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rang chủ
  2. » Thể loại khác

당대 한국 사회의 문화 흐름 - 김중순의 “WAY BACK INTO KOREA”를 통한 생각–

7 11 0

Đang tải... (xem toàn văn)

THÔNG TIN TÀI LIỆU

Thông tin cơ bản

Định dạng
Số trang 7
Dung lượng 358,24 KB

Nội dung

당대 한국 사회의 문화 흐름 - 김중순의 “WAY BACK INTO KOREA”를 통한 생각– Ass.Prof Dr Le Van Canh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anoi 김중순 교수는 문화인류학 연구자로서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인류학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한 다음에 1971 년부터 2001 년까지 30 년 동안 미국에 머무르면서 테네시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었다 2002 년에 한국으로 돌아가서 고려사이버대학교의 총장으로서 일하기 시작했다 Kimchi and IT (2007 년에 출간되고 베트남어로 번역됨)와 Way back into Korea: A new insight by a native anthropologist come home (일조각, 2014 년)은 김중순 교수의 연구실적 중에 개다 그 중에 필자가 그의 두번째 저서 ‘Way back into Korea’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싶다 필자가 알기로는 이 책은 독자에게 한국 역사의 흐름에 따라 변해오고 있는 한국 문화와 교육, 경제, 사회 등에 대한 전면적인 지식을 제공해 준 것이다 미국대학교에서 교육 받은 경험도 있고 근무해본 경험도 있어서 저자 김중순 교수가 한국사회 밖으로부터 들여다보는 사람이면서 한민족의 한 구성원으로서 인류학적 관점에서 한국사회의 변화들을 분석해 낸다 그 책의 학술적 가치를 높여준 것이 바로 여기에 있다.이 책에서 저자가 한국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서 한국 당대사회에 관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아내도록 한다 그런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 단시간에 한국의 경제 분야에 큰도약을 만들게하는것이 무엇인가?  한국은 해외에서 큰 규모의 차동차공장 설립, 리비아 (위대한 인공강인) 대수로 건설, 그리고 현대적인 정보통신기술분야에 앞장선 민족이 되기에 성공하였는데어떻게 그들 위대한 업적을 이룩해낼 수 있었을까?  유럽 및 북아메리카의 일류대학교에 한국유학생이 많은데 그이유가 무엇인가? 위의 질문은 저자가 통시적 분석에 의해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심도있게 해석한다 그런데 이 글에서 한국 당대 사회속의 문화변화에 대한 보다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 목적으로 통문화론 (Transcultural Flow)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에서의 문화변화에 관한 필자의 개인 생각을 집중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통문화의 흐름이란 지구촌화의 문화 연구자에 의하면 지구촌화가 문화의 일획성을 가져온 것이 아니다 오히려 지구촌화가 문화의 융합성을 만든다 그러면 지구촌화의 세계 속에 다른 문화권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문화권이 없다.국가간 통문화 유형이 각각 다르게 펴져있다 통문화의 흐름 개념에 대하여 Alastair Pennycook (2006)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 용어가 문화가 이동 변화해서 또다시 재활용되어서 다양한 사화환경에서의 새로운 독자성 (identities) 모습을 만들어내는 방식들을 연구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래서 이 용어는 문화의 이동을 말할 뿐만 아니라 타자의 것을 받아들여 자기의 것으로 만들고 변경해서 새로운 형식을 재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7 쪽) 간단하게 말하자면, 통문화 흐름이라는 개념은 실제로는 기원적 특정을 변함없이 끝까지 보유할 수 있는 문화가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 오히려 모든 문화권이 다 다른 문확권으로부터 받아들여 결합해 만드는 융합성이 내포된다.그래서 각 민족들이 다른 문화권과의 접촉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 민족의 독자성을 만들어낸다 오늘날 대중매체의 현대기술 발전과 함께 전 세계의 인구 이동이 관점의 흐름과 노동방식과 전 세계 문화권 간의 널리 펴져있는 행위들이 활발하지만 각 국가들 간의 구별성이 있게 이루어지도록 촉진하다.그 과정에 대중문화가 아주 특별한 역할을 한다 Pennycook 에 의하면 대중음악과 축구가 세계와 지방 또는 전통과 당대 간의 격차성을 없애는 데에 커다란 힘을 부여하는 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들은 세계화시대에 있어서 삶의 용해성과 유통성 및 흐름을 잘 반영한다 그러면 왜 통문화 흐름을 주목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 통문화 흐름을 알 수 있어야 우리가 속하는 공동체와 그 공동체의 근본성을 충분히 알 수 있으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우리가 누구인지를 잘 알 수 있다는 것이다 통문화 흐름이라는 개념은 다른 문화의 한계와 시.공간 이동을 알려주며 한국사회의 이면적 본질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통문화의 흐름 속의 한국 통문화의 흐름은 오늘 지구촌의 모든 문화들에 영향을 미치므로 한국은 경제, 정치 및 문화에 대하여 통문화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예전에는 한국은 단일 민족, 단일 언어 및 단일 문화의 국가였으나 그 러한 사회적 요소들이 변해 나아가고 있다 미국 인류학 연구자인 Brandt (1971, 김중순 2014:280 의 인용)은 1960 년대 중반에 들어서 한국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는 한 마을에 가서 실제 조사를 진행하였을 때 한국 사회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의견을 밝혔다 모든 문화에서 대립적 대인관계 형태들을 발견할 수 있는데 세계의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한국에서 그런 대립적 대인관계 형태는 보다 더 뚜렷하게 드러나는 것 같다 김중순 (2014)은 Brandt 학자가 한국에 다시 돌아 가서 실제 조사를 한다면 현재 시점처럼 한국 사회가 조속히 변화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대립적 행위 뿐 아니라 역리 (배리)도 많이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그 변화는 매우 급격히 벌어지고 있다 Tudor (2012: 280) 에서 “ 일정한 시점에 한국의 삶에 대한 어떤 견해라도 완전히 어긋하게 될 수 있으며 그 변화의 속도는 모든 예측 외에 있는 정도로 빠르다”는 결론까지내린다 김중순 (2014)은 한국의 당대 사회 속에 현존하는 역리의 가지를 제시한다 한국내 다문화 사회에 대하여 표하는 사회 여론 및 한국 지식층의 의견에 불구하고 많은 한국사람들이 단일민족 주의에의 신념에 구속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구속될 것이다 한국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내향적으로 생활하지만 외향적으로 행동하는 추세가 보인다 한국 사람들의 가장 큰 관심사가 경제성장 및 경제개발인데 자연 환경 보호를 위한 노력은 선진국 국민 못지 않게 대단한 것이다 유교사상의 영향이 아직매우 큰데 한국은 동아시아 지역에 있어서 여성 대통령을 처음으로 뽑은 국가다 한국 사람들은 믿어온다 이러한 자기가 믿음은 순 혈통, 단일 언어 및 단일 민족을 공유하고 있다고 신세대인 학생들에게 민족 정신의 양성을 위하여 교육교과과정에 도입하여 다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한국에 입국하는 이민자들이 이런 믿음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한국 사법부의 통계적 결과, 2012 년에 184 국가에서 오는 외국인 932.0000 명은 한국 국토에서 장기적 거주하는영주권을 갖고 있으며 그들은 한국 인구의 천만 명에 1,8%를 차지한다고 한다 한국에서 단기간 거주하는 외국인들은 1.42 백만명을 달한다 외국인들도 포함시킨다면 재한국 서강 정치학 연구원에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에 응하는 사람들 중 한국은 이제 다문화 사회가 된다고 답하는 사람 수는 82.9%에 이르렀다 한국사람들이 자기 자신이 순결한 혈통을 가지고 출신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인종 차별 태도는 한국사람에 보편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Diplomat Journal 기자의 인터뷰에 응할 때, 다문화 가족 지원 센터의 간부인 Kim Nho Young 은 아래와 같이 발표하였다 다문화인에게 한국사람들이 그리 좋지 않은 태도를 표하곤 한다 개발도상국에서 온 이민자들이 나날이 많이 증가하므로 너무 빈곤하기 때문에 돈을 버는 목적을 두고 한국에 간다고 여긴다 2009 년에의 36,4%에 비하여 2012 년에 한국여성가족부 (女性家族部, Ministry of the Gender Equality & Family) 의 연구 결과, 한국내 다문화 가족 중의 41,3% 는 차별을 받게 된다고 알려준다 여성 가족부의 2012 년 보고에 따르면 다문화인들이 차별을 받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의사소통 시의 어려움”, “문화 차이”, 및 “고독한 마음가짐” 등과 같은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최근에는 외국인과 결혼은 주로 한국 남자와 여성 외국인 간에 이루어진다 (75%) 30-50 대의 많은 한국 농촌 남성들이 한국 여성을 찾아 결혼할 불가능이므로 외국 농촌 여성과 결혼하는 비율이 전 한국 의 평균적 비율보다 더 높은 것이다 2006 년의 통계 결과, 한국남성과 결혼하는 외국인 여성들이 가장 높은 비율은 중국 여성 (66,2%)이며 이어서 베트남 여성 (18,7%) 이다 (Moon, 2010) 김중순은 외국인 여성들의 만명은 한국 남성과 결혼하여 아이들의 15 만 명을 낳고 그 덕분에 한국 인구가 천만 명으로 증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2005 년 한국 출산 비율이 1,076 으로 세계에는 가장 낮은 것으로 한다 그래도 불구하고 다문화 가족의 아이들이 늘 차별을 서로 다른 정도로 당한 것이 실정이다 한국인의 내향적 마음이나 외향적 행동에 대하여 김중순은 꼼꼼하면서 깊게 분석하였다 한국의 50 백만 명 중에 세게에 있는 73 국가에서 거주하고 있는 13,6%를 차지하는 백만 명이 있다 한국 회사들은 외국 시장에 공업 제품을 투입할 때 재 외국 한인들로 부터 경제적인 이익을 받게 되었다 김중순 (291 쪽)은 아래와 같이 기술하였다 KOICA 봉사단원의만 명 이상은 65 국가, 기독교 선교사의 23.332 명쯤은 169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개인 기업에 대하여 50 명 근로자 이상을 고용하는 1.733 한국 회사 중 440 억 미화 자본금으로 15 국가에서 지사를 두는 회사는 21.3%를 차지한다 2012 년 월까지, 외국에 유학가는 한국 학생들이 239.213 명을 달하였다 그 대부분은 미국 (73.351 명인 30,7%), 중국 (62 855 명인 26,3% ), 영국 (12 580 명인 5.3%)으로 분포된다 한편에 외국인 학생의 약 89 537 명은 현 한국에서 배우고 있다 이를 보면 유학 간 한국 학생 수는 한국에 가서 배우는 외국인 학생 보다 더 많은 것을 알아 볼 수 있다 한국도 세계의 관심을 끌어오기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에 염두에 둔다 한류는 그 중의 대표적인 사례다 한류은 K-pop, 드라마와 영화의 가지의 영역으로 엔터테이먼트 분야에다 기울었다 김중순은 한류의 영향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분석하였다 K-pop 은 우간다, 에티오피아와 게니아와 같은 아프리카 국가들에서도 보편되고 인기가 많다 한류 덕분에 현지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것을 좋아하게 되었다 태국에도 마찬가지다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에서 한류 대학원도 개설되었다 이 학교에서 e-learning 과정을 개설함으로써 전 세계의 10 만 명 이상의 외국인 며느리들과 일반 사람들에게 무료 한국어 강좌를 제공해 준다 현재 70 국가에 있어서 한국어 온라인 과정에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수는 8000 명을 달한다 세계 각국에 들어가서 넓으면서 깊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한류의 효과가 한국을 숭배하는 것보다 더 크다 무엇보다 한류는 세계 지도에 한국이 등장하게 되는 데에 큰 기여를 하였다 한류덕분에 한국이 동양의 고립적인 지역이라는 낙후적이고 편견적인 생각이 사라지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류의 영향으로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수가 2005 년을 기준으로 백만명에 이르렀다 (293-294 쪽)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으므로 한국사람들은 인간, 자연과 하느님이 똑같은 평등권을 갖고 공존하는 실체들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이러한 철학적 이념은 인간은 자연에 속한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경제 개발을 위하여 초기에는 한국의 자연환경이 파괴되었다 경제이 성장하고 생활 수준이 높아진 이후까지 한국 사람들은 환경 보호의 필요성에 대한 의식을 깨닫게 되었다 많은 전통적 습관, 특히 죽은사람을 매장하는 풍습은 갱신하게 되었고 화장 문확가 도입되어 보편화되어 온다 ‘오랫동안 죽은 사람을 산지에서집중적으로진행해 왔기 때문에 새로 유행하는 화장 문화는 한국 산맥의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김중순, 308 쪽) 서울은 천천하면서도 효과적인 생활 스타일을 고취하는 데 있어서 목적을 두는 민사적인 운동의 출현을 살펴보았고 감시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의 중심은 시민에 있는 농민 일동이다 그들이 빠른 속도로 하여 어느 정도로 단순한 생활 스타일에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의 푸른 미래를 위하여 일하는 사람들이다 정치방면에 2012 년 12 월 19 일에 박근혜 여사가 한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된 것으로 한국에의 유교의 남존여비 사상도 달라졌음을 보여줬다 김중순은 당선으로 박근혜 대통령은 한국사회에 새 기록을 많이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첫째, 박근혜 대통령은 한국 역사에서 최초의 여성 대통령; 둘째, 대통령인 적이 있는 친정 아버지가 있는 최초 대통령, 셋째, 1987 년 대한 민국 헌법 개정 이후 최초의 51.55%로 과반 득표 대통령, 넷째, 대한민국 최초의 독신 대통령이고 다섯째, 최초의 이공계 출신 대통령이었다 김중순은 ‘이번 대선의 결과는 한국의 64 년만 민주적 역사에 가장 큰 변신을 두드러지게 보여준 것이다 한국사람은 세계를 놀라게 하는 법이 있다’는 평가를 하였다 (311-312 쪽) 결론 문화의 근본성, 혹은 문화의 정체성 (cultural identity)은 공간, 시간, 역사와 문화를 통하여 신 세대에 전해주는 기존의 것이 아니다 이것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Hall 2009) 문화의 근본성은 변화 과정에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구체적인 환경에서 만들어지게 된것이다 통 문화의 흐름 (Transcultural flow) 속의 문화 융합성은 한국 당대 사회에 대하여 다룬 김중순 저서에 잘 표현된다 그것은 ‘Way back into Korea: A new insight by a native anthropologist come home’라는 저서에서 김중순이 언급되는 역리의 가지로 드러난다 한류는 바로 역사의 이런 시점에다 독일무이의 스타일을 창조하기 위하여 한국의 독특적인 문화와 아시아 및 서양 문화 간의 이식이다 한국 문화는 인류 문화의 아름다움과 결합하여 한국의 독특한 문화를 재생시키는 것은 바로 김중순이 Way Back into Korean 저서에서 제시된 문제들에 대한 답변이다 이것도 한국문화를 연구할 때 문화 내의 편견적 관점을 피하기 위하여 유의해야 하는 중요한 포이트이다 참고자료 Brandt, V S R (1971) A Korean village: Between farm and se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Hall, S (2009) Cultural identity and diaspora Trong Theorizing diaspora: A reader (tr 233-246) J E Braziel A Mannur (chủ biên) Malden, MA and Oxford, UK: Blackwell Publishing Moon, S (2010) Multicultural and global citizenship in the transnational age: The case of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12 (1), 1-15 Pennycook, A (2006) Global English and transcultural flows New York: Routledge Tae-jun Kang (2013 August 20) Korea‟s multicultural growing pains The Diplomat Thediplomat.com/2013/08/Koreas-multicultural-growing pains/ Tudor, D (2012) Korea: The impossible country North Clarendon, VT: Tuttle Publishing

Ngày đăng: 23/09/2020, 22:23

TỪ KHÓA LIÊN QUAN

TÀI LIỆU CÙNG NGƯỜI DÙNG

  • Đang cập nhật ...

TÀI LIỆU LIÊN QUAN

w