶鑑)」 탕액편(湯液編)에 수록된 과실류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그 당시 어떤 과실류를 식용이나 약용하였는지 또한 건강이나 질병치료를 위하여 어떻게 이용하였 는지 살펴보았다(2000) 신민자 등 2인은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전통음식의 향약성에 관한 고찰」 에서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한국 전통음식 중 주·부·후식류의 종류, 음식명, 재료명 및 사용빈도 를 살펴보고 여기에 사용된 재료의 향약성을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의학서이며 음식디미방과 동시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263 2012 -1.indd 263 2012-05-10 3:58:22 대에 쓰여진 동의보감 및 조선시대 말엽의 저서인 임원십육지에서 살펴보아 생활속의 약식동원의 개념을 고찰하였다(2001) 백은숙은 동의보감에 수록된 곡물의 향약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의 전통 식생활에서 주식의 재료로서 이용되어 온 곡물의 향약성 즉 식이효과를 고찰하여 현대인의 건강한 식생활을 이룩하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동의보감 탕액편(湯液編)의 곡부에 곡물의 종류와 특성, 이용 방법 및 치료효과 등을 고찰하였다(2004) 차경희·송윤진·이효지는 채소류의 기미론이라고 하여 약식동원의 임원십육지 정조지 중 식감 촬요의 채류와 동의보감 탕액편(湯液編) 중 채부에 수록된 채소류의 종류와 성질, 맛 그리고 효능과 부작용을 비교 고찰하였다(2006) 또 차경진·송윤진은 과일류의 기미론에서 동의보감 탕액편(湯 液編)과 임원십육지 정조지 중 식감촬요에 기록된 과일류를 기미론에 근거하여 기능성을 검토하고, 건강식의 개념인 약식동원을 식생활에 적용하고자 하였는데, 동의보감 과부와 임원십육지의 과류 에 기록된 과일들을 먼저 분류하여 그 종류와 수량을 파악한 다음 과일의 성질과 맛을 기미론에 입 각하여 오기와 오미를 비교하였다(2006) 또한 두 문헌에 기록된 과일류의 효능과 부작용을 한의학 서적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 본 결과 고문헌에 대한 접근과 해석에 대한 어려움, 연구를 위한 시간과 노 력 그리고 인내심이 타 분야의 연구에 비해 몇 배 이상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는 만큼 적은 수의 논 문들이 발표되고 있었다 식문화 분야에 있어서 「동의보감(東醫寶鑑)」 연구는 1990년대 후반 이 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약선 약(藥)은 동서를 막론하고 인류가 숙명적으로 받아들어야 할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찾아 낸 귀중한 산물이었고 시대의 변천과 더불어 지식의 축적과 함께 발전 하였다 약선의 정의를 설명 하면 “음식을 약이 되게 그 기능을 살린 먹거리를 약선(藥膳)”이라 하며 동양의학의 약식동원(藥 食同源)이나 의식동원(醫食同源)사상에 근거하여 식품의 특성이 가지고 있는 영양적 특징과 약선( 藥膳)의 식료로 사용되어 왔던 한방재료의 기능적 특징을 조화시켜 만든 음식이라 할 수 있다(정구 점 등, 2005) 여기서 약선(藥膳)이란 “약이 되는 먹거리”라는 뜻으로서, 요즘 말로하면 ‘기능성 식품’ 또 264 2012 -1.indd 264 2012-05-10 3:58:22 는 ‘건강식품’으로 얘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다는 인간의 욕망에서 나 온 중국의 오랜 식문화에서 발생된 한방요리로서 ‘약식동원(藥食同源) 또는 의식동원(醫食同源)이 라는 동양전통의학의 사상과 이론에 근거하여 식품이 가지고 있는 기능적 특징과 한약재의 기능적 특징을 조화시켜 식도락을 즐기면서, 질병을 예방하고, 체질을 개선하는 전통적인 건강식내지는 영 양식’을 말한다 (차석빈 등, 2003) 한국의 약선(藥膳)은 동양의학 사상을 바탕으로 각 지방마다 지형적 특성으로 인한 기후, 토양, 수질에 맞는 풍부한 농축산물과 한약재 재배와 그를 이용한 향토음식 및 가공식품을 이용하면서 음 양(陰陽)과 기혈(氣血)을 보할 수 있는 각종 보양식들이 발달하였다 조선시대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東醫寶鑑)」의 목초비방 편에는 대수롭지 않은 풀이나 열매, 꽃, 과일 등과 매일 먹는 식품 등이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에 이용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고, 풀뿌 리와 나뭇잎 등의 한약재와 식품을 처방에 따라 복용하면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가르쳐 주고 있다 또한 황도연이 저술한 부방편람과 고종 22년에 간행한 방약합편은 약제와 식품으로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 문헌으로 현재까지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강명숙, 2002) 한국에서 약선(藥 膳)이란 용어는 몇 년 전 까지만 해도 한국인에게 생소하게 들렸지만 “약선(藥膳)=보양요리=한방 요리”가 조선시대까지는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 후 일본의 식민지, 해방, 6·25동란 등의 격동기를 겪으면서 그 일부만이 민간요법으로 이어 져 오다가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우리 음식문화를 재발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이성우외 33 인, 1988) 근래 지금까지도 각종 대중매체를 통해 약선(藥膳)에 관한 서적들이 출간되고 약선(藥膳) 에 대한 소개가 많이 이루어져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므로 훌륭한 개발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구성자, 2000) 약선(藥膳) 관련 선행연구를 보면 약선(藥膳) 자료의 부족으로 보다 깊이 있는 이론적 배경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약선(藥膳) 관련 논문들이 약선(藥膳)을 이용한 메뉴들의 전반적인 개발전략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약선(藥膳)에 관한 선행연 구들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이영경 등 2인은 우리의 식생활과 대장암이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는 점과 우리의 식생활이 생명 유지를 위해 필요한 식품의 개념을 넘어서 건강을 유지하고 더 크게는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개선되고, 약리효과를 기대하는 영역으로까지 점차 그 범위를 넓히고 있다는 점을 착안해 일반식 품 및 약선(藥膳) 요리들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한약재 20여종의 유발효소 억제효과를 조사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265 2012 -1.indd 265 2012-05-10 3:58:22 하고자 하였다(1997) 구성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식품의 새로운 기능을 추구하는 시대적, 필 연적인 추세가 되고 있음을 약선(藥膳)의 발전과정에서 알 수 있으며, “식품”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것이고, 질병을 치료하는 일은 “약”의 몫이라는 생각이 21세기에는 바뀌어야 한다고 하였다(2000) 이에 우리나라의 건강과 관련된 음식문화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나아가 우리 선조들 의 지혜가 담긴 식양·식료(食養·食療)의 원칙을 계승 발전시켜 보다 나은 식문화의 재창조가 있 어야 한다고 하였다 안문생은 동양의학에서의 음식의 의미와 약선(藥膳) 식료학의 정의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기미론 에 기초하여 고추와 마늘의 효능과 치료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2002) 강명숙은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식생활에서 소외받고 있는 계층인 노인의 질병예방 및 직·간 접적인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약선(藥膳)요리 메뉴의 개발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2002) 약 재에 대한 기본적인 거부감이 없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약선(藥膳) 메뉴개발과 대중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박건태·김도완은 국내 도입단계에 있는 약선(藥膳)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중국약선(藥膳)의 이론적 배경과 정의, 약선(藥膳)의 응용방법 등을 중국 약선(藥膳) 관련 서적을 통해 살펴보는 것으 로, 국내에서의 약선(藥膳), 즉 한방요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2003) 나정기는 약이적 효능과 식이적 효능의 조합에서 발생하는 제 3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인 규명의 부재로 인하여 소위 약선(藥膳)요리 또는 한방 요리에 대한 대중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는 점을 전제로 한약재가 가지고 있는 각 효능의 조합을 통해 효능별 약선(藥膳) 메뉴를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메뉴개발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2004) 한애리(2005)는 약선(藥膳)에 대한 한의학적 약선(藥膳) 배약으로 약선(藥膳)의 사인시선과 치법 에 따른 약선(藥膳), 약선(藥膳)의 포제, 약선(藥膳)에 상용되는 약물과 식물의 성질에 따라 요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약선(藥膳) 요리의 한 단계 발전한 한의사의 연구로 중의학의 치선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김호는 400년에 걸친 전약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전약 맛의 변화를 야기한 요인이 무엇인지, 그 리고 20세기 초에 사라진 이유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2005) 복혜자·이귀주·송지은은 약선(藥膳)음식에 적용되는 전통제질이론인 음양오행론과 사상체질 및 기미론을 살펴보고 약선(藥膳) 음식 개발에 있어 이러한 이론의 적용 한계점 및 적용 가능성에 266 2012 -1.indd 266 2012-05-10 3:58:22 ● 호작 재 료 명 호작(蒿雀, 촉새)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새[禽部] 처 甘 맛 독 성 無毒 효 능 먹으면 양기를 더해준다 성 재료이용 - 비 고 쑥밭에서 사는데 다른 새보다 맛이 좋다 원 문 질 溫 쵹새性溫味甘無毒食之益陽道似雀靑黑在蒿間食之美於諸雀 ● 호초(胡椒, 후추) 재 료 명 호초(胡椒, 후추) 출 외형편(外形篇) > 가슴(胸) > 단방(單方) 처 - 맛 성 독 성 - 효 능 가슴과 배가 냉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재료이용 술에 달여 즙을 내어 먹는다 비 고 - 원 문 止心腹冷痛酒煮取汁服之 질 - 질 溫 ● 호총 재 료 명 호총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채소[菜部] 처 辛 맛 성 독 성 無毒 효 능 속을 따뜻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시키며, 기를 내리고 벌레를 죽이지만 오랫동안 먹으면 정신을 손상시킨다 재료이용 비 고 생김새는 마늘과 비슷하나 작고, 모양은 둥글고 껍질은 붉은데 약간 길고 뾰쪽하 다 음력 5-6월에 캐는데, 이것 역시 향기가 나는 채소이다[본초] 맛은 파와 비슷하나 몹시 맵지는 않다 요즘 자총이라고 하는 것이 이것인 것 같다 원 문 性溫味辛無毒溫中消穀下氣殺虫久食傷神損性○其狀似大蒜而小形圓皮赤稍 長而銳五六月採亦是葷物耳 ○味似蔥而不甚辛疑是今之紫蔥也 712 2012 -2.indd 712 2012-05-10 10:27:02 ● 화어 재 료 명 화어(대구)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물고기[魚部] 처 鹹 맛 독 성 無毒 효 능 먹으면 기를 보해준다 성 질 平 재료이용 비 고 장(腸)과 기름의 맛이 더욱 좋다 동북해에 산다 속칭 대구어라고 한다 원 문 대구性平味醎無毒食之補氣腸與脂味尤佳生東北海俗名大口魚 ● 환육 재 료 명 환육(너구리고기)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처 甘 맛 성 질 - 독 성 - 효 능 - 재료이용 - 비 고 가죽으로는 갖옷을 만든다 원 문 디구리고기主小兒疳瘦啖之殺蛔虫○俗名山獺毛微灰色嘴尖黑尾短闊○ 山狗卽貛也味甘美皮可爲裘 ● 황기 재 료 명 황기 출 잡병편 (雜病篇) > 옹저(癰疽) - 하 > 단방(單方) 처 - 맛 성 질 - 독 성 - 효 능 옹저와 오랬동안 진물러 있는 헌데를 치료하여 고름을 배출시키고 통증을 멎게 한다 재료이용 진하게 달여서 먹는다 비 고 음증창양을 내탁하기 위해서 꼭 써야 할 약이다 원 문 治癰疽久敗瘡排膿止痛濃煎服之內托陰證瘡瘍必用之藥也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713 2012 -2.indd 713 2012-05-10 10:27:02 ● 황기 재 료 명 황기 출 잡병편 (雜病篇) > 허로(虛勞) > 단방(單方) 처 - 맛 성 질 - 독 성 - 효 능 허로로 몸이 여윈 것과 여러 가지 허손증을 보하며, 허화를 내려준다 재료이용 썰어서 꿀물에 축여 볶아서 달여 먹는다 비 고 - 원 문 補虛勞羸瘦諸虛不足能瀉虛火剉蜜水炒煎服 ● 황갈후 재 료 명 황갈후(黃褐侯, 염주비둘기)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새[禽部] 처 甘 맛 독 성 無毒 효 능 의루(蟻瘻), 악창에 쓴다 성 질 平 재료이용 구워서 먹으면 대단히 맛있다 비 고 비둘기 비슷하고 녹갈색을 띤다 원 문 호도애性平味甘無毒主蟻瘻惡瘡灸食極美形如鳩作綠褐色 ●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재 료 명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출 내경편(內景篇) > 정(精)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정과 골수를 채워준다 재료이용 양념을 넣고 푹 삶아서 빈속에 먹는다 비 고 - 원 문 塡精髓和五味煮熟空心食 성 질 - ●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재 료 명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출 내경편(內景篇) > 기(氣) > 단방(單方) 처 714 2012 -2.indd 714 2012-05-10 10:27:03 - 맛 독 성 - 효 능 기를 도와주고 양기를 보해준다 재료이용 양념을 잘하여 푹 삶아서 먹는다 비 고 - 원 문 益氣補陽氣和五味煮熟食之 성 질 - 질 - 질 - 질 - ●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재 료 명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출 잡병편 (雜病篇) > 허로(虛勞) > 단방(單方) 처 - 맛 성 독 성 - 효 능 오로칠상으로 허한 것을 크게 보해준다 재료이용 양념을 넣어 고기를 푹 삶아서 먹는다 비 고 - 원 문 補五勞七傷大能補益和五味煮極爛熟食之 ●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재 료 명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출 내경편(內景篇) > 위부(胃腑)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위를 보하고 장위벽을 두껍게 해준다 성 재료이용 푹 삶아서 먹거나 포를 만들어서 구워 먹는다 비 고 - 원 문 補胃厚腸胃煮爛食或作脯灸食 ●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재 료 명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출 내경편(內景篇) > 삼초부(三焦腑)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성 -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715 2012 -2.indd 715 2012-05-10 10:27:03 효 능 하초를 실하게 해준다 재료이용 푹 삶아서 양념을 하여 먹는다 비 고 - 원 문 實下焦煮爛和五味食之 ●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재 료 명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출 외형편(外形篇) > 허리(腰) > 단방(單方) 처 - 맛 성 질 독 성 - 효 능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여 통증을 멎게 한다 재료이용 깨끗한 고기를 양념하여 푹 삶아서 빈속에 먹는다 비 고 - 원 문 煖腰膝止痛取淨肉和五味煮熟空心食之 - ●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재 료 명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출 외형편(外形篇) > 맥(脈)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혈맥을 보하여 준다 성 재료이용 양념을 잘 하고 푹 삶아 빈속에 먹는다 비 고 - 원 문 補血脉和五味煮爛空腹食之 질 - 질 - ●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재 료 명 황구육(黃狗肉, 누렁이 고기) 출 외형편(外形篇) > 뼈(骨)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골수를 채워준다 재료이용 푹 삶아 먹는다 비 고 - 원 문 塡骨髓爛煮食之 성 716 2012 -2.indd 716 2012-05-10 10:27:04 ● 황단 재 료 명 황단(黃丹)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쇠돌[金部] 처 - 맛 독 성 - 효 능 - 성 질 - 재료이용 약에 넣을 때는 닦아 빛이 자줏빛으로 변한 다음 곱게 갈아서 두 번 수비하여 쓴다 비 고 연을 달구어 단을 만드는데 그 빛이 누렇기 때문에 황단이라 한다 원 문 ○炒鈆作丹其色黃故曰黃丹入藥炒令色變爲紫色細硏水飛二遍用之 ● 황련(黃連) 재 료 명 황련(黃連) 출 내경편(內景篇) > 신(神)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 성 질 - 재료이용 가루를 내어 꿀물에 1돈씩 타 먹는다 비 고 - 원 문 主驚悸煩躁淸心熱爲末蜜水點服一錢或作丸服之亦佳 ● 황련(黃連) 재 료 명 황련(黃連) 출 외형편(外形篇) > 입과 혀(口舌) > 단방(單方) 처 - 맛 성 질 - 독 성 - 효 능 입안과 혀가 헌 것을 치료한다 좋은 술에 달여서 즙을 취하여 입에 머금었다가 넘기면 곧 낫는다 재료이용 - 비 고 - 원 문 治口舌生瘡以好酒煮黃連取汁呷下立愈 ● 황벽(黃蘗, 황벽나무껍질) 재 료 명 황벽(黃蘗, 황벽나무껍질) 출 잡병편 (雜病篇) > 황달(黃疸) > 단방(單方) 처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717 2012 -2.indd 717 2012-05-10 10:27:04 - 맛 독 성 - 효 능 황달을 치료한다 재료이용 물에 달여서 먹는다 비 고 - 원 문 主黃疸水煎服之 성 질 - 질 - ● 황서 재 료 명 황서(黃鼠, 족제비)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짐승[獸部] 처 - 맛 독 성 - 효 능 - 성 재료이용 태워서 먹는다 비 고 네 개의 발은 산기(疝氣)가 치밀어 오른다 원 문 죡져비卽鼠狼也肉作末療瘡瘻久不合付之卽效○四足主疝氣上衝燒灰服 ● 황우뇌수(黃牛腦髓, 누런 소의 골수) 재 료 명 황우뇌수(黃牛腦髓, 누런 소의 골수) 출 외형편(外形篇) > 머리(頭)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편두통, 정두통을 치료한다 성 질 - 재료이용 소의 골수 1마리 분을 취해 백지, 천궁가루를 각각 3돈씩 넣고, 같이 사기그릇에 담은 다음 술을 붓고 푹 달여서 따뜻할 때 실컷 먹고 취했다가 깨어나면 병이 씻 은 듯이 낫는다 비 고 - 원 문 治偏正頭痛取髓一箇入白芷川芎末各三錢同入磁器內加酒煮熟乘熱服之盡量 一醉醒後其疾如失 ●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재 료 명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출 외형편(外形篇) > 살(肉) > 단방(單方) 처 맛 - 성 질 - 718 2012 -2.indd 718 2012-05-10 10:27:05 독 성 - 효 능 몸이 여위어 침상에 누워만 있는 것을 치료하여 살찌게 해준다 재료이용 잘 풀어지도록 국을 끓여 먹으면 대단히 좋다 비 고 - 원 문 治羸瘦着床能肥人煮爛作羹服甚良 ●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재 료 명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출 내경편(內景篇) > 대변(大便)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적백리와 구리를 치료한다 성 질 - 재료이용 1마리를 잡아 보통 먹는 것처럼 손질하여 국을 끓여서 늘 먹는다 비 고 장활로 인한 이질에는 1마리를 잡아 보통 먹는 것처럼 손질하여 불에 구운 다음 소금과 식초를 치고 또 구워 말려서 빈속에 먹는다 이것을 자계산이라고 한다 원 문 治赤白久痢取一隻治如食法作羹常食之○腸滑下痢取一隻治如食法火灸鹽醋 刷之又灸令燥空腹食之名灸鷄散 ●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재 료 명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출 내경편(內景篇) > 5장(五臟)과 6부(六腑)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오장을 보해준다 재료이용 푹 삶아서 양념을 잘하여 먹는다 비 고 - 원 문 補益五藏爛煮和五味食之 성 질 - 질 - ●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재 료 명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출 내경편(內景篇) > 위부(胃腑)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성 -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719 2012 -2.indd 719 2012-05-10 10:27:05 효 능 위를 보해준다 재료이용 푹 삶아서 국을 끓여 먹는다 비 고 - 원 문 補胃煮爛作羹食 ●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재 료 명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출 잡병편 (雜病篇) > 내상(內傷) > 단방(單方) 처 - 맛 성 질 - 독 성 효 능 주로 비위가 허약하여 음식을 잘 먹지 못하고 얼굴빛이 누렇게 된 것을 치료한다 재료이용 닭고기 5냥, 밀가루 7냥, 총백(썬 것) 2홉 등으로 만두를 만들어 양념을 넣고 삶아 먹는다 비 고 - 원 문 主脾胃虛弱少食萎黃鷄肉五兩白麪七兩葱白二合切和作餛飩入五味煮熟食之 ●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재 료 명 황자계(黃雌鷄, 누른 암탉) 출 잡병편 (雜病篇) > 허로(虛勞)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허로를 치료하고 비위를 보해준다 성 재료이용 1마리를 잡아 양념을 넣고 푹 삶아 먹는다 비 고 - 원 문 補勞劣益脾胃依上法煮食 질 - 질 平 ● 황자계육 재 료 명 황자계육(黃雌鷄肉, 누런 암탉의 고기)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새[禽部] 처 甘 맛 독 성 無毒 효 능 - 성 720 2012 -2.indd 720 2012-05-10 10:27:05 재료이용 - 비 고 - 원 문 누른암性平(一云溫)味甘(一云酸)無毒主消渴小便數腸辟泄痢補益五藏 添髓補精助陽氣煖小腸○色黃又脚黃色者佳 ● 황정 재 료 명 황정(黃精, 둥굴레 뿌리)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풀[草部]-상 처 甘 맛 성 질 平 독 성 無毒 효 능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우며,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오로칠상을 보하고 근골을 튼 튼하게 하고 비위를 보하며 심폐를 윤택하게 해준다 재료이용 뿌리와 잎, 꽃, 씨 등을 다 먹을 수 있다 약으로는 생것을 쓰는데, 만약 오랫동안 두고 먹으려면 캐어 먼저 물에 우려서 쓴 맛을 빼버리고 아홉번 찌고 아홉번 말려 쓴다 비 일명 선인반(仙人飯)이라고도 한다 음력 3월에 싹이 돋아서 키는 1-2자이고, 잎 은 대나무잎 같으나 짧고 두 개씩 마주 나온다 줄기는 부드럽고 연한데 복숭아나 무 가지와 거의 비슷하고, 밑은 누렇고[黃] 끝은 붉다 음력 4월에 푸르고 흰빛의 잔 꽃이 피며, 씨는 희며, 기장과 닮았고, 씨가 없는 것도 있다 뿌리는 풋생강 비 슷한데 황색이다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황정은 태양의 정기를 받은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평안도에만 있어서 평상시에 공물로 바쳤다 고 원 문 듁댓불휘性平味甘無毒主補中益氣安五藏補五勞七傷助筋骨益脾胃潤心肺○一 名仙人飯三月生苗高一二尺葉如竹葉而短兩兩相對莖梗柔脆頗似桃枝本黃末 赤四月開細靑白花子白如黍亦有無子者根如嫩生薑黃色二月八月採根暴乾根 葉花實皆可餌服○黃精得太陽之精也入藥生用若久久服餌則採得先用溛水綽 過去苦味乃九蒸九暴○我國惟平安道有之平時上貢焉 ● 황정(黃精, 둥글레뿌리) 재 료 명 황정(黃精, 둥글레뿌리) 출 내경편(內景篇) > 신형(身形) > 단방(單方) 처 - 맛 성 질 - 독 성 - 효 능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뿐해지고 얼굴빛이 좋아지며 늙지 않고 배가 고프지 않다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721 2012 -2.indd 721 2012-05-10 10:27:06 재료이용 뿌리, 줄기, 꽃, 열매를 다 먹을 수 있다 뿌리를 캐서 먼저 세게 흐르는 물에 담구 어 쓴맛을 뺀 다음 아홉번 찌고 햇볕에 아홉번 말려 먹는다 혹은 그늘에서 말려 가루낸 다음 날마다 깨끗한 물에 타서 복용한다 비 고 - 원 문 久服輕身駐顔不老不飢根莖花實皆可服之採根先用滾水綽去苦汁九蒸九曝食 之或陰乾搗末每日淨水調服忌食梅實 ● 회향(茴香) 재 료 명 회향(茴香) 출 외형편(外形篇) > 입과 혀(口舌)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구취를 없애 준다 성 질 - 재료이용 싹과 줄기로 국을 끓여서 마시거나 날것을 먹거나 다 괜찮다 비 고 - 원 문 除口氣臭取苗莖煮作羹飮及生食竝得 ● 향포 재 료 명 향포(香蒲)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풀[草部]-상 처 - 맛 성 질 - 독 성 - 효 능 오장의 사기로 입안이 문드러지면서 냄새나는 것을 치료하며, 이를 튼튼하게 하 고 눈과 귀를 밝게 한다 재료이용 초봄에 나는 보드라운 싹은 홍백색이며, 생것을 씹으면 달고 부드러운데, 식초에 담그면 죽순과 같이 맛이 아주 좋다 절여서 먹거나 김치를 해 먹는다 비 고 곧 포황(부들)의 싹이다 이것이 곧 감포(甘蒲)인데 돗자리를 만드는 것이다 원 문 卽蒲黃苗也主五藏邪氣口中爛臭堅齒明目聰耳○此卽甘蒲作薦者春初生嫩茸 紅白色生啖之甘脆以苦酒浸如食笋大美可爲鮓或爲葅 ● 회어 재 료 명 회어(민어)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물고기[魚部] 처 맛 - 성 질 - 722 2012 -2.indd 722 2012-05-10 10:27:06 독 성 無毒 효 능 - 재료이용 - 비 고 남해에서 산다 맛이 좋다 부레로는 아교를 만들 수 있다 일명 강표하고 한다 원 문 生南海味美無毒膘可作膠一名江鰾○一名魚鰾治破傷風○疑是 今之民魚 ● 효목 재 료 명 효목(올빼미눈알)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새[禽部] 처 - 맛 독 성 - 효 능 고기는 서루(鼠瘻)에 효과가 있다 성 질 - 재료이용 - 비 고 옛사람들은 올빼미고기 구운 것을 귀하게 여겼는데 그것은 살찌고 맛이 좋기 때 문이다 원 문 ○肉主鼠瘻古人重其炙固當肥美 ● 후박(厚朴) 재 료 명 후박(厚朴) 출 내경편(內景篇) > 기(氣) > 단방(單方) 처 - 맛 성 질 독 성 - 효 능 오장의 모든 기병에 주로 쓰고, 또한 냉기를 몰아낸다 재료이용 달여 먹으면 좋다 비 고 - 원 문 主五藏一切氣又能走冷氣煎服佳 - ● 훤초근 재 료 명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풀[草部]-하 처 맛 甘 성 질 凉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723 2012 -2.indd 723 2012-05-10 10:27:06 독 성 無毒 효 능 소변이 붉고 잘 나오지 않는 것과 몸에 번열이 나는 것을 주료 치료하고, 사림(沙 淋)을 치료하며, 수기(水氣)를 내려주고 주달(酒疸)을 치료한다 재료이용 집근처에 심는데, 흔히 어린 싹을 캐서 끓여서 먹는다 또한 꽃망울을 따서 생절 이를 만들어 먹으면 가슴을 시원하게 해주는데, 아주 좋다고 한다 비 고 일명 녹총이라고 하고, 꽃은 의남이라고도 하는데, 임신부가 차고 다니면 아들을 낳게된다 『양생론(養生論)』에서 “훤촌는 근심을 잊게 한다”라고 한것이 이것이다 원 문 원추리又名넙性凉味甘無毒主小便赤澁身體煩熱治沙淋下水氣療酒疸○人家終 止多採其嫩苗煮食又取花跗作菹云利胸膈甚佳一名鹿蔥花名宜男孕婦佩之生男○春 生論云萱草忘憂此也 ●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재 료 명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출 잡병편 (雜病篇) > 황달(黃疸) > 단방(單方) 처 - 맛 독 성 - 효 능 주달을 치료한다 성 질 - 재료이용 찧어서 즙을 내어 마신다 또는 어린 싹을 달여서 먹어도 된다 비 고 - 원 문 主酒疸擣取汁飮又嫩苗煮食之 ● 흑두(黑豆, 작은 검정콩) 재 료 명 흑두(黑豆, 작은 검정콩) 출 내경편(內景篇) > 5장(五臟)과 6부(六腑) > 단방(單方) 처 - 맛 성 독 성 - 효 능 주로 오장에 위기가 맺혀 적이 된 경우에 쓴다 질 재료이용 삶아 먹어도 괜찮다 비 고 물에 담가서 싹을 낸 것을 대두황권이라고 한다 원 문 水漬生芽名大豆黃卷主五藏胃氣結積可煮食 - 724 2012 -2.indd 724 2012-05-10 10:27:07 ● 흑두(黑豆, 작은검정콩) 재 료 명 흑두(黑豆, 작은검정콩) 출 잡병편 (雜病篇) > 잡방(雜方) > 곡기를 끊어도 배고프지 않게 하는 약 (斷穀不飢藥) 처 - 맛 독 성 - 효 능 - 성 질 - 재료이용 볶아서 대추살과 함께 짓찧은 다음 볶아 가루내어 먹으면 식량을 대신할 수 있다 비 고 "선방"에는 "콩을 가루내어 먹으면 음식을 먹지 않고도 흉년을 넘길 수 있다"라고 하였다 원 문 炒熟以棗肉同搗之爲麨可以代粮 ○仙方修製大豆黃末服餌之可辟穀度飢崴 ● 흑두(黑豆, 작은검정콩) 재 료 명 흑두(黑豆, 작은검정콩) 출 잡병편 (雜病篇) > 부인(婦人) > 단방(單方) 처 - 맛 성 질 - 독 성 - 효 능 몸풀기할 달이 차기 전에 태아가 뱃속에서 죽어 산모가 까무러쳤을 때와 태반이 나오지 않을 때 단번에 먹으면 곧 나온다 재료이용 검정콩 3되를 식초에 삶아 진한 즙을 단번에 먹는다 비 고 - 원 문 孕婦月數未足子死腹中母欲悶絶及胞衣不下黑豆三升醋煮取濃汁頓服立出 ● 흑두(黑豆, 작은검정콩) 재 료 명 흑두(黑豆, 작은검정콩) 출 내경편(內景篇) > 소장부(小腸腑) > 단방(單方) 처 - 맛 성 질 - 독 성 - 효 능 장 속에 있던 물기가 제거되고, 또한 장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재료이용 삶아서 그 즙을 마신다 볶아서 술에 담갔다가 마시기도 한다 비 고 - 원 문 煮汁飮除腸中淋露又治腸痛熬浸酒飮之 동의보감에 나타난 식재료와 이용방법 725 2012 -2.indd 725 2012-05-10 10:27:07 ● 흑압육 재 료 명 흑압육(黑鴨肉, 검은 오리 고기) 출 탕액편(湯液篇) > 약으로 쓰는 새[禽部] 처 - 맛 성 질 - 독 성 - 효 능 - 재료이용 - 비 고 속을 미끄럽게 하기 때문에 냉리(冷痢)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원 문 滑中發冷痢不可多食 726 2012 -2.indd 726 2012-05-10 10:27:07

Ngày đăng: 07/10/2020, 09:54

Xem thêm:

TỪ KHÓA LIÊN QU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